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홈스쿨링의 정의
Ⅱ. 홈스쿨링의 역사와 발생원인
Ⅲ. 홈스쿨링의 현황
Ⅳ. 홈스쿨링의 특징
Ⅴ. 홈스쿨링의 장단점
Ⅵ. 홈스쿨링이 나아가야 할 방향
Ⅱ. 홈스쿨링의 역사와 발생원인
Ⅲ. 홈스쿨링의 현황
Ⅳ. 홈스쿨링의 특징
Ⅴ. 홈스쿨링의 장단점
Ⅵ. 홈스쿨링이 나아가야 할 방향
본문내용
부담이 된다. 그러나 초, 중, 고등학교는 학교에서의 많은 지원이 있기 때문에 가정의 부담을 약간 학교에 덜 수 있다. 반면 홈스쿨링을 하는 가정의 경우는 다르다. A씨는 가장 힘들었던 점으로 가정의 경제적 어려움을 들었으며 이는 다른 홈스쿨러들의 경우에도 비슷하게 적용될 것이다. 거기에다가 부모들 또한 사회생활이 있다. 홈스쿨러들의 나이가 낮아지면 낮아질수록 아이의 부모에 대한 의존도가 커진다. 그러면서 부모는 사회생활을 할 시간이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홈스쿨링은 부모에게도 엄청난 부담으로 다가오게 된다.
… 홈스쿨링이라고 는 하지만, 부모님께서도 경제활동과 사회생활을 하셔야 하기 때문에 … 홈스쿨링을 하면서 가장 불편한 것은 경제적인 부분이었습니다. 부모가 자녀의 교육을 직접 맡아 할 수이 T으면 좋겠지만 저 같은 경우는 그럴 수 없었기 때문에 모든 교육비용을 가정에서 충당하느라 부모님께서 많이 힘드셨을 거라 생각됩니다.
(2009년 10월 12일 A 인터뷰 중)
또래집단과의 관계
일반적인 학교를 진학하는 경우 학생들은 많은 친구를 갖게 도니다. 친구를 사귄다는 것은 이렇게 학교라는 울타리가 주위에 있을 때 이루어지기가 쉬운데, 홈스쿨링을 할 때는 학교라는 단체가 사라지게 되니 어렵게 된다. 여기에 대해서는 A씨와 B씨 모두 의견일치를 보이고 있다.
게다가 이렇게 또래집단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는 것이 더 나쁜 결과로 이끌어질 수 있다. 바로 사회성의 결여이다. 일반학생들이 말하는 친구라는 것의 의미를 홈스쿨러들은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나중에 사회생활에 커다란 허점이 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는데 실패한다면 홈스쿨러가 우울증에 빠질 수도 있다. 따라서 적절한 홈스쿨러들끼리의 커뮤니티가 필요하다. 그러나 역시 아직은 홈스쿨링이 교육의 역사에서 첫발을 내딛고 있는 정도라 아직은 많은 홈스쿨링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어 있다고 하기 어렵다.
저와 같은 또래의 친구들은 초, 중학교 친구들뿐입니다. 그리고 더 있다면 여행 갔다가 만난 나와 같은 홈스쿨러 몇 명. 근데 거의 없었다고 봐도 될 거에요. 거의 다 나보다 나이가 많은 분들이었으니까. 그래서 그것 때문에 중학교 때 처음 홈스쿨링을 시작했을 때는 외롭기도 했었죠. … 혼자 있는 시간이 많다보니까 다른 사람과 함께 있어도 혼자행동하게 되는 거 같아요. … 그리고 친구를 쉽게 못 사귀는 것 같네요. 자주 만나는, 저보다 나이 많은 사람들이 물론 친구이고 그렇지만 … (2009년 10월 9일 A 인터뷰 중)
친구들이 많이 있어도 학교라는 울타리가 없어지니 지속적인 관계를 맺는 것이 어려웠던 점도 있습니다. 중학교에서 사귄 친구들과 많은 시간을 보내지 못한 것은 아쉽습니다. (2009년 10월 12일 B 인터뷰 중)
Ⅵ. 홈스쿨링이 나아가야 할 방향
지금까지 우리는 홈스쿨링의 정의, 역사와 원인, 홈스쿨링의 현황,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우리가 조사를 하면서 느낀 것은 아직 국내의 홈스쿨링이 제대로 정착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우선 인터뷰를 하면서 국내의 홈스쿨링의 가장 큰 문제점은 홈스쿨러 간에 교류가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 (생략)혼자 있는 시간이 많다보니까 다른 사람과 함께 있어도 혼자 행동하게 되는 거 같다. 그래서 그런지 다른 홈스쿨링 커뮤니티 같은 것을 생각하지 못했다는 것이 좀 아쉽다. 그런 것을 미리 알고 들었더라면 혼자 행동하게 되지는 않았을 것 같다. 그리고 친구를 쉽게 못 사귀는 것 같다. 자주 만나는 나이 많은 사람들이 물론 친구이고 그렇지만 일상적인 사람들이 생각하는 '친구'라는 느낌으로 친구를 만나는 건 아닌 것 같기 때문이다. 그래서 또래 집단 친구를 사귀는 것도 조금 힘든 것 같다. 나랑 살아온 배경도 다르고 그래서 좀 겁도 난다.
