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나는 아버지에게 상처를 준 가해자에게 복수를 했어요.
- 하지만, 서미혜의 오빠는 가해자라고 볼 수 없어요. 그런데도 서미혜는 그런 오빠에게 상처를 줬어요.
교과서
인물의 심리 파악하기
학습단계
학습요항
시간
교 수 - 학 습 활 동
수업 형태
및 자료
도달점
및 유의점
교 사
학 생
전
개
익히기 3번 문제
5
(35)
- 세 인물을 비교해보니 소설의 구조가 조금 명확히 드러나죠? 이번엔 작가가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하기 위해 남겨놓은 빈자리를 채워볼까 합니다. 익히기 3번 문제를 볼까요? 마지막 부분에 서미혜가 더 이상 김승호의 자전거를 타지 않고 다른 사람의 자전거를 다시 훔쳐 타고 있어요. 그 이유를 생각해봅시다. (익히기 3번)
▶ 발표를 진행한다.
- 잘 말해줬어요. 서미혜는 ‘자전거 도둑’이라는 영화에서 안토니오의 자전거를 훔친 청년을 주목하게 되죠. 두 인물은 ‘간질’과 ‘자전거’라는 공통 매개를 가지고 있었어요. 그런데, 그녀는 오빠를 혐오했고, 다락에 가둔 채 방치하여 죽음에 이르게 했다는 죄책감도 가지고 있죠. 그 씻을 수 없는 죄책감이 그녀로 하여금 자전거 도둑이 되게 한 것입니다. 즉, ‘자전거 도둑-간질-오빠’로 이어지는 매개의 연속에서 스스로 자전거 도둑이 되어 오빠와 자신을 동일시하려는 심리적 보상욕구가 작용한 것이죠. 그런데, 그녀가 훔쳐 타는 것을 ‘나’가 알아 버렸으니 그녀는 더 이상 자전거 도둑이 될 수 없던 것이죠. 따라서 이제 다른 사람의 자전거를 훔쳐 타면서, 간질이었던 오빠를 생각하고 있는 것입니다.
▶ 발표를 한다.
- 오빠에대한 죄책감을 벗어나려면 자전거를 훔쳐타야 하는데, ‘나’가 그 사실을 알아버렸으니까 더 이상 자전거 도둑이 될 수 없었을 거에요.
- 그래서 이제 다른 사람의 자전거를 훔쳐 타면서, 여전히 간질이었던 오빠를 생각하는 거에요.
교과서
학생들의 다양한 답변에 적절히 피드백을 해준다.
학습단계
학습요항
시간
교 수 - 학 습 활 동
수업 형태
및 자료
도달점
및 유의점
교 사
학 생
전
개
창작 활동
14
(49)
- 이렇게 내면의 상처를 중심으로 소설을 살펴봤는데요, 누구나 그런 상처를 하나씩은 가지고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소설의 ‘나’나 ‘서미혜’처럼 성인이 되어서도 따라다니는 상처의 기억이 있고, 무언가를 볼 때마다 떠오르는 상처의 기억이 있을 거에요. 이번에는 그런 상처들을 글로 써보는 활동을 해보겠습니다.
- 나누어준 학습지에 있는 질문들에 답하면서 자신의 ‘내면 상처’를 더듬어 보겠습니다.
▶ 학습지의 물음에 답하게 한다.
- 그럼, 이 내용을 바탕으로 멋진 글을 하나 써볼까요? 산문도 좋고 시도 좋아요. 자유롭게 여러분의 생각들을 표현해 봅시다.
▶ 발표를 진행한다.
▶ 학습지의 질문에 답한다.
▶ 질문의 답을 바탕으로 글을 창작해본다.
▶ 발표를 한다.
학습지
창작 활동에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격려한다.
정
리
정리 및 차시예고
1
(50)
▶ 내용을 정리하고 다음 시간에 배울 내용을 안내한다.
- 이번시간에는 등장인물의 행위를 통해 인물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내면의 상처’를 소재로 글을 창작해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4단원 역사와 사회 속에서를 살펴볼테니까 미리 읽어오도록 하세요.
▶ 인사
- 수고했어요.
▶ 배운 내용을 떠올리며 내용을 정리한다.
▶ 인사
- 감사합니다.
설명식
다음 시간의 내용을 확실히 인지시킨다.
(2) 자전거 도둑
학습 목표
1. 등장인물의 행위를 통해 인물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말할 수 있다.
2. 자신이 가진 ‘내면의 상처’를 글로
표현할 수 있다.
< 판서 계획 >
《 학 습 지 》
1. 내면의 상처를 떠올리며 다음 물음에 답해보세요.
(1) 언제 있었던 일인가?
(2) 누구에게 상처를 받았나?
(누구에게 상처를 주었나?)
(3) 어떤 상처였나?
(3) 그때의 느낌과 생각은?
(상처를 주거나 받았을 때)
(4) 언제 그 상처가 다시 떠오르곤 하는가?
(5) 현재 그 상처를 극복했는가?
(6) 현재 그 상처에 대한 생각은?
(1) 언제 있었던 일인가?
(2) 누구에게 상처를 받았나?
(누구에게 상처를 주었나?)
(3) 어떤 상처였나?
(3) 그때의 느낌과 생각은?
(상처를 주거나 받았을 때)
(4) 언제 그 상처가 다시 떠오르곤 하는가?
(5) 현재 그 상처를 극복했는가?
(6) 현재 그 상처에 대한 생각은?
2. 위 답변을 바탕으로 글을 써봅시다.
