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 어휘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명 어휘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1. 지명의 의의와 가치
2. 지명의 속성


본 론
1. 우리나라 고유지명
2. 우리나라 도시별 어원(순우리말)및 유래조사
3. 팔도 지명의 어원


결 론

본문내용

었으며 빛나는 역사의 주체적인 힘이 되었다. 그리하여 빛고을 사회 전반에 걸쳐 민족혼의 상징으로서 전통처럼 면면히 계승 되어져 오고 있다.
● 전 주(田主) - 비사벌
전주(全州)의 옛 지명은 삼국사기 기록에 의하면 백제시대에는 완산(完山)이라고 하였는데 마한국명으로는 원지국(爰池國)에 이른다. 전주라는 지명 사용은 서기 757년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景德王(경덕왕) 16년부터이다. 전주 완산의 비명 원의(願意)를 볼때 “완(完)”과 “전(全)”은 모두 “온전하다”는 “온”이란 우리말 뜻을 지닌 글자이다 따라서 “완”은 그 음도“온”의 근사음로 “완”이라는 글자는 “온”이라는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 추풍령(秋風領)
추풍령은 조령, 죽령과 더불어 소백산맥 줄기로 가을바람이 부는 고개란 뜻으로 구름도 쉬어가고, 바람도 자고 가는 고개라 하는 한자어이다. 조선시대 때에는 선비들이 과거를 보러 올라가면서 추풍령 고개를 지나가면 가을바람처럼 우수수 과거에 낙방한다 하여 이 길로는 지나지 않았다고 한다. “바람도 쉬어가고, 구름도 자고 가는” 이라는 오래가사도 있듯이 우리민족의 정서가 담겨있는 해발 200m의 낮은 고개.
그 외에 춘천(春川) - 소머리고장, 강릉(江陵) - 하슬라, 속초(束草) - 속새 청주(淸酒) - 마대모로골, 충주(忠州) - 불골, 대전(大田) - 큰밭, 한밭이라고 함, 천안(天安) - 한자어로 하늘아래 가장 편안한 곳이라는 뜻, 들의 지역의 지명들이 유래되고 있다,
3. 팔도의 지명 어원
팔도(八道)란 조선 태종 13년 (1413년)때 확정된 경기, 충청, 전라, 경상, 강원, 황해, 평안, 함경(함길)도 등 8개도의 전국의 지방행정구역 명칭이다. 팔도란 말은 1455년(세조 1)에 편찬하기 시작하여, 1477년(성종 8)에 완성된 그 때의 팔도와 명칭과 유래는 다음과 같다.
경기도 : 서울을 중심으로 한 가까운 주위의 땅이라는 뜻
(京-서울경, 畿-경기기. 기는 서울을 중심으로 5백리 이내를 뜻했음)
충청도 : 충주와 청주의 첫음절에서 따옴.
전라도 : 전주와 나주의 첫음절에서 따옴.
경상도 : 경주와 상주의 첫음절에서 따옴.
강원도 : 강릉과 원주의 첫음절에서 따옴.
황해도 : 황주와 해주의 첫음절에서 따옴.
평안도 : 평양과 안주의 첫음절에서 따옴.
함경도 : 함흥과 경성의 첫음절에서 따옴.
팔도를 제정하던 조선 초에는 현재 광역시로 많은 인구가 살고 있는 부산, 대구, 대전, 인천, 광주, 울산 등은 지명이 쓰이지 않았거나, 작은 마을이었다.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등이 남북으로 분리된 것은 조선조 말엽인 1896년(고종 33년, 건양원년) 8월 4일의 칙령 36호에 의해서이다. 당시 지방제도 관제 등을 개정할 때 경상, 전라, 충청, 함경, 평안도를 남북으로 분리하여 13도가 확정된 것이다.
제주도의 경우는 팔도에 포함되지 않았다. 제주라는 지명은 고려 고종(1192∼1259년) 때 탐라군을 제주로 개편하면서 처음 나타났고, 제주도가 부로 개편되어 관찰사를 둔 것은 1895년 (조선 고종 32년)이며, 정식으로 도로 확정된 것은 해방이후인 1946년 8월 1일이다.
■ 결 론(우리말 어원 조사 & 우리말의 뿌리 강의를 마치며)
우리말의 어원을 조사해본다는 것이 생각처럼 쉽지는 않았습니다.
여러 문헌을 통해 하나 하나 알아가면서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자료를 찾아가며 어원을 찾다보니 무수히 몰랐던 지명이나 음식 등의 어원을 알수있게 되어 신기함과 재미를 느끼게 하는 조사였습니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현대 국어 어휘는 오랜 옛날부터 우리 선조들이 사용해 온 것이며 또한 앞으로도 우리 자손들이 내내 사용할 귀한 보물이다. 생생한 역사를 지닌 우리말 어휘 하나하나의 역사를 찾는 것은 우리말의 뿌리를 찾는 일이고, 우리 선조들의 숨결을 느끼는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살아있는 우리의 역사를 아는 일이다. 이 시간을 통하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말의 뿌리를 알도록 한다.』라는 학습 목표 아래 한 학기를 마칠 시간이 된 것 같습니다.
이 강의를 통해 잘 알지 못했던 우리말의 어원들에 대해 알게 되어 교과목으로써 뿐만 아니라 우리말을 쓰고 있는 한사람으로써 정말 의미 있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하나라도 더 알려주시려는 교수님의 열정에 감사드리며, 교수님께서 학교신문에 기제 하시는 글 잘 읽고 있습니다.
그럼 이번 한 학기 감사드리며 기회가 된다면 다른 과목에서 뵙겠습니다. 동계방학 의미 있는 시간 되시고 다음 학기 뵙겠습니다.

키워드

지명,   어휘,   어원,   고유지명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1.01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53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