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4.19혁명의요인
4.19혁명의 정치적 상황
4.19혁명의 의미
4.19혁명의 한계
4.19혁명의 계승
4.19혁명의 정치적 상황
4.19혁명의 의미
4.19혁명의 한계
4.19혁명의 계승
본문내용
4.19혁명의 정치적 상황
자유당 이승만 정부는 무엇보다도 주권재민의 원리를 형해화 했다. 민주주의 기본원리는 백성이 주인이다. 그 주인에 의해 정부(입법, 행정, 사법)가 성립된다. 따라서 선거할 사람과 선출된 사람은 동일성 또는 자동성의 원리 위에 서게 된다. 이러한 형식논리는 켈젠의 이론대로 "형태, 수단, 방법"으로서 민주주의를 보게 된다. 이 원칙아래서 백성은 다스려지는 대상이 아니라 섬겨지는 주체로 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유당 이승만 정권은 집권이래 점점 백성들로부터는 이반되는 정치행태를 보여 주었다. 상론하는 것은 피하거니와 다음 몇 가지 주요 사례를 살펴본다. 1948년 당초 내각책임제로 제정된 헌법을 이승만 개인을 위해 대통령제로 개헌했다. 1952년 국회에서 선출하게 된 대통령 선거제를 직선제로 개헌했다. 당시 피난수도 부산에서 부산정치파동을 일으키면서까지 직선제로 개헌한 것은 이미 국회에서 간선으로는 당선이 어려운 사정이었기 때문이다. 1954년 초대 대통령(이승만)에 대해서도 재선제한을 철폐하자는 개헌을 했다. 이때 국회의원 재적수는 203명으로 개헌찬성 정족수인 3분의 2는 136명이었다. 그런데 이 개헌안에 찬성한 국회의원은 135명으로 부결되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사사오입 산술방식을 동원해 가결로 처리한 것이다. 1956년 진보당 사건을 만들어 이 땅에서 진보정당 운동의 바탕을 압살해 버린 것이다. 그리고 진보당 당수였던 조봉암을 간첩죄의 누명을 씌워 법살한 것이다. 1958년 신국가보안법 개정파동을 거쳐 간첩죄, 간첩방조죄등을 강화하여 야당탄압에 이용하고 사회를 점점 반공규율 사회로 만들어 갔다. 1960년 급기야 3.15 정부통령 선거 때는 온갖 부정한 방법을 동원하여 부정선거를 자행하였다. 이러한 자유당 이승만 정부는 건국 후부터 1960년 3.15 정부통령 선거까지 진정한 민주주의 지향과는 다른 길로 이탈해 왔다. 지금까지의 이승만 정부의 반민주적 작태를 정리해 본다.
자유당 이승만 정부는 무엇보다도 주권재민의 원리를 형해화 했다. 민주주의 기본원리는 백성이 주인이다. 그 주인에 의해 정부(입법, 행정, 사법)가 성립된다. 따라서 선거할 사람과 선출된 사람은 동일성 또는 자동성의 원리 위에 서게 된다. 이러한 형식논리는 켈젠의 이론대로 "형태, 수단, 방법"으로서 민주주의를 보게 된다. 이 원칙아래서 백성은 다스려지는 대상이 아니라 섬겨지는 주체로 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유당 이승만 정권은 집권이래 점점 백성들로부터는 이반되는 정치행태를 보여 주었다. 상론하는 것은 피하거니와 다음 몇 가지 주요 사례를 살펴본다. 1948년 당초 내각책임제로 제정된 헌법을 이승만 개인을 위해 대통령제로 개헌했다. 1952년 국회에서 선출하게 된 대통령 선거제를 직선제로 개헌했다. 당시 피난수도 부산에서 부산정치파동을 일으키면서까지 직선제로 개헌한 것은 이미 국회에서 간선으로는 당선이 어려운 사정이었기 때문이다. 1954년 초대 대통령(이승만)에 대해서도 재선제한을 철폐하자는 개헌을 했다. 이때 국회의원 재적수는 203명으로 개헌찬성 정족수인 3분의 2는 136명이었다. 그런데 이 개헌안에 찬성한 국회의원은 135명으로 부결되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사사오입 산술방식을 동원해 가결로 처리한 것이다. 1956년 진보당 사건을 만들어 이 땅에서 진보정당 운동의 바탕을 압살해 버린 것이다. 그리고 진보당 당수였던 조봉암을 간첩죄의 누명을 씌워 법살한 것이다. 1958년 신국가보안법 개정파동을 거쳐 간첩죄, 간첩방조죄등을 강화하여 야당탄압에 이용하고 사회를 점점 반공규율 사회로 만들어 갔다. 1960년 급기야 3.15 정부통령 선거 때는 온갖 부정한 방법을 동원하여 부정선거를 자행하였다. 이러한 자유당 이승만 정부는 건국 후부터 1960년 3.15 정부통령 선거까지 진정한 민주주의 지향과는 다른 길로 이탈해 왔다. 지금까지의 이승만 정부의 반민주적 작태를 정리해 본다.
추천자료
알베르트소부울의 [프랑스 대혁명사]읽고
대중을 중심으로 살펴 본 문화대혁명의 배경과 전개과정
중국 근현대문학 연구의 혁명문학과 페미니즘
[서양사] 영국혁명의 배경과 진행과정등
[우수평가자료]산업혁명이 서양에서 먼저 일어난 원인
근대의 서막 : 프랑스 대혁명
톨스토이를 과연 러시아 혁명의 거울로 볼수 있을 것인가
[중동민주화] 재스민혁명과 리비아사태에 대한 분석-리비아사태 군사개입에 대한 나의 견해-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산업혁명을 정의하고, 미래의 유망직업에 대해 제시
교육학개론)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비하기 위한 우리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논하고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