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태아전자감시장치의 정의
2) 태아전자감시장치의 종류
- 외부전자감시장치
- 내부전자감시장치
3) 태아 심박동률의 주기적 변화
- 주기적 증가
- 주기적 감소
① 조기하강
② 만기하강
③ 변이성 하강
4) 태아전자감시장치를 사용하는 산부의 간호
5) 태아전자감시장치 체크리스트
1) 태아전자감시장치의 정의
2) 태아전자감시장치의 종류
- 외부전자감시장치
- 내부전자감시장치
3) 태아 심박동률의 주기적 변화
- 주기적 증가
- 주기적 감소
① 조기하강
② 만기하강
③ 변이성 하강
4) 태아전자감시장치를 사용하는 산부의 간호
5) 태아전자감시장치 체크리스트
본문내용
궁변환기의 위치를 매시간 변경
복부벨트를 편안하게 유지
변환기와 벨트로 약해진 피부를 맛사지
② 내부감시장치
<나선전극(spiral electrode)>
◎ 기능
선진부에서 얻어지는 태아심전도를 태아심박동률로 전환
◎ 간호
전선이 다리판에 잘 부착되어 있는지 확인
필요하면 다리판에 전극풀을 다시 바름
변이성을 관찰하기 위해 기록지에 나타난 태아심박동률결과를 관찰
전극을 시계바늘 반대방향으로 돌려서 제거=> 절대로 선진부로부터 똑바로 잡아당겨서 제거하면 안됨
<자궁내 카테터(intrauterine catheter)>
◎ 기능
카테터는 양막내압을 감지
◎ 간호
삽입전에 카테터를 소독액으로 씻어내림
카테터를 가볍게 두드려 기능을 확인
산부에게 기침을 하도록 하거나 자궁저부에 압력을 주거나 기록지에 나타난 적절한 굴곡 을 관찰
산부다리에 부착된 카테터가 이탈되지 않도록 잘 부착
태아전자감시장치 체크리스트
▶감시장치의 준비
1. 기록장치가 정확하게 끼워졌는가?
2. 변환기는 모니터의 콘센트에 적절히 접속되어 있는가?
▶초음파변환기 (ultrasound transducer)
1. 변환기에 초음파 전달 겔이 사용되었는가?
2. 태아심박동률이 모니터 기록지에 기록되었는가?
3. 심박동마다 불빛신호 또는 발신음이 나타나는가?
4. 분만 중에 있는 산부에게 벨트가 안전하고 편리하며 편안한가?
▶자궁변환기 (tocotransducer)
1. 모체에 자궁변환기가 단단하게 고정되었는가?
2. 겔이나 풀 없이 설치되었는가?
3. 모니터 기록지의 10~20mmHg 사이에 pen set 끝이 맞추어져 있는가?
4. 수축 사이에 이런 세팅이 행해졌는가?
5. 분만 중에 있는 산부에게 벨트가 안전하고 편리한가?
▶나선전극(spiral electrode)
1. 철사가 다리판에 단단히 부착되었는가?
2. 나선전극은 태아의 선진부에 부착되었는가?
3. 만약 필요하다면 다리판의 안쪽면에 전극 겔이 사용되었는가?
4. 다리판은 산모의 다리에 안전하게 부착되었는가?
▶내부 카테터 (internal catheter)
1. 앞부분에서 카테터를 볼수 있는가?
2. 눈금이 그려진 모니터 기록지에 기록되었는가?
3. 자궁활동이 평가되었는가?
참고문헌
. 하영수 외. 2003년도. 모성여성건강 간호학. (신광출판사)
. 정문숙 외. 2005년도. 여성건강간호학. (정담미디어)
. 이영숙 외. 2001년도. 여성건강간호학. (현문사)
복부벨트를 편안하게 유지
변환기와 벨트로 약해진 피부를 맛사지
② 내부감시장치
<나선전극(spiral electrode)>
◎ 기능
선진부에서 얻어지는 태아심전도를 태아심박동률로 전환
◎ 간호
전선이 다리판에 잘 부착되어 있는지 확인
필요하면 다리판에 전극풀을 다시 바름
변이성을 관찰하기 위해 기록지에 나타난 태아심박동률결과를 관찰
전극을 시계바늘 반대방향으로 돌려서 제거=> 절대로 선진부로부터 똑바로 잡아당겨서 제거하면 안됨
<자궁내 카테터(intrauterine catheter)>
◎ 기능
카테터는 양막내압을 감지
◎ 간호
삽입전에 카테터를 소독액으로 씻어내림
카테터를 가볍게 두드려 기능을 확인
산부에게 기침을 하도록 하거나 자궁저부에 압력을 주거나 기록지에 나타난 적절한 굴곡 을 관찰
산부다리에 부착된 카테터가 이탈되지 않도록 잘 부착
태아전자감시장치 체크리스트
▶감시장치의 준비
1. 기록장치가 정확하게 끼워졌는가?
2. 변환기는 모니터의 콘센트에 적절히 접속되어 있는가?
▶초음파변환기 (ultrasound transducer)
1. 변환기에 초음파 전달 겔이 사용되었는가?
2. 태아심박동률이 모니터 기록지에 기록되었는가?
3. 심박동마다 불빛신호 또는 발신음이 나타나는가?
4. 분만 중에 있는 산부에게 벨트가 안전하고 편리하며 편안한가?
▶자궁변환기 (tocotransducer)
1. 모체에 자궁변환기가 단단하게 고정되었는가?
2. 겔이나 풀 없이 설치되었는가?
3. 모니터 기록지의 10~20mmHg 사이에 pen set 끝이 맞추어져 있는가?
4. 수축 사이에 이런 세팅이 행해졌는가?
5. 분만 중에 있는 산부에게 벨트가 안전하고 편리한가?
▶나선전극(spiral electrode)
1. 철사가 다리판에 단단히 부착되었는가?
2. 나선전극은 태아의 선진부에 부착되었는가?
3. 만약 필요하다면 다리판의 안쪽면에 전극 겔이 사용되었는가?
4. 다리판은 산모의 다리에 안전하게 부착되었는가?
▶내부 카테터 (internal catheter)
1. 앞부분에서 카테터를 볼수 있는가?
2. 눈금이 그려진 모니터 기록지에 기록되었는가?
3. 자궁활동이 평가되었는가?
참고문헌
. 하영수 외. 2003년도. 모성여성건강 간호학. (신광출판사)
. 정문숙 외. 2005년도. 여성건강간호학. (정담미디어)
. 이영숙 외. 2001년도. 여성건강간호학. (현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