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DAB시스템 특성비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각DAB시스템 특성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유럽의 DAB 상용화 현황

2. 미국의 DAB 개발

3. 일본의 DAB 개발

4. 국내 기술 개발 현황

본문내용

'96년부터 '00년까지 5 개년에 걸쳐 약 280 억원을 투입하여 연구하였으며, 생산기술연구원은 '93년 실험용 수신기 개발에 착수하였고 전자부품연구원도 '00년까지 단계별로 수신기 개발을 추진하였다.
국내 지상파 DAB 표준 방식은 2000년 Eureka-147 방식을 잠정 표준으로 채택하였으며 2003년 국내 표준으로 확정하였다. 국내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화는 2001년 9월부터 지상파 TV 5개 채널이 수도권에서 디지털 본방송을 시작했으며 2002년 3월에는 SkyLife에서 무궁화 위성 3호의 중계기 10기를 사용하여 140여개 채널의 국내 디지털 위성 방송을 시작하였다. 또한 지상파와 위성을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DAB)은 각각 2003년과 2004년부터 시작될 예정이며 DAB 채널을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와 데이터 방송뿐만 아니라 디지털 TV등 디지털 비디오 방송을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DMB)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DMB는 CD 수준의 오디오는 물론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송 특성상 이동 TV 수신도 가능하기 때문에 승용차 및 보행자를 위한 이동 TV 서비스가 활성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1.04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66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