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사]한국 근대사 심층 고찰(근대 사회 전개, 한국 근대사회 사상사, 개항 전후 정세, 대원군의 정치, 개항(1876년), 개화와 척사의 대립, 동학운동(갑오농민운동), 갑오경장과 근대문물의 수용)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근대사]한국 근대사 심층 고찰(근대 사회 전개, 한국 근대사회 사상사, 개항 전후 정세, 대원군의 정치, 개항(1876년), 개화와 척사의 대립, 동학운동(갑오농민운동), 갑오경장과 근대문물의 수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관

Ⅱ. 근대 사회의 전개
1. 흥선 대원군의 정치
2. 개항과 근대 사회의 개막
3. 개화 정책의 추진과 반발
4. 개화당의 개혁 운동

Ⅲ. 근대의 경제와 사회
1. 개항 이후 열강의 경제적 침탈
2. 경제적 구국 운동의 전개
3. 개항 이후의 사회적 변화

Ⅳ. 한국 근대사회 사상사
1. 오경석의 개화사상과 개화활동
2. 동학의 사회사상
3. 김옥균의 개화사상
4. 독립협회의 의회주의 사상과 의회설립운동
5. 한말 지식인의 위정척사사상과 개화운동
6. 한말 애국 계몽사상과 운동
7. 주시경의 애국 계몽운동
8. 신채호의 초기민족주의사관과 후기민족주의사관

Ⅴ. 개항 전후의 정세

Ⅵ. 대원군의 정치
1. 대원군정치의 시대적 배경
2. 대내적 혁신정치 : 왕권강화책
3. 대외적 쇄국정책
4. 대원군의 쇄국정책과 양요

Ⅶ. 개항(1876년)
1. 개항전의 국제관계
2. 배경
3. 강화도 조약(1876, 병자수호조규, 신헌-구로다)
4. 구미 각국과의 수교

Ⅷ. 개화와 척사의 대립
1. 개화사상과 개화운동
2. 위정척사운동
3. 문호개방과 수교, 위정척사운동
4. 개화와 보수의 갈등
5. 갑신정변과 청일대립
6. 열강의 침투

Ⅸ. 동학운동(갑오농민운동)

Ⅹ. 갑오경장과 근대문물의 수용
1. 배경
2. 갑오개혁

Ⅺ. 근대사학의 역사인식
1. 근대사학의 성립요건
2. 개화운동기의 역사서술
3. 1894년 이후 역사편찬의 촉진
4. 일본제국주의의 침략의도에 동원된 조선사 서술의 상륙
5. 계몽운동기(1904˜)의 역사서술
6. 신채호의〈독사신론〉
7. 황의돈의 《대동청사》

Ⅻ. 결론

본문내용

기형적인 개혁이 되었다.
. 근대사학의 역사인식
1. 근대사학의 성립요건
“근대사학은 경사일체(經史一體)의 중세사학에서 역사학이 학문으로 독립하는 데서 출발한다. 그리고 한국사가 중국역사에 종속되었던 종래의 서술인 중화부용(中華附庸)적 역사서술에서 벗어나 독자적 민족사학으로 정립하는 것이 요망되었다. 그렇다고 그것만으로 근대사학이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학문으로 성립하자면 서술방식이나 체제가 과학적이어야 한다. 중세적 역사서술인 왕실 중심의 서술이나 명분론을 앞세우거나 단순한 기억을 위한 편년체 방식의 서술에서 벗어나, 실증적인 사실에 따라서 역사담당자 전체를 주체로 한 서술과 인과관계에 의한 사회의 발전과 퇴보를 구명한 서술이 되어야 한다.”
2. 개화운동기의 역사서술
- 동도서기론자?개화론자 : 이들 진보적 집권계층에 의한 역사편찬은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었다(집권보수에 대한 집착과 개화의 외향성에 의해).
- 역사편찬은 재야학자들에게 기대할 수밖에 없었으나 재야에서 편찬한 근대역사서로는 안종화의 《동사취요》이상의 것을 발견할 수 없다.
3. 1894년 이후 역사편찬의 촉진
- 의정부에 편사국(編史局)을 설치하라는 군국기무처의 건의안(1894년 6월).
- 1895년 한성사범학교와 성균관 경학과와 4개의 소학교를 설치하고, 그 학과정도표(교과과정표)에 ‘본국사(本國史)’ 설치.
- 1895년, 내무아문에서 각도에 시달한 훈시(訓示)
제10조 : ‘본국사(本國史)’와 ‘본국문(本國文)’을 가르치라.
제86조 : ‘조선왕조의 개국기원을 연호로 사용하라.

