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왕절개분만 케이스 및 체크리스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왕절개분만 케이스 및 체크리스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 전치태반 -------------------- 1
(평소 관심 있던 고위험 분만 중 하나 문헌고찰 함)
• 제왕절개분만 ----------------- 3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 6
2. 간호진단 ------------------- 14

Ⅳ. Check list ------------------- 18

Ⅴ. 참고문헌 ---------------------- 23

본문내용

또한 유방에 잘 맞는 브래지어를 착용한다. 인공 수유하는 산모의 경우는 흔히 모유 분비 억제를 위해 유방 억제대를 대 주기 때문에 유방 증대의 문제는 심하지 않다. 유즙분비촉진을 위해 3시간마다 3~5분 동안 젖을 물리도록 지도한다. 유방울혈의 치료로는 냉온찜질, 양배추 잎을 유방에 직접 붙이는 방법, 유방마사지, 모유수유 등을 포함한다. 유방울혈로 인한 불편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유 전 뜨거운 샤워나 물수건으로 유방을 부드럽게 한 다음 마사지를 적용하고 수유 후 얼음찜질을 적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남은 유즙은 짜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Perineal care


회음부 간호는 안위감을 제공하고 감염의 위험을 감소하기 위해 시행된다. 분만 직후에는 회음부가 크게 손상되고 회음절개술까지 시행되었으므로 냉요법 적용이 효과적이다. 냉요법 이후 온열 요법은 위생 상태를 증진시키고 회음부의 불쾌감과 부종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용된다.
① 냉요법: 얼음주머니를 30~60분 정도의 간격을 두고 30분 정도 적용할 때에 효과가 가장 좋다.
② 습열요법: 좌욕으로 한번에 20분씩 하루 두세 번 좌욕하고 물의 온도는 38~41℃가 적당하다.
③ 건열요법: 15~20분 동안 전등을 회음부에 조사시키는 열전등 조사방법이 이용되며 하루에 세 번 정도 좌욕 후 약 20분 동안 적용한다.
산모교육: 자궁퇴축, 영양, 휴식 등


자궁퇴축: 자궁이완시에는 자궁이 견고하고 본래의 강도를 유지하게 될 때까지 간헐적으로 자궁 마사지를 시행한다.
영양: 수분은 젖의 분비를 위해 최소한 하루에 2300~3000㎖를 공급하고 산모의 첫 식사로 소화가 용이한 음식을 소량씩 제공하도록 한다.
휴식: 산욕기에는 산모에게 적절한 휴식이 필요하고 어느 때라도 수면과 이완을 취할 수 있어야 한다. 휴식은 불안과 근심을 감소시키고 안위를 증진시킨다. 수면부족과 피곤은 산모에게 정서적 문제를 야기하므로 산모에게 충분히 휴식할 수 있도록 지지하여야 한다.
Chemotheraphy 대상자 간호
-
-
중심정맥 카테터 또는 말초정맥으로 투여한다. 혈관은 처음은 손과 팔의 말초정맥을 이용하고 차츰 중심부로 올라간다.
약물은 적어도 3분 이상 서서히 주입하며 주입시 환자가 어떤 통증이나 작열감을 느끼는 지 관찰한다.
정맥으로 장시간 주입할 때는 혈관상태를 확인하고 항상 2~3분 동안 주사약이 흐르는 것을 확인하고 가능하면 infusion pump를 사용하도록 한다.
바늘을 제거한 후에는 멸균 가제로 3~4분간 압박한다.
투여된 약, 주사부위, 부작용 유무를 반드시 기록한다.
식이와 영양: 고단백, 고열량, 고비타민 식이를 섭취한다.
상용 약물

자궁수축제, 자궁수축억제제, 진통제, 변완화제, 항생제 등
Laparoscopy 대상자 간호

배꼽 아래 3㎜정도의 피부를 절개한 부위에 복강경을 삽입하여 질식 자궁절제술을 하는 방법이다. 적용부위는 부인과 종양 질환 중 자궁절제술의 적응증이 되는 거의 모든 예에서 시행할 수 있다. 복강경을 이용한 자궁절제술시 시야를 넓히기 위하여 복강 내에 CO2를 주입한다.
OP: TAH, TVH 환자 간호


복식 자궁절제술: 복부절개를 통해 자궁전체를 절제하는 방법으로 수술 후 복부근육을 지지하기 위해 복대 및 수술부위에 모래주머니를 올려준다.
질식 자궁절제술: 질구를 통해 자궁을 절제하는 경우로써 자궁탈수가 있을 때 이용된다. 질식 자궁절제술을 받은 대상자는 회음부 불편감을 완화시키기 위해 좌욕, 회음램프 또는 얼음주머니를 적용한다.
OP후 퇴원 시 대상자 교육


환자가 가정으로 돌아가 본래의 일생생활로 복귀하는 것을 도와준다. 대상자의 자긍심 강화와 성기능 회복, 집안일이나 직장 생화로 복귀할 때의 주의점, 그리고 추후 간호의 중요성에 대해 정보를 주고 교육하며 필요한 경우 상담한다.
산부인과 수술 전후 간호


수술 전 간호: 수술부위의 청결을 위해 피부준비를 한다. 또한 수술 중 방광팽만을 예방하기 위해 유치 도뇨관을 삽입한다. 수술을 위한 기본검사인 흉부 및 복부 X선 촬영, 소변검사, 간기능 검사 및 심전도, 초음파 촬영 등을 한다. 환자의 이완을 위해 수술 전 투약을 한다.
수술 후 간호: 활력징후와 환자의 상태를 안정될 때까지 15~30분 간격으로 안정되면 4시간 마다 관찰한다. 호흡음을 청진하며 I/O check, hemovac 관찰, 출혈이나 악취나는 분비물이 있는지 자주 조사한다.
Catherization: 종류, 적응증, set 준비


1. Foley catheterization
장시간 자연배뇨가 불가능할 때 배뇨시킨다.
회음부수술 환자의 수술 부위 오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수술시 방광의 팽창을 막기 위함이다.
방광내를 세척하거나 약물을 주입한다.
시간당 소변량을 측정한다.
준비물품: 멸균된 유치도뇨 세트, 멸균장갑, 유치도뇨관, 소독솜(0.5%클로르헥시딘), 10ml주사기, 멸균증류수 1앰플, 윤활제, 겸자, 위생방수지, 반창고, 멸균된 배뇨 주머니, 스크린
2. Nelaton catheterization
비뇨기계 기능을 감시하고 방광팽만을 예방하거나 완화시킨다.
지속적인 배뇨를 제공한다.
멸균 소변 검체물을 수집한다.
잔뇨를 측정한다.
액체나 약물로 방광을 세척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준비물품: 미리 포장된 멸균된 도뇨세트(카테터, 솜, 윤활제, 일회용 섭자, 베타딘 소독제, 검체물 용기, 장갑과 방포)
Enema: 종류, 적응증, set 준비
-
-
관장은 직장으로 용액을 주입하여 대장을 청결히 하는 것이다. 관장용액의 양은 소량(150㎖) 또는 다량(성인의 경우 1000㎖)인데 소량인 경우는 하체를 포함하고 있고 다량인 경우는 보통 비눗물, 식염수액을 이용한다.
Ⅴ.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학 ⅠⅡ, 수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2007)
기본간호학 ⅠⅡ, 정담미디어, 고유미 외 공저(2008)
모성간호학 Ⅲ, 현문사, 이영숙 외 공저(1997)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대학교병원(2009)
http://www.kimsonline.co.kr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0.06.29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21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