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아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각장애아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정상적인 청각과정

2. 청각장애의 정의와 분류

3. 청각장애의 진단과 측정

본문내용

청각장애를 조기에 정확히 판별하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1)영아의 판별
선천성 노아동도 건청(健聽: 정상 청력) 아동과 거의 비슷한 발달 과정을 보인다. 영아는 환경을 탐색할 때 주로시각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영아의 시각이 더 예민하게 되면 새로운 세계가 시각에 포착되어 발달 중에 있는 신경근육 조직이 운동을 통한 탐색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영아가 만지고, 느끼고, 맛보고, 탐색하기 위해 손을 내미는 등의 동작을 하면서 자동적으로 발성을 하게 된다. 청각장애 영아도 생후 수개월간은 건청아동들과 동일하고 울고, '구- 구ㅡ'하고 소리를 내며, 발성을 한다. 옹알이 시기가 채 끝나기 이전인 약 6개월경에는 음성형태가 건청아동들과 달라진다. 청각장애 영아는 옹알이가 점차 줄어들어 10개월경에는 옹알이가 감소된다. 청각장애 영아는 자신의 옹알이를 들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옹알이 행동에 대해 어른의 강화를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청력 손실로 의심할 만한 징후는 첫 단어를 말하는 시기인 12개월경에 종종 나타난다. 그러나 이보다 훨씬 뒤에도 의심할 만한 징후가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청각장애를 의심할 만한 징후가 나타나더라도 진단이 이루어지기 까지는 1년이 지연된다.
(2)난청아동
농아동은 발견이 지연되더라도 대게 취학 전에 발견되지만 난청 아동들은 학교에서 실시하는 선별검사를 통해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말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받아들인다. 이들이 청각 기능의 결손을 보충하기 위해 말-읽기를 하지만 말과 언어 기능을 발달시키기 위해 잔청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교육에서 당면하는 어려움은 피할 수 없다.
<경도 청력손실의 징후>
- 윙윙거리는 소리, 이통, 유츌(귀지), 잦은 감기, 인두염 등 귀와 관련된 신체적 문제가 나타나는가?
- 아동의 조음 상태가 좋지 않으며, 특히 몇 가지 자음을 생략하는가?
- 더 정확히 들으려고 의도적으로 화자를 향해 머리나 몸을 돌리는가?
보통 말보다 지시 따르기에 더 많은 어려움이 있는가?
- 다시 말해 달라는 요구를 자주 하는가?
- 정상적인 목소리로 말을 걸 때 잘 돌아보지 않는가?
- 말이나 노래를 너무 크거나 작은 소리로 하는가?
- 위축 행동을 보이고 급우나 이웃 사람과 어울리는 것을 싫어하는가?
- 쉬운 질문에 엉뚱한 대답을 하는 일이 있는가?
- 학업 성취가 잠재 능력에 비해 낮은가?
- 학교나 가정에서 행동이 문제가 되기 시작하는가?
부모와 교사는 이러한 행동에 주의를 기울어야 하며, 청각장애가 의심되면 정밀한 청능학적 평가를 받도록 해야 한다.
*참고 문헌
- 김종현 윤치연 이근매 이성현 이은림 공저(2003). 특수아동교육. 서울 : 형설출판사
- 김승국 김영욱 황도순 정인호 공저 (1998). 청각장애 아동교육 서울 : 교육과학사
- 인터넷 사이트 http://www.hearing
.educyber.org (청각장애의 세계)
- 인터넷 사이트 http://www.yonseislp.or.kr
(부천 연세언어 청각연구원)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1.08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71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