이러한 기준에 의해 학부에서 《조선역사》,《조선역대사략》,《조선약사》편찬. ; 이처럼 실학사서 이후의 역사편찬은 관립학교의 교과서 편찬에서 비롯된다.
《조선역사》,《조선약사》- 국한문을 혼용한 최초의 역사서. 조선건국기원(1392) 사용.
편년체를 떠난 것이어서 특히 주목됨.
1902년부터 역사서술의 편찬체제는 사찬(私撰)으로 전환되어갔다.
- 계기 ; 김택영의 개인저술 《동사집략》.
- 사서의 사찬체제는 1905년에 완전 개방된다. 그 이전에도 최경환의 《대동역사》가 있었으나 이는 독립협회의 회원용에 불과했다.
4. 일본제국주의의 침략의도에 동원된 조선사 서술의 상륙
- 하야시의 《조선사》,《조선근세사》
: 일본 국수주의 국학에 의한 조선사 서술.
- 키꾸찌(菊池謙讓)의《조선왕국》, 쓰네야(恒屋盛服)의《조선개화사(朝鮮開化史)》, 시노부(信夫淳平)의《한반도(韓半島)》등에 소개된 조선사 서술.
: 침략을 위한 새로운 조선사 서술.
1902년, 시네하라(弊原坦) 등의 일본인이 한성에서 한국연구회(韓國硏究會)를 결성.
5. 계몽운동기(1904~)의 역사서술
: 계몽주의의 기조인 근대주의와 사회진화론과 국학사상이 부분적으로 역사서술에 반영되기 시작.
계몽주의 역사서
; 최경환?정교의《대동역사》, 김택영《역사집략》, 국민교육회《대동역사략》, 장지연?원영의?유근《신정동국역사》, 현채《동국사략》.
- 계몽주의 역사서술에서 무엇보다 주목되는 것은 일본의 식민사학이 반영된 점이다. (《역사집략》과 《동국사략》이 대표적) ; 《동국사략》은 하야시의 것을 역술한 것이다.
6. 신채호의〈독사신론〉
- 근대사학의 방법을 개척했다는 측면에서, 또 일제 식민사학의 침투를 비판하면서 민족사학의 방향을 수립했다는 측면에서 그때까지 계몽주의 사학의 한계를 극복했다.
7. 황의돈의 《대동청사》
- 북간도 명동학교(明東學敎)의 교재. 편년체를 떠난 근대적 서술체제를 갖춤. 한말 사서로서 근대적으로 서술된 최초의 통사.
※ \"근대사학은 신채호의〈독사신론〉과 황의돈의 《대동청사》에 의해서 성립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신채호는〈독사신론〉의 사론을 통해서, 황의돈은 통사 서술을 통해서 근대사학을 수립해갔다. 그리하여 1910년대 이후 민족사학의 기초가 되었다고 이해된다.
. 결론
우리는 지난 역사를 돌아보고 과거 역사 전철을 밟지 않겠다는 각오를 해야 한다.
개화파의 대두와 위정척사운동이 발현됨으로써 첨예한 분열과 대립,갈등을 나타났다.그러나 개화파는 근대지향성을 강하게 지니고 있었으나 주체성 의 결여라는 결정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었고 ,반면에 위ㅏ정척사파는 외세를 배척하는 민족주체성은 강했지만 외부의 정세에 어두워 근대화 추진력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또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자 농민층에서 민족주체성과 근대지향성을 지닌 동학혁명이 일어났으나 정규 군사훈련을 받은 일본군과 관군에 의해서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따라서 우리 민족은 일제의 침략 앞에서 민족의 역량을 한데 모아 슬기롭게 대응하지 못한 결과 국권상실의 위기를 맞게 되었다.
그리하여 구국적인 무장투쟁으로서 의병운동을 전개하는 한편 을사조약을 전후해서 애국계몽운동이 일어났다.
애국계몽운동은 을사조약의 체결을 전후해서 지식인이 중심이 되어 또 하나의 민족운동인 애국계몽운동이 일어 났다. 이 애국계몽운동은 국민의 의식을 계발하여 애국심을 기르고 국가의 힘을 축적하여 주권을 회복하려는 자주적인 구국운동이었다. 이 운동은 사상적으로 개화사상과 연결되는 것으로 무력투쟁볼다는 국민의 계몽을 통한 실력양성에 보다 중점을 두고 전개되었다. 이 애국계몽운동은 밖으로 외세의 침략에 대하여 민족의 자주독립을 이룩하고 안으로 전근대적인 사상을 타파하여 민주적인 근대국가를 건설하려고 했다. 이때 이들이 구생했던 전략은 세가지이다.
첫째는 국민을 애국주의와 신지식으로 교육,계몽하고 사회의 각 부문을 근대화 하여 내부의 실력을 양성하는 한편,둘째로 국내외에서 무관학교와 독립군기지를 창건하고 독립군을 양성해 두었다가 셋째로 일본 제국주의가 팽창하는 과정에서 일본과 다른 나라와 전쟁이 일어나게 되면 이 기회를 포착하여 독립군이 국내로 진입하여 독립전쟁을 일으키고 국내에서는 그 동안 양성한 실력으로 민족이 총단결하여 한민족의 힘으로 일제를 몰아 내고 국권을 회복한다는 것이다.
끝으로 3.1운동의 의의는 일제에 동조하던 세계 여러 나라에 우리 민족의 독립 문제를 올바르게 인식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또 3.1운동은 민족 독립운동을 국내외의 거족적인 항쟁으로 유도하여 보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독립운동으로 발전시켰다.
  • 가격9,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07.01.19
  • 저작시기2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96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