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발달 유아기 언어, 사회성 발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발달 유아기 언어, 사회성 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1장 언어의 발달(p269)

1. 언어연구의구성 p1
(1) 음운론
(2) 어형론
(3) 의미론
(4) 실용론
(5) 구문론
2. 언어획득의 이론 p2
(1) 행동주의 이론
(2) 변형문법 이론
(3) 상호작용 이론
3. 언어의이해 p3
(1) 자기 중심적 언어와 사회화된 언어
(2) 유아어의 특징
(3) 한글 읽기
(4) 외국어 학습

제12장 사회성 발달(p287)
1. 사회심리발달 p10
(1) 독립심
(2) 주도성
(3) 자아 통제
2. 성역할 p11
(1) 성역할의 발달 이론
(2) 성역할의 발달
3. 도덕성 발달 p13
(1) 도덕성 발달 이론
(2) 도덕성 발달과 주변 환경
4. 정서 발달 p15
(1) 정서 발달의 이론적 접근
(2) 정서의 기능
(3) 주요 정서 반응

본문내용

, 법률 현장 등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도덕적 인지에 대한 연구이다. 개인의 도덕적 사고와 행동은 사회적 사고와 행동과 분리 될 수 없으므로 인지적 접근에 강조될 것이다.
4. 정서 발달
-> 유아의 정서발달 처음 미분화
-> 학습이나 지각에 의한 경험 증가
-> 차츰 분화, 더욱 풍부
*정서- 자신이나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표현하며 통제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
*정서지능 -사고력, 기억력, 주의력 등 자신의 능력을 표현하거나 조절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 능력,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점검, 그것들의 차이를 변별, 생각하고 행동하는데 이런 정보를 이용할 줄 아는 능력
1 정서인식
2 정서조절
3 자신을 동기화
4 다른사람에 대한 공감
5 대인관계 다루기
*Golman
1. 정서지능이 좌절상황에서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
2. 자신을 지켜낼수 있게 함
3.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의욕을 잃지 않게 함
4. 충동통제와 순간적인 만족지연을 가능케 함.
5. 기분상태 조절
6. 고뇌와 스트레스로 인한 합리적 사고능력의 방해를 받지 않게 함
7. 타인에 대해 공감할수 있는 공감능력을 키움
8. 희망을 버리지 않게 하는 능력
*Mayer, Salovey
-IQ는 상당부분 선천적으로 결정됨
EQ는 후천적인 학습을 통해 획득이 가능함
-정서지능의 학습적 적기
생후 3~4세 까지 인간의 두뇌는 성인크기 2/3까지 성장 이기간의 경험을 통해 가장 많은 것을 학습, 흡수
*정서지능의 발달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되는 지적능력의 의미
*정서의 평가와 조절
1. 자신의 언어적 측면으로 정서는 언어에 의해서 평가되고 표현
2. 비언어적 측면으로 정서적 의사소통의 많은 부분이 비언어적경로를 통해 나타난다.
3. 타인의 비언어적 정서의 인식으로 타인의 불쾌한 감정을 감지하는 능력과 \감정인식 능력 ex) 얼굴표정
4. 감정이입으로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그 감정을 자신의 내부에서 재 경험해보는 것
ex) 역지사지
*다중지능 이론- Gardner(1983)
(1) 자기정서의 인지와 표현능력
- 정서를 인지한다는 것은 정서유발의 원인이 되는 내적상태와 변화 및 외적사건, 그리고 이런 요인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과 또 어떤 동기에서 정서가 유발되고 그 기능이 무엇인지 그리고 정서유발의 결과로 나타나는 행동과 표현이 무엇인지 아는 것을 의미한다.
- 유아는 타인과 소통을 할 때 그 사람의 표정, 언어, 행동 등을 단서로 정서상태에 대한 지식을 얻게 되며, 이를 통해 타인의 행동을 예견, 자신의 정서반응을 해석 정서표현의 방식을 결정한다.