(2009년 10월 9일 A 인터뷰 중)
… (생략)친구들이 많이 있어도 학교라는 울타리가 없어지니 지속적인 관계를 맺는 것이 어려웠던 점도 있습니다. 중학교에서 사귄 친구들과 많은 시간을 보내지 못한 것은 아쉽습니다.
(2009년 10월 12일 B 인터뷰 중)
이러한 내용으로 볼 때 국내의 홈스쿨링은 서로간의 커뮤니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홈스쿨링 커뮤니티는 서로간의 정보를 공유하여 각각의 공부 방법에 대해 토론하고 더 나은 방향으로 홈스쿨링을 이끌어 나갈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홈스쿨러 간에 교류와 커뮤니티 형성은 앞으로 국내의 홈스쿨링이 만들어 나가야할 점이라고 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다음으로 홈스쿨링은 제도와 홈스쿨링을 바라보는 인식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학교를 다니지 않는다고 하면 간혹 ‘문제가 있는 아이’, ‘부적응아’로 보는 분들도 계십니다. 그렇지만 제 주위에는 그렇게 편견을 가지고 저를 대하신 분은 별로 없었던 것 같습니다.
(2009년 10월 12일 B 인터뷰 중)
아직까지 국내의 홈스쿨링은 앞의 인터뷰내용대로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가 하는 교육방법 중에 하나라고 생각되어지고 있습니다. 처음 홈스쿨링을 조사하는 우리 중에서도 홈스쿨링에 대해 그렇게 생각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지속적으로 사회에 홈스쿨러들이 목소리를 내어 자신들을 올바르게 보지 못하는 인식을 개선해야 된다고 생각되어집니다.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를 비롯한 많은 주에서 홈스쿨링을 정식교육으로 인정하고 지원하는 입법도 이루어졌다. 이렇게 되기까지는 홈스쿨링을 하는 부모들이 법정에서 투쟁하고 함께 연대하여 입법 활동을 해 온 데 힘입은 바가 크다. 홈스쿨링을 하는 부모들의 네트워크는 부모들 간에 정보를 교환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며, 그 협력모임의 수준이 각 지방의 단위를 넘어 주, 국가, 국제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 참고문헌
http://blog.naver.com/girlof007?Redirect=Log&logNo=10017583491
http://blog.naver.com/girlof007/10017583491
http://blog.daum.net/noodleparty/3145054
홈스쿨링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교육인류학적 분석
… 홈스쿨링이라고 는 하지만, 부모님께서도 경제활동과 사회생활을 하셔야 하기 때문에 … 홈스쿨링을 하면서 가장 불편한 것은 경제적인 부분이었습니다. 부모가 자녀의 교육을 직접 맡아 할 수이 T으면 좋겠지만 저 같은 경우는 그럴 수 없었기 때문에 모든 교육비용을 가정에서 충당하느라 부모님께서 많이 힘드셨을 거라 생각됩니다.
(2009년 10월 12일 A 인터뷰 중)
또래집단과의 관계
일반적인 학교를 진학하는 경우 학생들은 많은 친구를 갖게 도니다. 친구를 사귄다는 것은 이렇게 학교라는 울타리가 주위에 있을 때 이루어지기가 쉬운데, 홈스쿨링을 할 때는 학교라는 단체가 사라지게 되니 어렵게 된다. 여기에 대해서는 A씨와 B씨 모두 의견일치를 보이고 있다.
게다가 이렇게 또래집단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는 것이 더 나쁜 결과로 이끌어질 수 있다. 바로 사회성의 결여이다. 일반학생들이 말하는 친구라는 것의 의미를 홈스쿨러들은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나중에 사회생활에 커다란 허점이 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는데 실패한다면 홈스쿨러가 우울증에 빠질 수도 있다. 따라서 적절한 홈스쿨러들끼리의 커뮤니티가 필요하다. 그러나 역시 아직은 홈스쿨링이 교육의 역사에서 첫발을 내딛고 있는 정도라 아직은 많은 홈스쿨링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어 있다고 하기 어렵다.
