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들어가기
II. 작품분석하기
1. <나의 침실로>
2.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III. 맥락파악하기
IV. 문학현장에서 작품수용하기
v. 나가기
II. 작품분석하기
1. <나의 침실로>
2.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III. 맥락파악하기
IV. 문학현장에서 작품수용하기
v. 나가기
본문내용
하고 있으며, 후자는 보다 역사적 사실적 개념의 문제를 근거로 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곧 나의 침실로와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는 간츤 내면 구조를 근거로 한 개별적 변이체로 인식될 수 있으며, 이것은 추상적형이상학적 상상력으로부터 보다 현실적사실적 상상력으로 전이되어간 시적 궤적이 확인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2) 다른 작품과 관계 맺기
① 나의 침실로와 밀실로 도라가다
나의 침실로는 ‘침실’의 의미를 파악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부정되어야 할 현실에 대한 반세계의 상의 꿈이다. 이는 전반부에서는 애욕과 관능인 쾌락의 장소이며 후반부서는 ‘뉘우침과 외나무 다리 건너 있는’이 보여주는 비상한 결단을 요구하는 ‘부활의 동굴’이다. 이는 비슷한 시기에 나온 박종화의 밀실로 도라가다에서 ‘밀실’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것과 유사한 해석이 요구된다. 여기에서 화자는 광명의 현실세계에서 스스로 벗어나 어두움이 드리워져 있는 자신의 세계인 ‘밀실’로 침잠하고자 한다. 그러나 어둠의 공간은 자율적 예술성을 통해 나름의 근대를 만들어가는 생산적인 공간의 역할을 한다. ‘침실’과 ‘밀실’이 각각 시의 구조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 ‘침실’과 ‘밀실’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이며 두 공간 중 독자가 더 의미있다고 생각 공간은 어떤 곳인지 등을 생각해보는 활동을 통해 학습을 확장해간다.
②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와 춘망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는 ‘들’과 ‘봄’이라는 형상을 통하여 조국 해방의 염원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일제 강점기의 현실 상황에서 식민지 정책에 직접적 비판을 하기 보다는, 시적 형상화를 통하여 문학적으로 승화하며 비판적 대화를 시도하여 비판적 문화 담론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시적 성취의 연장선상에서 1960~80년대 이후의 참여시, 민족 문학 또는 민중시를 상호텍스트적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다. 김수영의 풀, 신동엽의 껍데기는 가라, 김지하타는 목마름으로등의 작품을 연관지어 해석해 볼 수 있다.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와 비슷한 시대에 현실에 대한 거부감을 담고 있는 작품으로는 심훈의 그날이 오면을 살펴볼 수도 있다.
한편, 이상화 시의 1연은 두보의 春望이 연상된다. ‘지금은 남의 땅’이라는 언술은 과거에 그 땅을 빼앗기지 않았다는 사실을 암시하고 있다. 그런데 그 땅을 현재 누군가 ‘강제로 빼앗아’ 갔다. 강탈당한 땅에서 맞이하는 봄은 빼앗기기 이전의 봄과 다르다. 그것은 봄이 와서 초목이 우겨졌지만 나라가 망했다는 두보의 ‘國破山河在 ’, ‘感時花賤淚’와 연결된다. ‘꽃잎도 눈물을 뿌리는’ 서러운 봄맞이 감벙이 ‘봄이 왔으나 봄이 온 것 같지 않다’에 담긴 괴롭고 착잡한 정서이다. 들을 빼앗긴 것은 화자의 문제만이 아니라 민족 공동체의 또 다른 ‘나’의 문제라는 의식을 불러온다. 시인은 조선민중의 자아를 표상하는 화자를 내세워 식민지 상황을 경험하게 만듦으로써 봄맞이를 당대의 민족문제를 조망하는 하나의 관점으로 부각시켰다.
Ⅴ. 나가기
이상화는 1920년대 시문학사를 대표하는 인물로 초기에는 「나의 침실로」로 대표되는 허무주의낭만주의적인 시를, 후기에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로 대표되는 민중적 저항시를 썼다. 우리 문학 현장에서는 두 시를 기존의 문학사적 위상에 입각하여 시대 및 시문학사적인 가치를 중심으로 시를 가르치는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텍스트를 벗어난 사실이 주가 되어 시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은 시를 편견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며, 학습자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감상을 가로 막는 잘못된 교육 방법이다. 이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우리는 몇 가지 방법에 중점을 두고 이상화 시를 새롭게 감상해보았다. 감상의 큰 초점은 중심 요소를 바탕으로 텍스트의 의미를 형성해 나가는 과정과 컨텍스트적인 사실을 파악하여 작품과 관계 짓기, 더 나아가 두 작품 혹은 다른 작품과의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여 확장하기이다. 이러한 시 감상의 방법은 텍스트를 보는 힘을 기르는 방법, 즉 ~에 관하여 아는’ 대상적 지식이 아닌 ‘~에 관하여 할 줄 아는’ 방법적 지식을 가르치고자 하는 것이기에 다른 텍스트를 만났을 때에도 적용가능한 실제적이고 유용한 방법일 것이다. 물론, 교사는 시의 텍스트적, 컨텍스적 상황과 이론에 대한 지식을 모두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교사가 갖추어야 할 지식과 학생이 갖추어야 할 지식, 교사가 시를 대하는 방법과 학생이 시를 감상하는 방법은 분명히 달라야 한다. 본 발제를 통해 현재 교육 현장에서는 이상화의 시를 어떻게 보고 있으며, 이를 어떻게 가르치고 받아들이는 것이 좋은가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다른 텍스트를 다룸에 있어서도 문학 감상의 내면화 및 학습자 중심의 활동을 목표로 하여, 지식을 위한 교육이 아닌 삶을 위한 시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바이다.
