전기영동-SDS PAGE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기영동-SDS PAG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실험목적

(2)실험 재료 및 방법

(3)실험결과 및 고찰
-further report

(4)참고문헌

본문내용

um dodecyl sulfate) - unfolding 된 단백질을 (-)로 하전 시킨다.
전기영동의 원리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아 여러 buffer 속의 이온 및 분자들이 하는 역할을 생각해보자.
전기영동용 완충용액에 포함된 glycine은 음전하와 양전하를 동시에 띨 수 있는 zwitter이온이다. 즉, gel내의 pH조건에 따라 glycine의 net charge와 이로 인한 전기영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전기영동을 시작하면 leading 이온인 Cl-이온과 단백질, glycine이온이 모두 양극을 향해 출발하게 된다.
Glycine은 stacking gel의 낮은 pH 조건에서는 거의 중성을 띠므로 국부적인 전류의 감소현상이 유발된다. 따라서 낮은 pH 조건에서도 이동도가 빠른 Cl-이온과 이동도가 느린 glycine 이온 사이에 매우 높은 전위차가 형성되는데이러한 전위차에 의해 glycine이온이 Cl-이온을 빠르게 뒤따르게 된다. 이때 상대적인 이동속도는 glycine <단백질 이동 중인 이온들이 separating gel에 이르게 되면 separating gel의 높은 pH는 glycine이온을 음전하로 강하게 대전시켜 glycine의 이동속도가 단백질보다 빠르게 되며 단백질은 gel내에서 분리된다.
전기영동 실험에 쓰이는 acrylamide등은 피부를 통해 신경독소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그 효과가 축적 되므로 장갑을 반드시 착용하며 조심히 실험에 임하는 주의가 필요하다. 실험과정에서 가장 어려웠던 과정은 시료를 주입하는 과정이었는데 gel을 찌르지 않으면서 최대한 깊숙이 syringe를 넣어 신속히 주입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참고자료
http://www.elpisbio.com/sub/support/protocols/SDS-PAGE-gel.htm#Gel%20Preparation (2006. 12. 03)
김승호, 장규태 역, 단백질실험노트(하), 2001, pp116-120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12.17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33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