(2)자기정서의 조절
- 인식된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처리하여 변화 시킬 수 있는 능력으로서 분노의 조절, 절제, 인내심 혹은 목표달성을 위해 생각이나 감정, 행동을 조화 시키는 능력
- 자신의 정서조절은 자신의 유쾌하고 긍정적인 기분을 유지하고 지속시키며 부정적인 기분은 긍정적인 기분으로 변화시키려고 하는 것이다.
(3) 자기정서의 이용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취를 위해 노력할 수 있는 능력 즉 나중에 보다 큰 보상을 얻기 위하여 즉각적인 욕구만족을 자발적으로 지연시키는 만족지연 능력
-만족지연 능력은 정신분석에서 이드(ID)의 쾌락원리를 따르는 즉각적 만족과 에고(Ego)의 현실원리를 따르는 이성적 판단과의 관계에서 발달
1) 정서 발달의 이론적 접근
(1) 행동주의 및 사회 학습 이론
타인의 행동을 모방하고 관찰함으로서 또한 사회적 강화를 받음으로서 발달
(2) 인지발달이론
인지가 발달해 감에 따라 사건을 구조화하고 현실을 이해하는 능력이 발달된 결과
(3) 기능주의적 접근
인간행동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매개체로서 인지적 활동이나 사회적 행동에 정서가 반드시 개입한다는 입장이다. 지적 사회적 발달이 이루어짐에 따라 정서도 발달되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표현할 수 있는 정서와 없는 정서, 상황에 맞는 정서의 표현 등을 습득한다.
2) 정서의 기능
첫째 아동이 보여주는 정서의 표현이나 정서적 행동은 그들의 심리적 상태와 발달수준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정서의 유형과 표현 방식에 따라 여러 발달 수준을 가늠 할 수 있다. 둘째 아동은 정서 표현을 통해 돌보는 사람의 행동을 유발하고 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셋째, 아동의 정서가 그들의 발달 수준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정서의 표현 방법에 따라 발달 이상을 진단 할 수 있다.
3) 주요 정서 반응
(1) 공포
생후 6~7개월- 낮가림
3세 말 경- 시각적 공포(개, 고양이)
4세경- 이유없는 공포
5세경- 무서움이 사라짐, 동물에 대한 두려움 줄어듬, 무의식 속에 억압, 악몽
6세경- 공포심이 더 강해짐
-그 이유
1. 상상력의 발달- 귀신등 가상적 대상에의 공포
2. 학습에의한 공포- (누나, 어머니가 송충이를 무서워하면 유아도)
3. 유아의 경험세계 확장- 불충분한 지식 때문
(2) 분노
1. 갖고 싶은 물건을 빼앗거나 못하게 하였을 때
2. 요구의 거절-그에 저항하기 위한 정서
*Bridge
1세 6개월~ 3세 75%
적절한 투정 - 3세, 바닥을 구름
4세- 다른 유아에게 욕을 함
5세- 침착해져 신경질적인 발작은 없다.
(3)질투
-애정을 상실했거나 상실할까봐 두려워 함 3,4세
(4)울음
어릴 때 신체상태 표현
점차 사회적 의미
(5)기쁨과 웃음
출생후는 반사적 근육활동
곧 타인과 눈을 마주치며 기쁨을 전달하는 미소
생후 2개월 옹아리시 웃음
3세부터 말로 표현 (자아의식이 뚜렷해지기 시작 ex 인정받을 때)
(6)애정
인간이 사람 동식물 사물에 갖는 정서적 반응, 애정은 상호적인 것
<참고자료 및 문헌>
*언어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http://blog.naver.com/beauty_min?Redirect=Log&logNo=40013273415
*외국어 학습
http://blog.naver.com/susugirls?Redirect=Log&logNo=40036179797
*한글 읽기
이영자(2004). 유아 언어발달과 지도
유아사회교육-이은화 김영옥 공저 - 양서원
유아정신건강- 김진호 이병래 김덕희 공저- 동문사
부모교육 - 정옥분 정순화 공저 -학지사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0.09.27
  • 저작시기20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19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