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압 맥동전류 자극치료 역사, 효과, 금기증, 적응증, 임상적용, 임상사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압 맥동전류 자극치료 역사, 효과, 금기증, 적응증, 임상적용, 임상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전압맥동전류의 역사적 배경(historical background)을 알 수 있다.

2. 고전압맥동전류의 치료 효과를 설명한다.

3. 고전압맥동전류의 부수적 효과를 설명한다.

4. 고전압맥동전류의 적응증을 설명한다.

5. 고전압맥동전류의 금기증을 설명한다.

6. 고전압맥동전류의 임상적용(질환에 따른 고전압맥동전류의 치료조건)을 설명한다.

7. 고전압맥동전류의 임상사례를 설명한다.

본문내용

음극자극군을 비교한 결과 양극 자극의 경우 파열강도가 대조군보다 362.8g 증가한 반면 음극자극의 경우 파열강도가 대조군보다 675.1g감소하여 양극에서는 건치유가 일어나지만 음극에서는 치유가 일어나지 않음을 보고하였다.
- 극성에 따른 건 치유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고전압맥동전류의 짝정점파와 미세전류자극기의 Tsunami파로 흰쥐의 아킬레스건을 자극하고 건의 부하파열강도를 측정하였다. 고전압맥동전류의 맥동빈도는 10 pps, 평균강도는 40 A, 맥동기간은 50 s로 짧았고 양극으로 건을 15분 자극하였다. 미세전류자극기의 Tsunami파는 맥동기간이 길고 극성은 주기적으로 음과 양으로 바뀌었다. Tsunami파로 자극한 경우 건의 부하파열강도가 대조군보다 높았고, 고전압맥동전류로 자극한 군은 Tsunami파 자극군보다 건의 부하파열강도가 높아 양극자극이 건의 치유를 더 촉진함을 입증하였다.
- Bourguignon과 Bourguignon (1987)은 고전압맥동전류의 맥동빈도와 정점강도를 다양하게 바꾸어 20분간 섬유모세포를 자극하고 [3H]proline 및 [3H]thymidine으로 표지하여 단백 합성능과 DNA 합성능을 분석한 결과 맥동빈도 100 pps, 정점강도 250 V에서는 단백 합성능과 DNA합성능이 억제되었으나 정점강도 50V와 75V에서 단백 합성능과 DNA합성능이 증가함을 보고하였고, Bourguignon 등(1989)은 위와 같은 조건으로 사람의 섬유모세포에 전기자극을 가한 결과 섬유모세포의 원형질막에서 Ca++ 통로가 열려 세포내 Ca++이 증가되고 인슐린 수용체 결합이 상승되어 단백 및 DNA 합성이 증가됨에 따라 건치유가 촉진된다 하였다.
이와 같이 건 치유 목적으로 고전압맥동전류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미세전류자극이 사용되고 있으며 전기자극에 의한 건치유기전은 cAMP대사 조절에 의해 DNA 합성능 및 콜라겐합성능이 증가되고, 섬유모세포의 세포내 Ca++증가와 Ca++의 인슐린결합이 상승되어 섬유모세포가 증식되기 때문으로 본다.
* 창상치유
- Brown 등 (1989)은 맥동빈도 80 pps, 맥동기간 100 s, 강도 30-60 V의 고전압맥동전류로 첫 3일간은 음극을 나머지 4일간은 양극을 활성전극으로 하여 토끼 창상 부를 자극한 결과 창상이 100% 치유되었고, 창상장력과 유사분열세포의 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상피화의 속도가 현저하게 빨라 전기자극이 창상치유를 촉진시켰음을 보고하였다.
- Griffin 등 (1991)은 맥동빈도 100 pps, 맥동기간 75 s, 강도 200 V의 고전압맥동전류로 척수손상환자의 욕창을 양극으로 자극한 결과 욕창치유속도가 유의하게 증가했음을 보고하였다.
