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트랜스 지방산 이란?
◈ 트랜스 지방산의 급원
◈ 지방산의 구조
◈ 지질과 관련된 영양・건강문제는 무엇이 있는가?
◈ 트랜스지방산 섭취를 줄이기 위한 식생활 지침
◈ 트랜스 지방산의 문제와 관련된 기사
◈ 트랜스 지방산의 급원
◈ 지방산의 구조
◈ 지질과 관련된 영양・건강문제는 무엇이 있는가?
◈ 트랜스지방산 섭취를 줄이기 위한 식생활 지침
◈ 트랜스 지방산의 문제와 관련된 기사
본문내용
까 동물성지방인 버터보다는 몸에 좋다'는 생각은 오해일 뿐이다.
심장병ㆍ암 원인=하버드의대가 99년 내놓은 '트랜스지방산과 관상동맥질환 ' 보고서는 트랜스지방 대신 불포화지방을 섭취한다면 미국에서 연간 3만~10만 명의 심장병 사망을 예방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 보고서는 또 콜레스테롤과 관련한 트랜스지방의 악영향은 포화지방의 2배라 고 밝히고 있다. 트랜스지방은 포화지방처럼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일 뿐만 아니라 '좋은 콜레스테롤' 수치는 낮추기 때문이다.
혈관이 좁아지면 심근경색ㆍ협심증과 같은 관상동맥 질환과 뇌졸중의 위험이 높아진다.
이선희 삼성서울병원 영양상담실 과장은 "역학조사에 따르면 (포화지방이 많은 ) 동물성 지질 섭취가 증가할수록 대장암과 유방암 발생이 높다고 보고된다"며 "트랜스지방도 포화지방과 기능이 비슷하며 암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 했다.
미국ㆍ캐나다는 식품에 표기=2002년 미국의학원(IOM)이 트랜스지방산위험 을 경고한 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006년 1월까지, 캐나다 정부는 2005년 말까지 가공식품과 패스트푸드에 트랜스지방의 함유량을 표시토록 지시했다.
이에 따라 미국ㆍ캐나다 업체들은 트랜스지방을 줄이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트랜스지방이 없는 액체 마가린이 개발되기도 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식품에 단지 열량ㆍ탄수화물ㆍ단백질ㆍ지방ㆍ나트륨만을 표시 하며 이마저도 대부분 대기업 식품에 국한돼 있다. 식약청이 전체적으로 표시 기준을 확대하고 있지만 아직 부족하다.
최동주 분당 서울대병원 교수는 트랜스지방 섭취를 줄이기 위해 △올리브유 등 자연산 식물성 기름을 사용하고 △ 패스트푸드ㆍ튀김 등을 피하며 △마가린을 사용하는 경우 가능한 한 티스푼당 2g 이하의 포화지방을 함유한 것을 사용할 것을 권했다.
최 교수는 "하루에 섭취하는 지방과 기름의 총량을 5~8 티스푼 이하로 제한하 면 지나친 트랜스지방의 섭취를 막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인수 기자>
◈ 참고자료 ◈
* 운동 영양학 [운동과 지방대사] - 김은경 저 - <학문사>
* 고급영양학 - 이영자 저 - <신관출판사>
* 현대인의 생활영양 - 박태선, 김은경 저 - <교문사>
* www.naver.com 백과사전 검색
* http://healthlife.hankooki.com/healthlife.htm - 헬스라이프
* http://www.healthlife.co.kr/index.phtml - 건강과 생명
심장병ㆍ암 원인=하버드의대가 99년 내놓은 '트랜스지방산과 관상동맥질환 ' 보고서는 트랜스지방 대신 불포화지방을 섭취한다면 미국에서 연간 3만~10만 명의 심장병 사망을 예방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 보고서는 또 콜레스테롤과 관련한 트랜스지방의 악영향은 포화지방의 2배라 고 밝히고 있다. 트랜스지방은 포화지방처럼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일 뿐만 아니라 '좋은 콜레스테롤' 수치는 낮추기 때문이다.
혈관이 좁아지면 심근경색ㆍ협심증과 같은 관상동맥 질환과 뇌졸중의 위험이 높아진다.
이선희 삼성서울병원 영양상담실 과장은 "역학조사에 따르면 (포화지방이 많은 ) 동물성 지질 섭취가 증가할수록 대장암과 유방암 발생이 높다고 보고된다"며 "트랜스지방도 포화지방과 기능이 비슷하며 암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 했다.
미국ㆍ캐나다는 식품에 표기=2002년 미국의학원(IOM)이 트랜스지방산위험 을 경고한 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006년 1월까지, 캐나다 정부는 2005년 말까지 가공식품과 패스트푸드에 트랜스지방의 함유량을 표시토록 지시했다.
이에 따라 미국ㆍ캐나다 업체들은 트랜스지방을 줄이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트랜스지방이 없는 액체 마가린이 개발되기도 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식품에 단지 열량ㆍ탄수화물ㆍ단백질ㆍ지방ㆍ나트륨만을 표시 하며 이마저도 대부분 대기업 식품에 국한돼 있다. 식약청이 전체적으로 표시 기준을 확대하고 있지만 아직 부족하다.
최동주 분당 서울대병원 교수는 트랜스지방 섭취를 줄이기 위해 △올리브유 등 자연산 식물성 기름을 사용하고 △ 패스트푸드ㆍ튀김 등을 피하며 △마가린을 사용하는 경우 가능한 한 티스푼당 2g 이하의 포화지방을 함유한 것을 사용할 것을 권했다.
최 교수는 "하루에 섭취하는 지방과 기름의 총량을 5~8 티스푼 이하로 제한하 면 지나친 트랜스지방의 섭취를 막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인수 기자>
◈ 참고자료 ◈
* 운동 영양학 [운동과 지방대사] - 김은경 저 - <학문사>
* 고급영양학 - 이영자 저 - <신관출판사>
* 현대인의 생활영양 - 박태선, 김은경 저 - <교문사>
* www.naver.com 백과사전 검색
* http://healthlife.hankooki.com/healthlife.htm - 헬스라이프
* http://www.healthlife.co.kr/index.phtml - 건강과 생명
추천자료
건강다이어트와 영양섭취
영양과 건강
영양과 건강
디지털시대영양과 건강-건강한 다이어트 리포트
영양과 건강정보 웹사이트 탐방후 평가
영양소와 건강
[영양학] 영양과 건강
식품과 생활 책 요약 - 스트레스와 질병, 영양소와 건강, 건강식품, 농산식품
영유아교육기관에서 건강관련 영역에서의 평가인증내용을 기술하시오 {평가인증의 정의, 평가...
[건강증진론 A] 미국의 건강증진(Healthy People 2020)에서 영양과 체중상태를 중요시 하는 ...
건강과 식품영양-밀가루음식과 건강
영양과 건강
2017년 2학기 건강증진론 중간시험과제물 A형(영양의 건강식생활 실천인구비율 관련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