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빈주의 국가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 론
1.국가의 기원
2.국가의 목적
3.죄악 세계에 있는 국가의 기능
4.교회와 국가
5. 국가의 법
6.국민의 복종과 저항권

결론

본문내용

칼빈은 악한 지배자는 하나님의 심판의 대행자라고 하며, 왕권을 가졌다는 이유만으로도 복종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라고 하고 있다. 칼빈은 통치자에게 순종할 수 없는 경우를 한 가지 들었으니, 그것은 통치자의 명령이 하나님의 명령을 거역하도록 할 때이다. 사람에게 복종하는 것은 결국 하나님께 복종하기 위함인 데, 사람에게 복종하는 것 때문에 하나님을 거역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상개서, p38
결론
칼빈의 신학체계의 핵심은 하나님의 주권사상이라고 볼 수 있으며, 그의 국가관도 결국 국가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사상의 적용이라고 볼 수 있다.
칼빈의 국가관은 다른 신학에서와 마찬가지로 철저히 성경에 의존하면서 동시에 당시의 사회적, 역사적 배경 속에서 형성되었다. 그에게 있어서 교회와 마찬가지로 국가도 신적인 기원을 갖고 있으며, 이들은 상호 협력의 관계에 놓여 있다. 칼빈의 국가 이해는 그의 일반은총론에 근거하고 있다. 국가는 인간의 죄으 결과만은 아니며, 인간이 무죄의 상태에 있었을 찌라도 하나님께서 창조시에 인간에게 주신 문화적 과업을 위해 필요한 것이었다.
국가는 하나님께서 세워 주신 범주 안에서만 통치해야 한다. 오늘날 그리스도인의 책임은 통치자들에게 그들이 국가의 통치자일 뿐만 아니라 동시에 하나님의 대리자임을 인식시켜 그들의 사명을 깨닫게 하며, 국민들에게는 책임성 있는 자유를 사용하되 하나님의 역군으로서 국가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일이다.
이에 우리는 하나님의 주권이 인간의 모든 영역에 미치고 있다는 교리를 그저 지식의 차원에만 아는 것으로 만족해서는 안 되며, 실제의 삶 속에서 실현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것은 그리스도인들의 국가와 사회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자세를 요구하며, 하나님의 뜻 앞에서는 자기의 사리사욕을 기꺼이 포기할 수 있는 헌신적 삶을 요청한다. 하나님의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기르 바라는 우리의 신앙 고백은 이제 언어의 표현으로서만 머물러서는 안되며, 삶의 구체적 표현으로서도 고백되어 져야 되는 것이다.
참 고 도 서
1.칼빈의 신학 사상, 신 복 윤 지음, 성광문화사
2.칼빈주의 기본사상, H 헨리 미터 지음, 박윤선, 김진홍 옮김, 개혁주의신행협회
3. 주제별 칼빈주의, 김하진 저, 한국문서선교회
4. 기독교 신앙과 윤리에 대한 존 칼빈의 관심에의 연구, 유병운, 서울여자대학 논문집 제7호
5. 칼빈의 국가관 연구, 신현규 , 총신대학교 대학원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12.31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58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