※ 참고문헌
김재홍, 이상화 : 저항시의 활화산,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6
김태형 외, 현대시의 이해와 감상, 문원각, 2003
김학동, 낭만과 저항의 한계성-이상화의 시 세계, 이상화의 서정시와 그 아름다움, 새문사, 1981
박민수, 이상화 시의 본질에 관한 일 고찰, 관악어문연구, 1987
박용찬, 교실에서의 시 읽기 단계와 그 확장, 어문학 82
박철희, 이상화 시의 정체, 이상화,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6
백기만, 상화의 시와 그 배경, 이상화,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6
오세영, 어두운 빛의 미학, 이상화의 서정시와 그 아름다움, 새문사, 1981. 2
이상희, 고등학교 시 교수법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전정구, 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시안사, 1999
정대호, 이상화의 시에 나타난 비극성 고찰, 문학과 언어 제 17집. 1996
정정순, 1920년대 낭만주의 시와 상상력 교육, 문학교육학, 2000
조두섭, 이상화 시의 근대성, (2005), 우리말글 25호.
조용훈, 저항의 한 모습과 신화, 이상화,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6
황정산, 1920년대 낭만주의 시의 계몽주의적 성격, 우리어문연구, 2003
지학사 문학 자습서
천재교육 문학 자습서
두산동아 문학 자습서
곧 나의 침실로와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는 간츤 내면 구조를 근거로 한 개별적 변이체로 인식될 수 있으며, 이것은 추상적형이상학적 상상력으로부터 보다 현실적사실적 상상력으로 전이되어간 시적 궤적이 확인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2) 다른 작품과 관계 맺기
① 나의 침실로와 밀실로 도라가다
나의 침실로는 ‘침실’의 의미를 파악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부정되어야 할 현실에 대한 반세계의 상의 꿈이다. 이는 전반부에서는 애욕과 관능인 쾌락의 장소이며 후반부서는 ‘뉘우침과 외나무 다리 건너 있는’이 보여주는 비상한 결단을 요구하는 ‘부활의 동굴’이다. 이는 비슷한 시기에 나온 박종화의 밀실로 도라가다에서 ‘밀실’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것과 유사한 해석이 요구된다. 여기에서 화자는 광명의 현실세계에서 스스로 벗어나 어두움이 드리워져 있는 자신의 세계인 ‘밀실’로 침잠하고자 한다. 그러나 어둠의 공간은 자율적 예술성을 통해 나름의 근대를 만들어가는 생산적인 공간의 역할을 한다. ‘침실’과 ‘밀실’이 각각 시의 구조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 ‘침실’과 ‘밀실’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이며 두 공간 중 독자가 더 의미있다고 생각 공간은 어떤 곳인지 등을 생각해보는 활동을 통해 학습을 확장해간다.
②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와 춘망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는 ‘들’과 ‘봄’이라는 형상을 통하여 조국 해방의 염원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일제 강점기의 현실 상황에서 식민지 정책에 직접적 비판을 하기 보다는, 시적 형상화를 통하여 문학적으로 승화하며 비판적 대화를 시도하여 비판적 문화 담론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시적 성취의 연장선상에서 1960~80년대 이후의 참여시, 민족 문학 또는 민중시를 상호텍스트적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다. 김수영의 풀, 신동엽의 껍데기는 가라, 김지하타는 목마름으로등의 작품을 연관지어 해석해 볼 수 있다.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와 비슷한 시대에 현실에 대한 거부감을 담고 있는 작품으로는 심훈의 그날이 오면을 살펴볼 수도 있다.
한편, 이상화 시의 1연은 두보의 春望이 연상된다. ‘지금은 남의 땅’이라는 언술은 과거에 그 땅을 빼앗기지 않았다는 사실을 암시하고 있다. 그런데 그 땅을 현재 누군가 ‘강제로 빼앗아’ 갔다. 강탈당한 땅에서 맞이하는 봄은 빼앗기기 이전의 봄과 다르다. 그것은 봄이 와서 초목이 우겨졌지만 나라가 망했다는 두보의 ‘國破山河在 ’, ‘感時花賤淚’와 연결된다. ‘꽃잎도 눈물을 뿌리는’ 서러운 봄맞이 감벙이 ‘봄이 왔으나 봄이 온 것 같지 않다’에 담긴 괴롭고 착잡한 정서이다. 들을 빼앗긴 것은 화자의 문제만이 아니라 민족 공동체의 또 다른 ‘나’의 문제라는 의식을 불러온다. 시인은 조선민중의 자아를 표상하는 화자를 내세워 식민지 상황을 경험하게 만듦으로써 봄맞이를 당대의 민족문제를 조망하는 하나의 관점으로 부각시켰다.