< PPT 자료 >
- 하지만, 서미혜의 오빠는 가해자라고 볼 수 없어요. 그런데도 서미혜는 그런 오빠에게 상처를 줬어요.
교과서
인물의 심리 파악하기
학습단계
학습요항
시간
교 수 - 학 습 활 동
수업 형태
및 자료
도달점
및 유의점
교 사
학 생
전
개
익히기 3번 문제
5
(35)
- 세 인물을 비교해보니 소설의 구조가 조금 명확히 드러나죠? 이번엔 작가가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하기 위해 남겨놓은 빈자리를 채워볼까 합니다. 익히기 3번 문제를 볼까요? 마지막 부분에 서미혜가 더 이상 김승호의 자전거를 타지 않고 다른 사람의 자전거를 다시 훔쳐 타고 있어요. 그 이유를 생각해봅시다. (익히기 3번)
▶ 발표를 진행한다.
- 잘 말해줬어요. 서미혜는 ‘자전거 도둑’이라는 영화에서 안토니오의 자전거를 훔친 청년을 주목하게 되죠. 두 인물은 ‘간질’과 ‘자전거’라는 공통 매개를 가지고 있었어요. 그런데, 그녀는 오빠를 혐오했고, 다락에 가둔 채 방치하여 죽음에 이르게 했다는 죄책감도 가지고 있죠. 그 씻을 수 없는 죄책감이 그녀로 하여금 자전거 도둑이 되게 한 것입니다. 즉, ‘자전거 도둑-간질-오빠’로 이어지는 매개의 연속에서 스스로 자전거 도둑이 되어 오빠와 자신을 동일시하려는 심리적 보상욕구가 작용한 것이죠. 그런데, 그녀가 훔쳐 타는 것을 ‘나’가 알아 버렸으니 그녀는 더 이상 자전거 도둑이 될 수 없던 것이죠. 따라서 이제 다른 사람의 자전거를 훔쳐 타면서, 간질이었던 오빠를 생각하고 있는 것입니다.
▶ 발표를 한다.
- 오빠에대한 죄책감을 벗어나려면 자전거를 훔쳐타야 하는데, ‘나’가 그 사실을 알아버렸으니까 더 이상 자전거 도둑이 될 수 없었을 거에요.
- 그래서 이제 다른 사람의 자전거를 훔쳐 타면서, 여전히 간질이었던 오빠를 생각하는 거에요.
교과서
학생들의 다양한 답변에 적절히 피드백을 해준다.
학습단계
학습요항
시간
교 수 - 학 습 활 동
수업 형태
및 자료
도달점
및 유의점
교 사
학 생
전
개
창작 활동
14
(49)
- 이렇게 내면의 상처를 중심으로 소설을 살펴봤는데요, 누구나 그런 상처를 하나씩은 가지고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소설의 ‘나’나 ‘서미혜’처럼 성인이 되어서도 따라다니는 상처의 기억이 있고, 무언가를 볼 때마다 떠오르는 상처의 기억이 있을 거에요. 이번에는 그런 상처들을 글로 써보는 활동을 해보겠습니다.
- 나누어준 학습지에 있는 질문들에 답하면서 자신의 ‘내면 상처’를 더듬어 보겠습니다.
▶ 학습지의 물음에 답하게 한다.
- 그럼, 이 내용을 바탕으로 멋진 글을 하나 써볼까요? 산문도 좋고 시도 좋아요. 자유롭게 여러분의 생각들을 표현해 봅시다.
▶ 발표를 진행한다.
▶ 학습지의 질문에 답한다.
▶ 질문의 답을 바탕으로 글을 창작해본다.
▶ 발표를 한다.
학습지
창작 활동에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격려한다.
정
리
정리 및 차시예고
1
(50)
▶ 내용을 정리하고 다음 시간에 배울 내용을 안내한다.
- 이번시간에는 등장인물의 행위를 통해 인물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내면의 상처’를 소재로 글을 창작해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4단원 역사와 사회 속에서를 살펴볼테니까 미리 읽어오도록 하세요.
▶ 인사
- 수고했어요.
▶ 배운 내용을 떠올리며 내용을 정리한다.
▶ 인사
- 감사합니다.
설명식
다음 시간의 내용을 확실히 인지시킨다.
(2) 자전거 도둑
학습 목표
1. 등장인물의 행위를 통해 인물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말할 수 있다.
2. 자신이 가진 ‘내면의 상처’를 글로
표현할 수 있다.
< 판서 계획 >
《 학 습 지 》
1. 내면의 상처를 떠올리며 다음 물음에 답해보세요.
(1) 언제 있었던 일인가?
(2) 누구에게 상처를 받았나?
(누구에게 상처를 주었나?)
(3) 어떤 상처였나?
(3) 그때의 느낌과 생각은?
(상처를 주거나 받았을 때)
(4) 언제 그 상처가 다시 떠오르곤 하는가?
(5) 현재 그 상처를 극복했는가?
(6) 현재 그 상처에 대한 생각은?
(1) 언제 있었던 일인가?
(2) 누구에게 상처를 받았나?
(누구에게 상처를 주었나?)
(3) 어떤 상처였나?
(3) 그때의 느낌과 생각은?
(상처를 주거나 받았을 때)
(4) 언제 그 상처가 다시 떠오르곤 하는가?
(5) 현재 그 상처를 극복했는가?
(6) 현재 그 상처에 대한 생각은?
2. 위 답변을 바탕으로 글을 써봅시다.
< PPT 자료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