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시적상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시적상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으로 진단을 내렸다. 즉, Mark는 분명히 예술을 택했으나, 부수적인 객관적 자료에 반대되는 그의 결심을 현실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상담자는 심리측정가와 협의하여 Mark에게 두 번째면담 전에 검사지를 선정하여 검사받게 하였다. 예술적성을 알아내기 위한 알맞은 검사가 극히 적다는 사실을 안 상담자는 이용가능한 것 중에서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Meier 예술판단검사(Meier Art Judgement Test)만을 부과하고 예술과 교수를 찾아뵙도록 하여, 자신의 검사결과에 대한 전문적 평가를 받도록 하였다. Mark의 일반학문에 대한 적성이 대학에서 성공할 수 있는지를 예측해 보기 위행 상담자는 종합 ACT(미국대학검사)점수를 구아였다.
그의 점수는 85백분위점을 나타내어 학사학위를 취득할 가능성은 평균을 상회했다. 특별능력과 일반능력이 뛰어난 것에 대한 칭찬과 아울러 상담자는 Mark의 직업적 흥미를 다음 두 가지 이유로평가하고자 했다. 즉,① Mark가 표현한 예술선택성을 인정(또는 부정)하기 위하여, ② 예술부흥미가 없거나, 있어도 적성이 맞지 않아 성공하기가 힘든 경우에 다음 흥미양식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담자는 또한 Mark의 지로선택에 관련된 배경정보를 끌어내기 위하여 광범위한 개인적 자료설문지(personal data blank)를 작정하게 했다. 예술적 능력이 ‘유린된다’라는 상당한 증거가 나타나서 상담자는 이를 점검해 보기로 하였다. 그라나 성격검사는 실시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예술적 성격’이 있다는 것이 매우 부정적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면담과정에서 Mark는 적절히 반응하기 시작하였다.
2)과정
첫 면담 후 Mark는 검사지와 다른 것들을 집에 가지고 가서 완성해 왔다. 두 번째 면담에서는 검사를 해속하는데 이 단계는 지시적 상담에서 철차상의 단계이자 시간적 틀이었다.
검사해석단계에서 상담자는 Mark의 서류(검사)에 대하여 미술과 교수로부터 평가서를 받았으며, 그 평가는 전반적으로 호의적이었다. 그 평가서에는 Mark가 판화와 석판화에 도 뛰어나다고 적혀 있었으며 Mark도 그것을 수긍하였고, 이 평가서는 미술분야에서 Mark가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 준 셈이었다. Meier Art Judgement Test에서 Mark의 점수는 대단히 높아(미술과대학생과 비교해서 99백분위였고, 미술가와 비교하면 95백분위였음) 미술과 교수의 의견이 합당함을 증명해 주었다.
또한 Stong-Compbell Interest Inventory(SCII)와 Personal Data Blank(PDB)에서도 Mark가 미술분야에 대하여 진로를 선택할 것을 지지하는 증거가 나타났다. Mark가 SCII에서 보여준 유일하고 중요한 흥미양식은 미술가집단의 특성과 같았고, General Occupation Theme and Basic Interest Scales의 미술영역에서도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미술적성은 물론, 흥미양식이 유전되었음을 증명이라도 하듯이 Mark의 점수는 그의 배경, 특히 부계와 일치하고 있었다. 그의 아버지는 마술을 공부했었다. 나중에는 작가가 되었지만, 그의 할아버지는 미술에 조예가 깊었었다. 그의 첫 째 숙부는 국가적으로 유명한 건축가였다. 이렇듯, Mark의 인적사항이나 심리검사결과는 대체로 Mark의 미술에 대한 진로선택(특히 판화나 석판화)을 지지하고 있었다.
검사해석의 단계에서는 대화에서 90%를 거의 차지했었는데, Mark도 적극적으로 반응하였으며 때로는 확인질문까지도 하였다. 상담자는 검사결과에 대해 충분히 이야기하고 난후에 Mark에게 소감을 물었다. Mark는 “글쎄요, 새로운 것은 없지만 제가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알게 되어 좋습니다.” 라고 대답하였다. 상담자도 Mark의 지로 선택이 합당한듯하다고 말하였다. Mark는 직업정보에 대하여 좀 더 현실적 검증을 하고 싶어 할지도 모른다. 그것은 다음 면담에서 상담자와 함께 조사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Mark는 미술과 교수와의 면담에 동의하였고, 교수는 Mark의 미술방면에 대한 진로선택에 대한 자료를 평가하여 자유업, 교사, 미술스튜디오 경영, 상업미술과 등의 진로를 제시하였다. 상담자는 이들 지로의 하나하나에 대한 자료를 물론, 이들을 종합할 수 있는 자료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세 번째 면담에서 상담자와 Mark는 수집한 정보를 서로 검토하고 예측했다. ① Mark가 경쟁이 심한 무술분야에서 성고하려면 결국 대학원에 진학하여야 할 것이다. ② 대학원에 다닐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미술학사 취득 후 몇 년간 직업을 가져야 할 것이다. ③ Mark가 미술 분야에 계속 정진하려면 교사를 하거나 사업을 하여 돈을 벌어야 할 것이다.
상담은 Mark의 다음과 같은 말로 끝맺었다.
“기분이 좋아졌습니다. 이제는 제가 올바른 일을 하고 있는지 어떤지에 대하여 방황하지 않고 미술공부를 계속해 나갈 수 있습니다.”
3) 결과
Mark가 졸업 직전에 상담자르 f만나러 들렀을 때 추수지도가 이루어졌다. 그는 전 교과의 GPA에 3.25를 받아 미술과 학사과정을 마쳤으며, 전고에서는 거의 A를 받았다. 그는 부축해 놓은 돈을 다 썼기 때문에 대학원입학 전에 최소한 1년간 취업하기로 아혔다. 그는 판화전에 출품하여 고무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보다 많은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훈련이 더 필요함을 느꼈다. 상담자는 이 말을 듣고 Mark의 문제점을 불확실한 진로 선택이었다고 진단한 것이 근본적으로 옳았음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미술계통의 진로에 대하여 검사를 하고 자신과 직업정보에 대한 탐색을 한 것이 효과적인 상담전략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최소한 불확실성이 해결되었다는 간접적인 증거가 있고, Mark와 의사결정능력이 높아졌다는 간접적인 증거가 있다. 후자는 표면적인 상담목표는 아니지만, Mark의 장래계획에 나타난 부산물이었다.
참고문헌
김충기,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동문사 2000
공석영, 생활지도와 상담, 동문사 1998
정원식 외2, 카운슬링의 원리, 교육학사1999
김봉환 외2, 학교진로 상담, 학지사 2000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12.22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41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