저와 같은 또래의 친구들은 초, 중학교 친구들뿐입니다. 그리고 더 있다면 여행 갔다가 만난 나와 같은 홈스쿨러 몇 명. 근데 거의 없었다고 봐도 될 거에요. 거의 다 나보다 나이가 많은 분들이었으니까. 그래서 그것 때문에 중학교 때 처음 홈스쿨링을 시작했을 때는 외롭기도 했었죠. … 혼자 있는 시간이 많다보니까 다른 사람과 함께 있어도 혼자행동하게 되는 거 같아요. … 그리고 친구를 쉽게 못 사귀는 것 같네요. 자주 만나는, 저보다 나이 많은 사람들이 물론 친구이고 그렇지만 … (2009년 10월 9일 A 인터뷰 중)
친구들이 많이 있어도 학교라는 울타리가 없어지니 지속적인 관계를 맺는 것이 어려웠던 점도 있습니다. 중학교에서 사귄 친구들과 많은 시간을 보내지 못한 것은 아쉽습니다. (2009년 10월 12일 B 인터뷰 중)
Ⅵ. 홈스쿨링이 나아가야 할 방향
지금까지 우리는 홈스쿨링의 정의, 역사와 원인, 홈스쿨링의 현황,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우리가 조사를 하면서 느낀 것은 아직 국내의 홈스쿨링이 제대로 정착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우선 인터뷰를 하면서 국내의 홈스쿨링의 가장 큰 문제점은 홈스쿨러 간에 교류가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 (생략)혼자 있는 시간이 많다보니까 다른 사람과 함께 있어도 혼자 행동하게 되는 거 같다. 그래서 그런지 다른 홈스쿨링 커뮤니티 같은 것을 생각하지 못했다는 것이 좀 아쉽다. 그런 것을 미리 알고 들었더라면 혼자 행동하게 되지는 않았을 것 같다. 그리고 친구를 쉽게 못 사귀는 것 같다. 자주 만나는 나이 많은 사람들이 물론 친구이고 그렇지만 일상적인 사람들이 생각하는 '친구'라는 느낌으로 친구를 만나는 건 아닌 것 같기 때문이다. 그래서 또래 집단 친구를 사귀는 것도 조금 힘든 것 같다. 나랑 살아온 배경도 다르고 그래서 좀 겁도 난다.
(2009년 10월 9일 A 인터뷰 중)
… (생략)친구들이 많이 있어도 학교라는 울타리가 없어지니 지속적인 관계를 맺는 것이 어려웠던 점도 있습니다. 중학교에서 사귄 친구들과 많은 시간을 보내지 못한 것은 아쉽습니다.
(2009년 10월 12일 B 인터뷰 중)
이러한 내용으로 볼 때 국내의 홈스쿨링은 서로간의 커뮤니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홈스쿨링 커뮤니티는 서로간의 정보를 공유하여 각각의 공부 방법에 대해 토론하고 더 나은 방향으로 홈스쿨링을 이끌어 나갈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홈스쿨러 간에 교류와 커뮤니티 형성은 앞으로 국내의 홈스쿨링이 만들어 나가야할 점이라고 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다음으로 홈스쿨링은 제도와 홈스쿨링을 바라보는 인식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학교를 다니지 않는다고 하면 간혹 ‘문제가 있는 아이’, ‘부적응아’로 보는 분들도 계십니다. 그렇지만 제 주위에는 그렇게 편견을 가지고 저를 대하신 분은 별로 없었던 것 같습니다.
(2009년 10월 12일 B 인터뷰 중)
아직까지 국내의 홈스쿨링은 앞의 인터뷰내용대로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가 하는 교육방법 중에 하나라고 생각되어지고 있습니다. 처음 홈스쿨링을 조사하는 우리 중에서도 홈스쿨링에 대해 그렇게 생각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지속적으로 사회에 홈스쿨러들이 목소리를 내어 자신들을 올바르게 보지 못하는 인식을 개선해야 된다고 생각되어집니다.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를 비롯한 많은 주에서 홈스쿨링을 정식교육으로 인정하고 지원하는 입법도 이루어졌다. 이렇게 되기까지는 홈스쿨링을 하는 부모들이 법정에서 투쟁하고 함께 연대하여 입법 활동을 해 온 데 힘입은 바가 크다. 홈스쿨링을 하는 부모들의 네트워크는 부모들 간에 정보를 교환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며, 그 협력모임의 수준이 각 지방의 단위를 넘어 주, 국가, 국제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 참고문헌
http://blog.naver.com/girlof007?Redirect=Log&logNo=10017583491
http://blog.naver.com/girlof007/10017583491
http://blog.daum.net/noodleparty/3145054
홈스쿨링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교육인류학적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