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soquant curve and isocost curve
2. least-cost combination of resources
3. substitution effect(대체효과) and output effect(생산량 효과)
4. marginal revenue product
5. Marginal wage cost
6. MRP = MWC rule
7. efficient allocation labor
8. pure monopsony
2. least-cost combination of resources
3. substitution effect(대체효과) and output effect(생산량 효과)
4. marginal revenue product
5. Marginal wage cost
6. MRP = MWC rule
7. efficient allocation labor
8. pure monopsony
본문내용
은 노동수요와 노동공급이 만날 때 L*단위만큼의 노동을 고용하여 이윤을 극대화 한다. 즉 노동시장에서의 시장균형조건이 바로 MRP = MWC rule이 라 할 수 있다.
7. efficient allocation labor
노동의 효율적 배분은 아래와 같은 중요한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노동시장내 동일 산업의 균형노동임금률은 기업전체의 총 VMPL와 같고 개별기업마다 임금률이 모두 같기 때문에 노동의 VMPL 또한 모든 기업마다 같다. 노동의 VMPL이 기업마다 같다는 것은 주어진 기술수준과 주어진 노동 및 자본의 공급 하에서 경제전체의 생산물가치가 이 점에서 극대화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 그림에서 각 임금수준에서 노동의 시장수요는 시장 내에 있는 각 산업들의 노동수요량의 합이다. 이때 산업수요곡선은 각각 D1+2+3 와 노동의 사장공급 곡선 S의 상호작용에 결정한다. 그러나 노동의 한계생산력은 체감하므로 산업2의 기업이 한 사람의 추가고용으로 얻는 VMPL의 증가는 We보다 적을 것이다. 즉, 산업1에서의 생산감소는 산업 2의 생산증가보다 크기 때문에 사회전체로서는 후생의 감소를 불러온다.
=
+
+
0
고용
<산업1>
<그림 6- 시장의 수요와 공급 및 시장임금률의 결정 (P 103 참조)
8. pure monopsony
노동시장에서 수요독점(monopsony) 기업은 생산요소의 유일한 구입자이다. 경제전체로서 유일한 수요자만 존재하므로 수요독점기업의 노동수요는 노동에 대한 시장수요와 동일하게 된다.
노동시장에서 기업이 수요독점자라면 노동의 시장공급(S)은 이 기업의 공급곡선이 된다, 만일 기업이 노동자를 더 고용하기 위해 임금을 상승시켜야 한다면 추가고용에 의한 총비용의 변화(MCL)는 임금보다 높다. 따라서 수요독점자의 이윤극대화는 마지막 노동력을 고용함으로서 MCL=VMPL이 되는 점이며 이때 기업은 그 노동력의 공급가격과 일치하는OWM을 임금으로 지불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노동시장에 있어 완전경쟁기업과는 달리 수요독점자는 지불해야 할 임금을 자신이 결정해야 한다. 이는 수요독점자가 따라야 할 시장임금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얼마의 임금을 지불해야 하는가의 따르는 것이다. 수요독점자가 기꺼이 지불하려는 최대가격으로서의 임금OWM와 노동자들이 기꺼이 일하려고 하는 임금 OW 중에서 수요독점자는 노동의 공급가격과 같은 OWM을 지불 할 것이다.
7. efficient allocation labor
노동의 효율적 배분은 아래와 같은 중요한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노동시장내 동일 산업의 균형노동임금률은 기업전체의 총 VMPL와 같고 개별기업마다 임금률이 모두 같기 때문에 노동의 VMPL 또한 모든 기업마다 같다. 노동의 VMPL이 기업마다 같다는 것은 주어진 기술수준과 주어진 노동 및 자본의 공급 하에서 경제전체의 생산물가치가 이 점에서 극대화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 그림에서 각 임금수준에서 노동의 시장수요는 시장 내에 있는 각 산업들의 노동수요량의 합이다. 이때 산업수요곡선은 각각 D1+2+3 와 노동의 사장공급 곡선 S의 상호작용에 결정한다. 그러나 노동의 한계생산력은 체감하므로 산업2의 기업이 한 사람의 추가고용으로 얻는 VMPL의 증가는 We보다 적을 것이다. 즉, 산업1에서의 생산감소는 산업 2의 생산증가보다 크기 때문에 사회전체로서는 후생의 감소를 불러온다.
=
+
+
0
고용
<산업1>
<그림 6- 시장의 수요와 공급 및 시장임금률의 결정 (P 103 참조)
8. pure monopsony
노동시장에서 수요독점(monopsony) 기업은 생산요소의 유일한 구입자이다. 경제전체로서 유일한 수요자만 존재하므로 수요독점기업의 노동수요는 노동에 대한 시장수요와 동일하게 된다.
노동시장에서 기업이 수요독점자라면 노동의 시장공급(S)은 이 기업의 공급곡선이 된다, 만일 기업이 노동자를 더 고용하기 위해 임금을 상승시켜야 한다면 추가고용에 의한 총비용의 변화(MCL)는 임금보다 높다. 따라서 수요독점자의 이윤극대화는 마지막 노동력을 고용함으로서 MCL=VMPL이 되는 점이며 이때 기업은 그 노동력의 공급가격과 일치하는OWM을 임금으로 지불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노동시장에 있어 완전경쟁기업과는 달리 수요독점자는 지불해야 할 임금을 자신이 결정해야 한다. 이는 수요독점자가 따라야 할 시장임금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얼마의 임금을 지불해야 하는가의 따르는 것이다. 수요독점자가 기꺼이 지불하려는 최대가격으로서의 임금OWM와 노동자들이 기꺼이 일하려고 하는 임금 OW 중에서 수요독점자는 노동의 공급가격과 같은 OWM을 지불 할 것이다.
추천자료
수익률곡선에 대해 설명하고, 이자율의 기간구조를 설명하는 근거이론을 논술하라
수면곡선계산
산소해리곡선
화폐경제학- 1)이자율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2)정보의 비대칭성 하에서 발생하는 현상들...
[경제][경제학][경제학용어][경제학사상][경영경제학][거시경제학][필립스곡선]경제의 개념, ...
로렌츠곡선을 이용한 지니계수 도출과정
[상품][제품]상품(제품)의 가치, 상품(제품)의 거래자본, 상품(제품)의 디자인, 상품(제품)의...
수문곡선 계산입니다.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수리 레포트
[거시경제학][실업][정치][재정분권화][수요공급곡선][경제안정화정책][신용위험]실업 거시경...
수요공급곡선의 변화로 논술해 보라(전세 값 상승에 대하여)
주식수익(주가수익, 주식수익률, 주가수익률)의 변동성, 시간가변성, 주식수익(주가수익, 주...
[로봇 공학] X,Y값 받아서 보간값 프로그래밍으로 구하고 보간곡선 그리기 (보간 구하는 알고...
[A+] 완전경쟁시장 조건특성 완전경쟁기업 수입 한계비용곡선과 기업 공급곡선 단기 조업...
[독점기업][독과점기업]독점기업(독과점기업)의 수요곡선과 수입곡선, 독점기업(독과점기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