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목차
영화 속에 담긴 과학적인 오류
주체할 수 없는 영화적 상상력 혹은 영화적 재미
좋은 장면을 위해서라면 과학도 버릴 수 있다
흥미로운 설정이 주는 주제의식
제작비 부족
과학에 대한 감독의 무지
과학자에 대한 오해와 편견
왜 영화를 과학의 눈으로 봐야 하는가?
과학적인 설정은 기본
과학의 눈으로 영화를 보면 더 재미있다.
과학적 설정 위에서 영화적 상상력의 나래를 펼 때 영화는 더 감동적이다
영화적 상상력이 과학을 자극한다
과학이 영화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더 좋은 영화를 위하여
주체할 수 없는 영화적 상상력 혹은 영화적 재미
좋은 장면을 위해서라면 과학도 버릴 수 있다
흥미로운 설정이 주는 주제의식
제작비 부족
과학에 대한 감독의 무지
과학자에 대한 오해와 편견
왜 영화를 과학의 눈으로 봐야 하는가?
과학적인 설정은 기본
과학의 눈으로 영화를 보면 더 재미있다.
과학적 설정 위에서 영화적 상상력의 나래를 펼 때 영화는 더 감동적이다
영화적 상상력이 과학을 자극한다
과학이 영화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더 좋은 영화를 위하여
본문내용
인디펜던스 데이 (1996)
지름 24km의 외계인 비행접시가 지구로 침공하면?
영화보다 끔찍한 일이 벌어진다!
지름이 24km, 높이 3km의 비행접시(모선)
모선의 비중이 물과 같은 1g/cm3 라면: 모선 무게는 1천억 톤
질문: 1천억 톤짜리 비행접시를 허공에 떠있게 하려면 하단부에 얼마나 큰 압력을 가해야 하는가?
비행접시(모선)의 무게를 밑바닥 면적으로 나누면, 204kg/inch2
해수면에 작용하는 대기압(6.8)의 30배!!!
cf. 대부분의 건물은 대기압의 5배 이상을 견디지 못한다.
질문: 지름 24km, 무게 1천억톤짜리 비행접시가 1600m 상공에서 추락한다면?
2차대전때 히로시마에 투하된 핵 폭탄의 1만배 파괴력.
인디펜던스 데이: 물리학 법칙으로부터의 독립 기념일!
혹은 ‘인류 멸종 기념일’!!
지름 24km의 외계인 비행접시가 지구로 침공하면?
영화보다 끔찍한 일이 벌어진다!
지름이 24km, 높이 3km의 비행접시(모선)
모선의 비중이 물과 같은 1g/cm3 라면: 모선 무게는 1천억 톤
질문: 1천억 톤짜리 비행접시를 허공에 떠있게 하려면 하단부에 얼마나 큰 압력을 가해야 하는가?
비행접시(모선)의 무게를 밑바닥 면적으로 나누면, 204kg/inch2
해수면에 작용하는 대기압(6.8)의 30배!!!
cf. 대부분의 건물은 대기압의 5배 이상을 견디지 못한다.
질문: 지름 24km, 무게 1천억톤짜리 비행접시가 1600m 상공에서 추락한다면?
2차대전때 히로시마에 투하된 핵 폭탄의 1만배 파괴력.
인디펜던스 데이: 물리학 법칙으로부터의 독립 기념일!
혹은 ‘인류 멸종 기념일’!!
추천자료
SF영화 분석
프랑스영화
공포영화에서의 공포요소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
영화의 초현실과 다다이즘
영화속의철학
SF영화란 무엇인가?
한국영화에 나타난 '악' 에 대한 관점 변화 - 과거와 현재의 비교분석을 통해
영화 흥행과 장르. 스타. 시리즈 관계조사
영화 <가타카 (GATTACA)>를 보고나서. 그에 대한 고찰과 인류부흥을 위한 판단.
영화 ‘우주전쟁’ 에 담긴 SF적 Metaphor와 Metonym
한국영화사 - 조선변사에 대해서
영화 <무산일기 (The Journals Of Musan)>를 통해본 한국사회의 부적응자
인도영화, 『로봇 (The Robot) 2010』 감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