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지도안 (중(1-2) 6. 문학과 독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지도안 (중(1-2) 6. 문학과 독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대단원 분석
1. 단원 설정의 이유
2. 대단원 학습 목표
3. 관련 교육 과정의 학습 내용
4. 해당 학습 내용의 위계 관계

Ⅱ. 대단원 지도 계획
1. 대단원 교수 ․ 학습 계획
2. 지도상의 유의점

Ⅲ. 본시 수업 관련 주요 학습 방법과 교수 ․ 학습 방향
1. 본시 학습 목표와 교육 과정상의 근거 내용 및 주요 학습 내용
2. 본시 교수 ․ 학습 방법의 고찰

< 본시 ( 1 / 8 차시) 수업안 >

본문내용


PPT자료①
/설명식
전개

(9분)
(38분)
문학 감상에 있어 독자의 배경 지식의 중요성
▶자, 여러분, 그러면 우리 처음의 질문으로 한번 돌아가 봅시다. 수업을 시작할 때, 어떤 질문을 했었죠?
▶네. 소설을 읽을 때, 재미없고 또 답답했던 경험을 이야기했었지요? 그리고 그 이유에 대해 알아 보자고 했습니다. 그러면, 소설을 읽을 때에 답답하거나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에 대해서, 지금까지 공부했던 ‘작가’와 ‘독자’, 그리고 ‘작품’의 관계를 바탕으로 한번 이야기해 볼까요?
▶네, 맞습니다. 우리가 소설을 읽을 때, 잘 이해 되지 않아 답답한 경우가 있는 것은 ‘작가’가 살았던 시대적공간적 상황에 대해서 잘 모르기 때문입니다.
▶소설 작품을 읽을 때 답답했던 이유에 대해서요/소설 작품을 읽을 때 어렵게 느껴졌던 이유요
▶‘작가’와 ‘독자’가 살았던 시대가 다르기 때문에 소설이 이해가 안 돼요/‘작가’가 살았던 시대에 대해서 ‘독자’가 모르기 때문에 소설을 읽을 때 답답해요
문답식
단계
(시간)
수업 요항
수 업 활 동
수업 형태
및 자료
유의점
교 사
학 생
전개

