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기치료학
1). 전기치료학을 정의
2). 전기치료의 종류와 특성을 인식
2. 전기의 역사
1). 전기의 발달과정을 인식
3. 전기치료의 역사
1). 고대
3). 16-17세기
4). 18세기
5). 19세기
6). 20세기
1). 전기치료학을 정의
2). 전기치료의 종류와 특성을 인식
2. 전기의 역사
1). 전기의 발달과정을 인식
3. 전기치료의 역사
1). 고대
3). 16-17세기
4). 18세기
5). 19세기
6). 20세기
본문내용
topograph of motor point제시
1870 Engelmann - SD curve 제시
1916 ED Adrian - 강시곡선 제시
1909 Lapicques - 기전류 (rheobase)와 시치 (chronaxie) 용어 사용
1889 Joubert, D'Arsonval - 고주파수전류의 특성 실험
6). 20세기
1907 F Nagelschmidt - 고주파전류의 열효과 보고, diathermy용어사용
1929 FD Howitt - Diathermy and the King 발표
1954 장파투열치료기 (long wave diathermy) 폐기
1945 Haislip - DynaWave Neuromuscular Stimulator (HVS) 소개
1949 H Nemec - interferencial current therapy 소개
1967 CN Shealy - dorsal column stimulator 개발
1953 I Yasuda - 뼈의 전기적 성질 보고
1980 CM Illingworth, AT Barker - 손상부위 미세전류 측정
1961 WT Liberson - footdrop환자용 FES 고안
1870 Engelmann - SD curve 제시
1916 ED Adrian - 강시곡선 제시
1909 Lapicques - 기전류 (rheobase)와 시치 (chronaxie) 용어 사용
1889 Joubert, D'Arsonval - 고주파수전류의 특성 실험
6). 20세기
1907 F Nagelschmidt - 고주파전류의 열효과 보고, diathermy용어사용
1929 FD Howitt - Diathermy and the King 발표
1954 장파투열치료기 (long wave diathermy) 폐기
1945 Haislip - DynaWave Neuromuscular Stimulator (HVS) 소개
1949 H Nemec - interferencial current therapy 소개
1967 CN Shealy - dorsal column stimulator 개발
1953 I Yasuda - 뼈의 전기적 성질 보고
1980 CM Illingworth, AT Barker - 손상부위 미세전류 측정
1961 WT Liberson - footdrop환자용 FES 고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