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Definition)
2. 역사 (History)
3. 물리 (Physics)
4. 고전압맥동전류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HVPCS)
5. 생리적 효과 및 치료효과
6. 적응증 (Indications)
7. 금기증 (Contraindication)
2. 역사 (History)
3. 물리 (Physics)
4. 고전압맥동전류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HVPCS)
5. 생리적 효과 및 치료효과
6. 적응증 (Indications)
7. 금기증 (Contraindication)
본문내용
이 단속 (interruption)된다. 교대맥동은 대개 1:1 에서 1:5까지의 비율로 자극주기(duty cycle, on-off cycle) (표 13-1).
표 13-1. 자극주기와 특성
자극주기 특 징
1:1 2-10초 자극 2-10초 휴식
1:2 2-10초 자극 4-20초 휴식
1:3 2-10초 자극 6-30초 휴식
1:4 2-10초 자극 8-40초 휴식
1:5 2-10초 자극 10-50초 휴식
2). 강도
표 13-2. 강도의 분류
구 분 특 징
최소감각자극 전류를 겨우 느끼는 낮은 강도
감각자극 근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강도
통증자극 근수축이 일어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통증을 느끼는 강도
운동자극 근수축을 일으키는 강도
강한 운동자극 강축 (tetanic contraction)을 일으키는 강도
3). 전극교대 (pad mode)
- 활성전극을 두개 사용할 때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 활성전극과 다른 활성전극에서 교 대로 통전시키는 방법
- 대개의 치료기는 2.5초, 5초, 10초의 세가지를 1:1로 교대
- 한 활성전극에서 2.5-10초 동안 통전된 후 2.5-10초 동안 맥동이 정지하고 다시 다 른 활성전극에서 2.5-10초 동안 통전시키는 방법이다.
4). 치료시간과 치료빈도
- 치료시간은 1분에서 50분 까지
- 치료빈도도 격일치료, 1일 1회에서 1일 3회 까지
5). 전극배치방법
(1) 단극배치방법
- 비활성전극을 적당한 부위에 대고 활성전극을 통증부위, 발통점, 경축부위, 창상부 위, 부종부위, 근육 등에 대주는 방법
(2) 양극배치방법
- 크기가 같은 두개의 전극을 통증부위, 경축부위, 부종부위, 근육, 순환장애부위, 경혈 등의 양쪽에 대주는 방법
6). 질환에 따른 치료방법 (표 13-3)
1) 통증의 치료방법
(1) 급성통증
수술, 외상에 따른 통증 및 건염, 점액낭염, 신경염 등으로 인한 급성통증은 50-120 pps의 연속맥동전류로 근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강도로 감각신경을 30분간 자극.
(2) 만성통증
요통, 퇴행성관절염 등으로 인한 만성통증은 2-15 pps의 연속맥동전류로 근수축은 일 어나지 않고 견딜수 있는 범위에서 통증을 느끼는 강도로 발통점마다 1-10분간 자극
2) 근경축 치료방법
100-125 pps의 연속맥동전류로 근수축이 일어나는 강도로 감각신경을 30-60분간 자극
3) 창상치료
80-120 pps의 연속맥동전류로 근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강도로 감각신경을 30분간 자극 하는 방법으로 1일 1회 또는 주당 3회 치료한다.
4) 부종
80-120 pps의 연속맥동전류로 근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강도로 감각신경을 20-30분간 자극한다.