Ⅴ. 나가기
이상화는 1920년대 시문학사를 대표하는 인물로 초기에는 「나의 침실로」로 대표되는 허무주의낭만주의적인 시를, 후기에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로 대표되는 민중적 저항시를 썼다. 우리 문학 현장에서는 두 시를 기존의 문학사적 위상에 입각하여 시대 및 시문학사적인 가치를 중심으로 시를 가르치는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텍스트를 벗어난 사실이 주가 되어 시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은 시를 편견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며, 학습자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감상을 가로 막는 잘못된 교육 방법이다. 이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우리는 몇 가지 방법에 중점을 두고 이상화 시를 새롭게 감상해보았다. 감상의 큰 초점은 중심 요소를 바탕으로 텍스트의 의미를 형성해 나가는 과정과 컨텍스트적인 사실을 파악하여 작품과 관계 짓기, 더 나아가 두 작품 혹은 다른 작품과의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여 확장하기이다. 이러한 시 감상의 방법은 텍스트를 보는 힘을 기르는 방법, 즉 ~에 관하여 아는’ 대상적 지식이 아닌 ‘~에 관하여 할 줄 아는’ 방법적 지식을 가르치고자 하는 것이기에 다른 텍스트를 만났을 때에도 적용가능한 실제적이고 유용한 방법일 것이다. 물론, 교사는 시의 텍스트적, 컨텍스적 상황과 이론에 대한 지식을 모두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교사가 갖추어야 할 지식과 학생이 갖추어야 할 지식, 교사가 시를 대하는 방법과 학생이 시를 감상하는 방법은 분명히 달라야 한다. 본 발제를 통해 현재 교육 현장에서는 이상화의 시를 어떻게 보고 있으며, 이를 어떻게 가르치고 받아들이는 것이 좋은가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다른 텍스트를 다룸에 있어서도 문학 감상의 내면화 및 학습자 중심의 활동을 목표로 하여, 지식을 위한 교육이 아닌 삶을 위한 시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바이다.
※ 참고문헌
김재홍, 이상화 : 저항시의 활화산,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6
김태형 외, 현대시의 이해와 감상, 문원각, 2003
김학동, 낭만과 저항의 한계성-이상화의 시 세계, 이상화의 서정시와 그 아름다움, 새문사, 1981
박민수, 이상화 시의 본질에 관한 일 고찰, 관악어문연구, 1987
박용찬, 교실에서의 시 읽기 단계와 그 확장, 어문학 82
박철희, 이상화 시의 정체, 이상화,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6
백기만, 상화의 시와 그 배경, 이상화,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6
오세영, 어두운 빛의 미학, 이상화의 서정시와 그 아름다움, 새문사, 1981. 2
이상희, 고등학교 시 교수법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전정구, 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시안사, 1999
정대호, 이상화의 시에 나타난 비극성 고찰, 문학과 언어 제 17집. 1996
정정순, 1920년대 낭만주의 시와 상상력 교육, 문학교육학, 2000
조두섭, 이상화 시의 근대성, (2005), 우리말글 25호.
조용훈, 저항의 한 모습과 신화, 이상화,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6
황정산, 1920년대 낭만주의 시의 계몽주의적 성격, 우리어문연구, 2003
지학사 문학 자습서
천재교육 문학 자습서
두산동아 문학 자습서
추천자료
황우석 교수의 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문제점 및 황우석 교수 사태에 대한 개인적 논의
교수공학과 유아교육 교수매체에 관한 고찰
[교수설계절차]교수학습 교육설계 절차정리[ICT활용수업설계과정]
78가지 교수학습수업모형별 정의와 전개방법,학습지도시 유의사항 및 교수학습과정안
과학과학습지도안, 교수학습과정안, 교수학습계획안, 학습지도안
건강생활, 교수학습과정안, 건강생활유아교수학습과정안, 학습계획서, 학습계획안, 방과후교...
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의 활용 [역할놀이, 독서클럽, 쓰기 워크샵, 매체 활용 학습, 토론 중...
1개의 교수학습 영역과 연령을 정하고 교수 학습활동 지도의 실제를 구성하시오.
평생교육방법론의 교수전략과 교수방법을 활용하여 프로그램 개발 계획서를 작성.
한국어 교수 학습법 적용 사례 -직접교수법
한국어 교수 학습법 적용 사례 -전신반응 교수법
한국어 교수학습법 적용 사례 발표 [암시 교수법]
[교수용] 기자추천서 [저널리즘 추천서, 언론사 추천서, 방송국 추천서, MBC 기자 추천서, KB...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