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홈스쿨링(Homeschooling)
1. 홈스쿨링의 발생
2. 홈스쿨링의 정착(홈스쿨링 운동의 5단계)
3. 홈스쿨링의 장.단점
4. 홈스쿨링을 하는 부모들의 몇 가지 특성
5. 홈스쿨링의 현실태(미국)
6. 홈스쿨링의 우리 나라 도입과 변화
7. 홈스쿨링이 주는 시사점
1. 홈스쿨링의 발생
2. 홈스쿨링의 정착(홈스쿨링 운동의 5단계)
3. 홈스쿨링의 장.단점
4. 홈스쿨링을 하는 부모들의 몇 가지 특성
5. 홈스쿨링의 현실태(미국)
6. 홈스쿨링의 우리 나라 도입과 변화
7. 홈스쿨링이 주는 시사점
본문내용
비인간저인 교육, 삶의 양식과 지혜를 가르치기를 외면하는 교육이 초래한 결과이다. 미국, 영국, 일본에 비해 아주 적은 수의 가정에서 현재 홈스쿨링이 실시되고 있는 상태이다.
7. 홈스쿨링이 주는 시사점
오늘날 홈스쿨링은 미국에서 하나의 사회운동이 되고 있다.90년대에 들어서는 일반 대중들도 더 이상 홈스쿨링을 이상한 눈으로 보지 않게 되었다. 미국의 펜실베니아주를 비롯한 많은 주에서 홈스쿨링을 정식 교육으로 인정하고 지원하는 입법도 이루어졌다. 이렇게 되기까지는 홈스쿨링을 하는 부모들이 법정에서 투쟁하고 함께 연대하여 입법 활동을 해온데 힘입은 바가 크다. 홈스쿨링을 하는 부모들의 네트워크는 이제 미국의 각 지방 단위를 넘어 ,주, 국가, 국제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홈스쿨링을 위한 잡지나 교육과정 자료, 단행본 출판물도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이제 홈스쿨링 운동은 결속 단계를 거쳐 안정과 변화의 시기를 맞고있다고 한다. 정치적 신념이나 종교기 서로 통하는 사람끼리 자기들의 색채를 뚜렷이 부각시키고 있다.
그러나 홈스쿨링 운동이 공교육을 비롯한 기존의 제도교육을 아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홈스쿨링을 하는 부모들이 가장 관심을 갖는 문제는 홈스쿨링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자신들의 교육 프로그램에 필요한 교육자원을 확보하는 길을 찾는 것이다. 많은 부모들이 정치, 종교, 교육의 관점에서 자기들의 신념과 갈등을 일으키지 않는 한 일반 교육자원과 서비스를 이용하려고 한다. 홈스쿨링의 핵심 세력은 기존의 학교가 줄 수 있는 어떤 도움도 분명하게 거부하고 완전히 자율적이고 독립된 방식으로 교육을 하고자 하지만, 또 다른 한편에서는 제도 학교와 협력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이를테면 과학이나 음악, 미술 같은 예술 과목을 일반 학교에서 함께 하기도 한다.
더욱이 이러한 홈스쿨링이 우리 나라에 주는 시사점은 크다. 아이들을 무한경쟁으로 내모는 비인간적인 교육, 대학입시 위주의 암기 교육, 삶의 양식과 지혜를 가르치기를 외면하는 교육으로 전인교육이 소홀하기 전에 거의 외면 당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이러한 홈스쿨링 운동은 새로운 교육형태가 아닐 수 없다.
§ 참고 자료
홈스쿨링 http://cafe.daum.net/homeshooling
사이버 ‘들꽃 피는 학교` http://www.wahaha.or.kr/
학교 밖의 학교 민들레 http://www.mindle.org
7. 홈스쿨링이 주는 시사점
오늘날 홈스쿨링은 미국에서 하나의 사회운동이 되고 있다.90년대에 들어서는 일반 대중들도 더 이상 홈스쿨링을 이상한 눈으로 보지 않게 되었다. 미국의 펜실베니아주를 비롯한 많은 주에서 홈스쿨링을 정식 교육으로 인정하고 지원하는 입법도 이루어졌다. 이렇게 되기까지는 홈스쿨링을 하는 부모들이 법정에서 투쟁하고 함께 연대하여 입법 활동을 해온데 힘입은 바가 크다. 홈스쿨링을 하는 부모들의 네트워크는 이제 미국의 각 지방 단위를 넘어 ,주, 국가, 국제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홈스쿨링을 위한 잡지나 교육과정 자료, 단행본 출판물도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이제 홈스쿨링 운동은 결속 단계를 거쳐 안정과 변화의 시기를 맞고있다고 한다. 정치적 신념이나 종교기 서로 통하는 사람끼리 자기들의 색채를 뚜렷이 부각시키고 있다.
그러나 홈스쿨링 운동이 공교육을 비롯한 기존의 제도교육을 아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홈스쿨링을 하는 부모들이 가장 관심을 갖는 문제는 홈스쿨링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자신들의 교육 프로그램에 필요한 교육자원을 확보하는 길을 찾는 것이다. 많은 부모들이 정치, 종교, 교육의 관점에서 자기들의 신념과 갈등을 일으키지 않는 한 일반 교육자원과 서비스를 이용하려고 한다. 홈스쿨링의 핵심 세력은 기존의 학교가 줄 수 있는 어떤 도움도 분명하게 거부하고 완전히 자율적이고 독립된 방식으로 교육을 하고자 하지만, 또 다른 한편에서는 제도 학교와 협력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이를테면 과학이나 음악, 미술 같은 예술 과목을 일반 학교에서 함께 하기도 한다.
더욱이 이러한 홈스쿨링이 우리 나라에 주는 시사점은 크다. 아이들을 무한경쟁으로 내모는 비인간적인 교육, 대학입시 위주의 암기 교육, 삶의 양식과 지혜를 가르치기를 외면하는 교육으로 전인교육이 소홀하기 전에 거의 외면 당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이러한 홈스쿨링 운동은 새로운 교육형태가 아닐 수 없다.
§ 참고 자료
홈스쿨링 http://cafe.daum.net/homeshooling
사이버 ‘들꽃 피는 학교` http://www.wahaha.or.kr/
학교 밖의 학교 민들레 http://www.mindle.org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