고전압맥동전류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미세전류자극기로 여러 가지 원인으로 초래된 창상, 욕창, 궤양, 화상, 부종, 외상, 피부이식 술 후 치유촉진목적으로 사용한다. 양극 활성전극을 창상부에 대고 비활성전극을 적절한 부위에 대거나 또는 활성전극과 비활성전극을 창상부위 위 아래에 대고 자극한다.
전기자극에 의한 창치유기전은 전류에 의한 손상전류의 회복, 미세순환 증진, 이온 이동 촉진, 섬유모세포 이동 촉진, 단백 합성능 촉진, 혈관울혈 감소, 상피세포의 유사분열 및 이동 촉진, 대식세포 및 백혈구 이동 촉진, 살균작용 등으로 설명한다.
8. REVIEW
※ 고전압맥동전류자극치료(high voltage pulsed current stimulation, HVPCS)는 독특한 파(twin-peak wave) 맥동전류로 맥동기간이 μs 단위로 매우 짧으나 수백 V에 이르는 높은 전압을 사용하는 전기자극치료의 한 종류이다.
파형 : 짝정점파(Mono phasic twin-peak wave)
맥동기간 : 매우 짧다.( 100μsec 이하 )
전압 : 매우 높다.( 최소 100V, 보통 500V )
정점전류 : 매우 높다.( 2000~2500mA )
평균전류 : 매우 낮다.
※ 고전압맥동전류의 특성
다음의 네 가지요인이 생리적 반응에 영향을 준다.
- 맥동기간(pulse duration, pulse width)
맥동기간이 몇 μs 정도로 짧을 때에는 감각신경섬유가 먼저 흥분하고, 운동신경섬유, 통각섬유의 순서로 흥분.
- 정점전류(peak current)
전류의 침투깊이는 전류의 강도에 비례(∵ 정점전류가 낮으면 말초신경을 흥분시키는데 한계가 있음)
정점전류↑ 조직의 저항↓ (∵ 전류가 심부조직에 도달하여 더 깊은 조직의 운동단위를 흥분시킬 수 있음.)
- 맥동빈도(pulse rate, frequency)
맥동빈도는 근수축의 형태와 근피로에 영향을 미친다. 맥동빈도를 높이면 근피로가 쉽게 일어나는데 단속 시간비(on off ratio)를 조절하면 근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다.
- 맥동전하(pulse charge)
개개의 맥동에서 조직에 전달되는 전기에너지의 양.
고전압맥동전류는 맥동간간격이 넓고(9) 맥동기간이 짧기(1) 때문에 전하의 축적이 아주 적다. (비율 9:1)
조직손상과 심장의 전기적 활동 방해와 관련이 있음(전기자극치료의 중요한 변수).
맥동전하량이 과도하면 위험하기 때문에 생리학적 효과가 충분히 일어날 정도의 전하량으로 자극해야 한다.
※ 치료효과
고전압맥동전류는 이러한 여러가지 생리적 효과를 바탕으로 통증완화, 근경축 완화, 창상치유, 부종흡수촉진, 관절운동 증진, 신경근자극, 말초순환 증진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 적응증 (Indications)
통증, 근경축, 창상 (wound), 부종을 동반하는 질환 및 손상, 관절운동제한을 동반하는 질환 및 손상, 근육의 약화, 순환장애
※ 금기증 (Contraindication)
순환장애
경동맥 위
심박조정기를 부착한 환자
임신부
발작 (seizure) 환자
→ 심장을 가로지르는 전극배치를 해서는 안된다.
※ 적용방법
맥동빈도, 연속 또는 교대맥동, 극선택, 전극위치(단극배치, 양극배치)등의 치료조건과 전류강도 및 치료시간등의 용량은 치료목적에 따라 결정한다.
→ 질환에 따른 치료방법
- 급성통증, 만성통증, 근경축 치료방법, 창상치료, 부종, 관절운동제한, 근육약화, 순환장애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4.23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62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