문학 감상에 있어 독자의 배경 지식의 중요성
▶자, 그렇다면 거꾸로, 소설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 즉 어려움이 없이 소설을 읽기 위해서는 무엇을 알아야 할까요?
▶그렇습니다. ‘독자’가 ‘작가’가 살았던 시대나 공간에 대해서 가지는 지식, 우리는 그런 지식을 독자의 ‘배경 지식’이라고 합니다.
▶화면에서 보는 것처럼, ‘작가’가 살았던 시대나 역사적 상황에 대한 ‘배경 지식’을 통하여, 우리는 ‘작품’을 좀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반대로, 우리는 어떤 ‘작품’을 읽음으로써, 그 ‘작품’이 쓰였던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생각이나 감정을 이해하게 되고, 그것은 우리의 또다른 ‘배경 지식’을 이루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독자’의 ‘배경 지식’이 문학 작품을 읽을 때 왜 중요한지에 대한 이유입니다.
▶자, 지금까지 여러분과 제가 함께 공부한 것은 교과서 190쪽에서 191쪽에 나오는 ‘단원의 길잡이’의 내용입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단원의 길잡이’를 각자 읽으면서 정리해 봅시다.
▶‘작가’가 살았던 시대에 대해서요/‘작가’가 ‘소설’을 쓰던 시대적공간적 상황에 대해서 알아야 해요
▶네.(‘단원의 길잡이’ 읽기)
문답식
PPT자료②
/문답식
/설명식
설명식
교과서
190~191쪽
정리
(7분)
(45분)
형성 평가
형성 평가 풀이/
학습 내용 요약
▶자, 지금까지 수업한 내용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나 더 알고 싶은 내용이 있나요?
▶그러면, 지금 나누어 주는 형성 평가 문제지를 통해서 오늘 배운 내용을 다시 한번 확인해 보도록 합시다.
▶모두들 잘 풀어 보았습니까? 같이 정리해 봅시다.
▶먼저 1번 문제의 빈칸에 알맞은 말을 차례대로 말해 봅시다.
▶네, 모두들 잘 알고 있습니다. 다음 2번 문제의 빈칸에 알맞은 말은 무엇인지 말해 볼까요?
▶네.(형성 평가 문제 풀기)
▶‘작가’, ‘소설’(또는 ‘작품’)
문답식
형성 평가 자료
형성 평가 자료
/문답식
단계
(시간)
수업 요항
수 업 활 동
수업 형태
및 자료
유의점
교 사
학 생
정리
형성 평가 풀이/
학습 내용 요약
차시 예고
/과제 제시
인 사
▶네,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3번 문제의 답은 어떻게 말할 수 있을까요?
▶네, 모두들 수고 많았습니다. 다음 수업 시간에는 하근찬의 소설 ‘흰 종이수염’에 대해서 배우게 될 겁니다. 이 작품은 625 전쟁과 관련된 소설입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이 625 전쟁과 관련된 ‘배경 지식’을 풍부하게 가지고 있어야 소설을 좀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겠지요?
▶그래서 625와 관련된 자료를 인터넷이나 신문, 책 등을 참고해서 여러분 각자 하나 이상씩 준비해 오기 바랍니다. 사진이나 글로 된 자료 어떤 것도 괜찮으니, 다음 시간에 꼭 준비해 오기 바랍니다. 아셨죠?
▶그럼 오늘 수업은 여기에서 마치겠습니다. 여러분, 안녕히 계세요.
▶①‘작가’와 ‘독자’가 서로 마주 보고 있지 않다/②‘작가’가 살았던 시대나 역사적 상황이 ‘독자’와 다르다/③‘작가’가 ‘독자’에게 하고자 하는 말은 ‘작품’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전달된다
▶‘작가’가 살았던 시대적역사적 상황에 대해 알게 해 준다/‘작품’을 좀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 준다
▶네
▶네
▶선생님, 감사합니다.
형성 평가 자료
/문답식
▶자료의 유형보다는 자료의 내용을 미리 알아오는 것이 중요하므로 특정한 자료 유형에 얽매이지 않도록 주의시킨다.
예상되는 발전
1. 문학 작품을 읽는 것이 의사 소통 행위임을 알게 될 것이다.
2. 문학 작품을 감상할 때, 작가가 살았던 시대적역사적 상황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될 것이다.
3. 문학 작품을 읽기 전에, 작품과 관련된 배경 지식을 갖추는 태도를 가지게 될 것이다.
▶토의 기록지◀
※‘대화’와 문학 작품의 창작과 감상은 어떤 점에서 다른지 모둠별로 토의한 후 그 결과를 기록해 봅시다.
( )학년 ( )반 ( )모둠 이름 ( ) 기록자 ( )
<‘대화’의 특징>



<‘문학’의 특징>



<‘대화’와 문학의 차이점>



▶형성 평가◀
( )학년 ( )반 이름 ( )
1. 빈 칸에 알맞은 말을 써 넣으세요.
말할 내용
(메시지)
<대화>
<문학>
말하는 이 ---> ---> 듣는 이
( )
( ) ---> ---> 독자
2. 일반적인 ‘대화’와 ‘문학’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3. 독자의 배경 지식이 문학 작품 감상에 중요한 이유를 써 보세요.
=================수고하셨습니다=================
<판서 계획>
(PPT 화면)
말하는이
(화자)
말할 내용
(메시지)
학습 목표
1. 문학 작품의 창작과 감상을 의사 소통 행위로서 설명할 수
있다.
2. 문학 작품을 읽을 때, 독자의 배경 지식이 중요함을 설 명할 수 있다.
듣는이
(청자)
<‘대화’의 구성 요소>

<의사 소통 행위로서의 ‘문학’>
작 가
#2.
작 품
#1.
독 자
#3.

독자의 배경지식 형성
#.4
작품의 이해
#.3
( ‘#.번호’는 화면에 나타나는 순서임.)

키워드

국어,   지도안,   중학교,   1-2,   1학년,   수업안,   문학과 독자,   수업
  • 가격1,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1.02
  • 저작시기200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62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