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자연선택과 구별되는 성선택
<본론> 2.성선택이란 무엇인가?
2.1.찰스 다윈의 성선택설
2.2.성선택의 3가지 이론
3.성선택이 동물에게 미치는 영향
3.1.조류
3.2.포유류
4.성선택이 인류에게 작용하는 방식
4.1.남성과 여성의 차이
4.2.인간의 장식
4.2.1.인간의 아름다움 추구
4.2.2.도덕적 매력
<결론> 5.자연선택을 넘은 성선택의 영향
<본론> 2.성선택이란 무엇인가?
2.1.찰스 다윈의 성선택설
2.2.성선택의 3가지 이론
3.성선택이 동물에게 미치는 영향
3.1.조류
3.2.포유류
4.성선택이 인류에게 작용하는 방식
4.1.남성과 여성의 차이
4.2.인간의 장식
4.2.1.인간의 아름다움 추구
4.2.2.도덕적 매력
<결론> 5.자연선택을 넘은 성선택의 영향
본문내용
조상들이 짝을 고를 때 마음씨 착하고, 인정 많고, 이타적이고, 공명정대한 사람을 좋아한 덕분에 도덕적 행동능력과 판단능력을 갖게 되었으며, 그와 같은 선호들을 지금도 갖고 있다. 데이빗 버스가 전세계에 걸쳐 성적 선호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그가 연구한 37개 문화권에서 남녀 모두가 짝에게 바라는 덕목으로 ‘마음씨’에 압도적인 표를 던졌다고 한다. 착한 마음씨는 지능보다 앞서고 아름다움보다 앞서고 지위보다도 우선했다. 도덕성이 뛰어난 훌륭한 인물은 성적 매력과 사랑을 불러일으키고, 거짓말쟁이와 사기꾼은 이런 결점을 보상할 만한 다른 매력이 없는 한 이성에게 불쾌감을 준다는 것이다. 제프리 밀러, <<메이팅 마인드>>, 소소, 2004, p.444
도덕은 훌륭한 도덕적 성품을 과시 할 수 있는 일체의 행동을 포괄하고 있다. 자신의 손해를 감수하면서 남에게 이익을 주는 이타주의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다. 도덕과시의 핵심은 타인들에게 돌아가는 이익이 아니라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다. 도덕은 성선택된 핸디캡 시스템이다. 다시 말해서 도덕은 도덕적인 성품을 선전하기 위한 값비싼 지표라는 얘기다. 1995년에 어윈 테스만은 성선택이 도덕을 형성시켰다고 주장한 최초의 학자가 되었다. 그는 인간의 인심은 혈연관계와 호혜주의의 요구를 뛰어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심은 적응도를 과시하는 핸디캡으로서 작동하며, 따라서 성선택을 통해 진화했을 가능성이 다분하다. 위의 책, p.445-446
가령 모든 암컷들이 육식을 하는 수컷들과의 짝짓기를 거부한다면, 개체를 채식주의자로 만드는(간접적으로) 유전자들이 들불처럼 퍼져나갈 것이다. 육식이 주는 생존이익이 아무리 크다 해도 육식을 가로막는 성선택압이 있는 한 그 종의 구성원들은 차차 채식주의자로 바뀔 것이다. 도덕적 행동을 지행하는 성선택 앞에서 이기주의를 지향하는 자연선택은 아무런 힘도 쓰지 못한다. 제프리 밀러, <<메이팅 마인드>>, 소소, 2004, p.447
5.자연선택을 넘은 성선택의 영향
동물계의 큰 계급인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어류 등에서 암컷과 수컷의 차이는 거의 동일한 규칙에 따라 일어난다. 사랑을 구하는 행위는 거의 수컷의 몫이다. 수컷만이 경쟁자와 싸우는 데 필요한 무기를 갖고 있다. 수컷은 대개 암컷보다 강하고 덩치가 크며, 없어서는 안 될 자질인 용기와 호전성을 갖고 있다. 일반 생활환경에 관련되어 모든 연령층의 암수가 함께 성공하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자연선택의 작용 여부가 달려 있는 반면, 성선택은 특정한 개체가 같은 성의 다른 개체를 누르고 종을 번식하는 데 성공을 거두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그 작용 여부다 달려 있다. 찰스 다윈, <<인간의 유래 2>>, 한길사, 2006, p.565-566
성선택은 번식 이외의 활동에는 큰 부담을 준다. 동물들은 자연선택으로 얻었다고는 설명하기 힘든 형질들을 가지고 있다. 목숨의 위협을 받을 지도 모르지만 좋은 짝을 고르기 위해서, 위험을 무릅쓰고 눈에 띄는 형질들을 선택했고 그 형질들은 성선택설로 설명된다. 인간을 제외한 동물들에게서는 단순한 형질들로 성선택이 표현되는 반면 지능이 높고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도 성선택이 작용하는지 의문이었다. 인간도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신중함, 절제, 정의, 용기, 신념, 희망, 자비심, 동정심, 우정, 감사, 인내, 겸손 등 수많은 미덕들에 성선택이 작용한다. 다소 복잡하지만 인간에게도 성선택이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 고 문 헌
제프리 밀러, <<메이팅 마인드>>, 소소, 2004.