5) 관절운동제한
80-125 pps의 연속맥동전류로 근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강도로 감각신경을 30분간 1일 3회씩 자극
6) 근육약화
- 20-30 pps의 연속맥동전류로 활성전극을 음극으로 하여 운동점에 대고 비활성전극은 근위부의 절절한 부위에 댄 다음 근수축이 일어나도록 자극하며 자극주기는 1:5
- 35-50 pps의 교대맥동전류로 전극을 근육 양쪽에 대고 10-20회 근수축이 일어나도 록 2-10초 자극하고 5-40초 휴식하는 방법으로 자극
7) 순환장애
- 50-100 pps의 연속맥동전류로 최소감각자극을 느낄 정도의 강도로 20-30분간 자극
- 2-5 pps의 연속맥동전류로 경혈을 자극
1. 정의 (Definition)
2. 역사 (History)
3. 물리 (Physics)
4. 고전압맥동전류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HVPCS)
5. 생리적 효과 및 치료효과
6. 적응증 (Indications)
7. 금기증 (Contraindication)
표 13-1. 자극주기와 특성
자극주기 특 징
1:1 2-10초 자극 2-10초 휴식
1:2 2-10초 자극 4-20초 휴식
1:3 2-10초 자극 6-30초 휴식
1:4 2-10초 자극 8-40초 휴식
1:5 2-10초 자극 10-50초 휴식
2). 강도
표 13-2. 강도의 분류
구 분 특 징
최소감각자극 전류를 겨우 느끼는 낮은 강도
감각자극 근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강도
통증자극 근수축이 일어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통증을 느끼는 강도
운동자극 근수축을 일으키는 강도
강한 운동자극 강축 (tetanic contraction)을 일으키는 강도
3). 전극교대 (pad mode)
- 활성전극을 두개 사용할 때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 활성전극과 다른 활성전극에서 교 대로 통전시키는 방법
- 대개의 치료기는 2.5초, 5초, 10초의 세가지를 1:1로 교대
- 한 활성전극에서 2.5-10초 동안 통전된 후 2.5-10초 동안 맥동이 정지하고 다시 다 른 활성전극에서 2.5-10초 동안 통전시키는 방법이다.
4). 치료시간과 치료빈도
- 치료시간은 1분에서 50분 까지
- 치료빈도도 격일치료, 1일 1회에서 1일 3회 까지
5). 전극배치방법
(1) 단극배치방법
- 비활성전극을 적당한 부위에 대고 활성전극을 통증부위, 발통점, 경축부위, 창상부 위, 부종부위, 근육 등에 대주는 방법
(2) 양극배치방법
- 크기가 같은 두개의 전극을 통증부위, 경축부위, 부종부위, 근육, 순환장애부위, 경혈 등의 양쪽에 대주는 방법
6). 질환에 따른 치료방법 (표 13-3)
1) 통증의 치료방법
(1) 급성통증
수술, 외상에 따른 통증 및 건염, 점액낭염, 신경염 등으로 인한 급성통증은 50-120 pps의 연속맥동전류로 근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강도로 감각신경을 30분간 자극.
(2) 만성통증
요통, 퇴행성관절염 등으로 인한 만성통증은 2-15 pps의 연속맥동전류로 근수축은 일 어나지 않고 견딜수 있는 범위에서 통증을 느끼는 강도로 발통점마다 1-10분간 자극
2) 근경축 치료방법
100-125 pps의 연속맥동전류로 근수축이 일어나는 강도로 감각신경을 30-60분간 자극
3) 창상치료
80-120 pps의 연속맥동전류로 근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강도로 감각신경을 30분간 자극 하는 방법으로 1일 1회 또는 주당 3회 치료한다.
4) 부종
80-120 pps의 연속맥동전류로 근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강도로 감각신경을 20-30분간 자극한다.
5) 관절운동제한
80-125 pps의 연속맥동전류로 근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강도로 감각신경을 30분간 1일 3회씩 자극
6) 근육약화
- 20-30 pps의 연속맥동전류로 활성전극을 음극으로 하여 운동점에 대고 비활성전극은 근위부의 절절한 부위에 댄 다음 근수축이 일어나도록 자극하며 자극주기는 1:5
- 35-50 pps의 교대맥동전류로 전극을 근육 양쪽에 대고 10-20회 근수축이 일어나도 록 2-10초 자극하고 5-40초 휴식하는 방법으로 자극
7) 순환장애
- 50-100 pps의 연속맥동전류로 최소감각자극을 느낄 정도의 강도로 20-30분간 자극
- 2-5 pps의 연속맥동전류로 경혈을 자극
1. 정의 (Definition)
2. 역사 (History)
3. 물리 (Physics)
4. 고전압맥동전류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HVPCS)
5. 생리적 효과 및 치료효과
6. 적응증 (Indications)
7. 금기증 (Contraindicatio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