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월령별 사회성 발달
2. 사회성 발달의 토대 - 애착
3. 사회성 발달의 전제 - 자아
4. 공격성이 강한 아이
5. 내성적이고 자기표현을 못하는 아이
2. 사회성 발달의 토대 - 애착
3. 사회성 발달의 전제 - 자아
4. 공격성이 강한 아이
5. 내성적이고 자기표현을 못하는 아이
본문내용
다. 이는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타인과 의견을 나누고, 공통의 놀이, 대화 주제를 찾아낼 줄 알며, 참고 인내하는 법을 터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회성 발달에 중요한 요건은 두말할 필요 없이 공동체 생활을 들 수 있는 것이다.
우리 애가 내성적이라 아이들과 어울리기보다 혼자 노는 것을 좋아한다.라고 생각하는 엄마들이 있지만, 여기에는 오해의 소지가 내재되어 있다. 흔히 내성적인 아이는 자기만의 세계에 빠져들어 혼자 있는 것을 즐기는 것처럼 보이지만, 다른 아이와 어울리지 못하기 때문에 제 2의 방편으로 자기 혼자만의 놀이를 선택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엄마는 아이가 어울려가는 방법을 배우도록 적극적으로 또래 친구들과의 만남을 주선할 필요가 있다. 물론 처음에는 쭈뼛쭈뼛 꺼리던 아이들도 점차 그 안에서 어울리는 법을 터득하게 될 것이다.
또 공통의 주제, 즉 접촉점을 발견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도 중요하다. 이것은 자기의 관심사 혹은 자기 자신만이 중요하다는 자기중심적인 아이에게도 필요한 능력이다. 내성적인 아이, 자기중심적인 아이가 다른 아이와의 관계를 매끄럽게 이어가기 위해서는 다른 아이와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접촉점을 발견하는 것이 절실하기 때문이다.
이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엄마와 다양한 놀이와 책읽기, 활동을 해보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다양한 책을 읽어본 아이는 다른 아이와의 관계 속에서 자기가 예전에 읽은 책의 내용 속에서 함께 흥미를 느낄 만한 것을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러 가지 놀이를 해본 아이도 마찬가지이다. 반죽놀이, 그림 그리기, 블록 놀이 등등 다양한 놀이 중에서 가장 적합한 것을 다른 아이에게 제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아이가 혼자서 다른 아이들과의 놀이에 참여하지 못할 때는 아이들의 놀이에 엄마가 하나의 일원으로 참여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그러나 엄마가 놀이의 관찰자, 또는 놀이의 참견자가 된다면 아이의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엄마가 아이들과 함께 놀이를 함께 한다는 의미는 하나의 놀이의 구성원으로서 동등하게 참여하여 아이가 자연스레 아이들과 함께 어울릴 수 있도록 분위기를 자연스럽게 끌어주는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 참고
유아사회지도. 홍순정, 정민사
유아의 사회성 발달. 김수영외, 학지사
유아사회교육. 구광현외, 동문사
유아 사회성 발달과 교육. 최혜순, 학문사
우리아이에게 첫 친구가 생겼어요. 김숙경, 한울림
우리 애가 내성적이라 아이들과 어울리기보다 혼자 노는 것을 좋아한다.라고 생각하는 엄마들이 있지만, 여기에는 오해의 소지가 내재되어 있다. 흔히 내성적인 아이는 자기만의 세계에 빠져들어 혼자 있는 것을 즐기는 것처럼 보이지만, 다른 아이와 어울리지 못하기 때문에 제 2의 방편으로 자기 혼자만의 놀이를 선택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엄마는 아이가 어울려가는 방법을 배우도록 적극적으로 또래 친구들과의 만남을 주선할 필요가 있다. 물론 처음에는 쭈뼛쭈뼛 꺼리던 아이들도 점차 그 안에서 어울리는 법을 터득하게 될 것이다.
또 공통의 주제, 즉 접촉점을 발견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도 중요하다. 이것은 자기의 관심사 혹은 자기 자신만이 중요하다는 자기중심적인 아이에게도 필요한 능력이다. 내성적인 아이, 자기중심적인 아이가 다른 아이와의 관계를 매끄럽게 이어가기 위해서는 다른 아이와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접촉점을 발견하는 것이 절실하기 때문이다.
이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엄마와 다양한 놀이와 책읽기, 활동을 해보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다양한 책을 읽어본 아이는 다른 아이와의 관계 속에서 자기가 예전에 읽은 책의 내용 속에서 함께 흥미를 느낄 만한 것을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러 가지 놀이를 해본 아이도 마찬가지이다. 반죽놀이, 그림 그리기, 블록 놀이 등등 다양한 놀이 중에서 가장 적합한 것을 다른 아이에게 제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아이가 혼자서 다른 아이들과의 놀이에 참여하지 못할 때는 아이들의 놀이에 엄마가 하나의 일원으로 참여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그러나 엄마가 놀이의 관찰자, 또는 놀이의 참견자가 된다면 아이의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엄마가 아이들과 함께 놀이를 함께 한다는 의미는 하나의 놀이의 구성원으로서 동등하게 참여하여 아이가 자연스레 아이들과 함께 어울릴 수 있도록 분위기를 자연스럽게 끌어주는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 참고
유아사회지도. 홍순정, 정민사
유아의 사회성 발달. 김수영외, 학지사
유아사회교육. 구광현외, 동문사
유아 사회성 발달과 교육. 최혜순, 학문사
우리아이에게 첫 친구가 생겼어요. 김숙경, 한울림
추천자료
마음의 이론과 사회성 발달간의 관계
아동의 사회화와 사회성 행동의 발달
발달장애 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형제, 자매들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또래” 에 관해
[유아교육] 영유아기 사회성 발달
아동발달 유아기 언어, 사회성 발달
성격 및 사회성 발달과 관련하여 본인이 현재 경험하는 대인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론...
[보육학개론]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이론적 고찰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서술.
영아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부모 또는 교사의 지원방법에 대해 토론
만4세 유아의 사회성 발달(사회관계영역)을 촉진시킬 수 있는 5가지 프로그램을 작성
영아기 사회성 발달(영아기 형제관계 및 또래관계)
[유아기 사회성 발달] 유아기 사회화(유아기의 사회화인자 및 사회화기제)
아동발달)Erikson의 심리사회적 이론을 설명하고, 영아기부터 아동기까지 아동의 사회성 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