찰스 다윈, <<인간의 유래 2>>, 한길사, 2006.
여민경, <<생물의 세계>>, 형설출판사, 2004.
도덕은 훌륭한 도덕적 성품을 과시 할 수 있는 일체의 행동을 포괄하고 있다. 자신의 손해를 감수하면서 남에게 이익을 주는 이타주의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다. 도덕과시의 핵심은 타인들에게 돌아가는 이익이 아니라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다. 도덕은 성선택된 핸디캡 시스템이다. 다시 말해서 도덕은 도덕적인 성품을 선전하기 위한 값비싼 지표라는 얘기다. 1995년에 어윈 테스만은 성선택이 도덕을 형성시켰다고 주장한 최초의 학자가 되었다. 그는 인간의 인심은 혈연관계와 호혜주의의 요구를 뛰어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심은 적응도를 과시하는 핸디캡으로서 작동하며, 따라서 성선택을 통해 진화했을 가능성이 다분하다. 위의 책, p.445-446
가령 모든 암컷들이 육식을 하는 수컷들과의 짝짓기를 거부한다면, 개체를 채식주의자로 만드는(간접적으로) 유전자들이 들불처럼 퍼져나갈 것이다. 육식이 주는 생존이익이 아무리 크다 해도 육식을 가로막는 성선택압이 있는 한 그 종의 구성원들은 차차 채식주의자로 바뀔 것이다. 도덕적 행동을 지행하는 성선택 앞에서 이기주의를 지향하는 자연선택은 아무런 힘도 쓰지 못한다. 제프리 밀러, <<메이팅 마인드>>, 소소, 2004, p.447
5.자연선택을 넘은 성선택의 영향
동물계의 큰 계급인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어류 등에서 암컷과 수컷의 차이는 거의 동일한 규칙에 따라 일어난다. 사랑을 구하는 행위는 거의 수컷의 몫이다. 수컷만이 경쟁자와 싸우는 데 필요한 무기를 갖고 있다. 수컷은 대개 암컷보다 강하고 덩치가 크며, 없어서는 안 될 자질인 용기와 호전성을 갖고 있다. 일반 생활환경에 관련되어 모든 연령층의 암수가 함께 성공하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자연선택의 작용 여부가 달려 있는 반면, 성선택은 특정한 개체가 같은 성의 다른 개체를 누르고 종을 번식하는 데 성공을 거두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그 작용 여부다 달려 있다. 찰스 다윈, <<인간의 유래 2>>, 한길사, 2006, p.565-566
성선택은 번식 이외의 활동에는 큰 부담을 준다. 동물들은 자연선택으로 얻었다고는 설명하기 힘든 형질들을 가지고 있다. 목숨의 위협을 받을 지도 모르지만 좋은 짝을 고르기 위해서, 위험을 무릅쓰고 눈에 띄는 형질들을 선택했고 그 형질들은 성선택설로 설명된다. 인간을 제외한 동물들에게서는 단순한 형질들로 성선택이 표현되는 반면 지능이 높고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도 성선택이 작용하는지 의문이었다. 인간도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신중함, 절제, 정의, 용기, 신념, 희망, 자비심, 동정심, 우정, 감사, 인내, 겸손 등 수많은 미덕들에 성선택이 작용한다. 다소 복잡하지만 인간에게도 성선택이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 고 문 헌
제프리 밀러, <<메이팅 마인드>>, 소소, 2004.
찰스 다윈, <<인간의 유래 2>>, 한길사, 2006.
여민경, <<생물의 세계>>, 형설출판사, 2004.
추천자료
현대 성의 사회학
대중매체와 성
장애인의 성에 관한 고찰
청년기의 성문화
동성애의 성-<한채윤의 섹스말하기>를 읽고
동성애와 성윤리
젠더와 성역할 사회화(개념, 이론, 요인, 고정관념)
(성사랑사회 D) 여성이 하는 많은 일들이 사회적으로 정당한 인정을 받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
[성 사랑 사회 C형] 페미니즘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나의 생각을 적되, 본 교과목을 공부하고 ...
아동의 성역할 고정관념 완화를 위한 방안
[성, 사랑, 사회 A형] 한국사회에서 일하는 여성이 겪는 어려움 가운데 여성이라서 겪게 되는...
[성, 사랑, 사회 A형] 한국사회에서 일하는 여성이 겪는 어려움 가운데 여성이라서 겪게 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