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序 論
2. 高齡化社會의 平生敎育 必要性
가. 科學技術의 發達 ⇒ 産業構造와 職業構造의 變化
나. 醫學技術의 發達 ⇒ 人口構造와 life cycle의 變化
다. 韓國의 人口構造變化와 平生敎育 方向
3. 老人敎育의 問題點
4. 老人敎育活性化와 高齡人力資源化 方案
가. 基本方向
나. 老人敎育政策 方案
다. 老人敎育政策硏究 擴大와 示範運營
5. 結 論
2. 高齡化社會의 平生敎育 必要性
가. 科學技術의 發達 ⇒ 産業構造와 職業構造의 變化
나. 醫學技術의 發達 ⇒ 人口構造와 life cycle의 變化
다. 韓國의 人口構造變化와 平生敎育 方向
3. 老人敎育의 問題點
4. 老人敎育活性化와 高齡人力資源化 方案
가. 基本方向
나. 老人敎育政策 方案
다. 老人敎育政策硏究 擴大와 示範運營
5. 結 論
본문내용
方案
1) 고령화사회를 대비한 평생교육기회 확대
ㅇ 체계적종합적인 노인교육 장기발전계획 수립(2000년 상반기)
- 21세기 한국노인교육의 정책이념과 비전
- 노인교육정책의 현실과 과제
- 21세기 한국노인교육정책의 기본방향
ㅇ 취학전교육 → 학교교육 → 성인교육 → 노인교육으로 연계체제 구축
ㅇ 원격교육을 활용하여 재택학습, 직장내학습 통한 노인교육기회 확대
2) 퇴직전 노후준비교육과 퇴직후 교육을 통한 노인의 인력자원화
ㅇ 대학평생교육원, 학원, 연수원 등 각종 평생교육기관을 통한 퇴직전퇴직후 교육으로 중년기노년기 인력의 인적자원화 및 재취업기회 확대
- 직업재조정교육, 자활능력교육, 자원봉사활동 및 여가교육, 세대공동체교육
- 퇴직전(45-60세 : 6,844천명 14.7%)인력 노후준비교육으로 인력자원화
3) 노인교육전문가 및 지도자 양성을 통한 노인교육의 전문화
ㅇ 노인단기대학(Elder Hostel) 운영
ㅇ 지역별 특수대학원 및 전문대학원 등에 노인교육 전문과정 개설 유도
ㅇ 원로교사, 사회경력자 등에 전문교육을 통한 강사요원, 봉사활동지도자, 상담요원으로 활용
4) 노인교육교재 및 프로그램 개발
ㅇ 노인교육의 4단계별 교재 및 프로그램 개발
① 정년퇴임교육 ②사회재취업교육 ③직업재조정교육(3-5회) ④임종교육
ㅇ 퇴직전후 교원의 노후준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ㅇ 대학의 노인교육교재, 노인학습자의 노인교육교재 개발
5) 노인교육기관의 다양화와 전문화
ㅇ 노인교육 + 노인복지, 노인교육전문기관
ㅇ 기존의 각급학교 및 평생교육기관에 노인교육과정 신설 적극 유도
6) 노인교육기관의 현대화
ㅇ 노인교육시설의 재정투자 확대
ㅇ 노인교육기관의 최신시설로 현대화
7) 노인교육 행정의 체계화와 노인직종 개발
ㅇ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노인교육 행재정지원 강화
- 교육부(노인교육), 노동부(직업훈련), 보건복지부(노인복지), 재경부(세제혜택), 행정자치부
및 기획예산처(노인교육예산) 등과 상호연계를 통한 노인교육행정의 체계화
ㅇ 노인직종개발, 노인인재은행 개설
ㅇ 평생교육법에 의한 강사정보은행제에 노인교육분야를 삽입하여 노인교육전문가 풀제 운영
8) 고등교육수준으로 능력향상을 위한 노인교육정책
ㅇ 교육기획확대와 교육사회화 시대
학교교육사회 교육체제 교육사회 교육체제
[그림-3] 평생교육체제
※ 학 교 사 회 → 학 습 사 회 → 교 육 사 회
(오 직 학 교) (서로가르치고 서로배우는 사회) (사회는 곧 교실이다)
10) 경제적문화적 생활수준 향상에 부응하는 노인여가교육 활성화
ㅇ 가치관의 변화 : Sleep → See - Do ⇒ Do - See - Sleep
다. 老人敎育政策硏究 擴大와 示範運營
ㅇ 1998년도 노인교육정책연구(2과제)
- 고령화시대에 부응하는 노인교육교재 개발 연구
「평생학습사회와 노인교육」교재개발(고양곤외 7명)
- 한국형 노인교육프로그램의 모델개발 위한 연구 : 홍기형외 5명
ㅇ 1999년도 노인교육정책연구(5과제)
- 퇴직교원의 노후준비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김신일외 6명)
- 21세기 한국노인교육의 장기정책 발전방안 연구(한준상외 5명)
- 노인학습자를 위한 노인교육교재 개발 연구(박재간외 6명)
- 노인교육기관 및 프로그램 실태조사 분석연구(변재관외 5명)
- 21C 노령화사회를 대비한 노인교육활성화 방안(이병준외 6명)
ㅇ 2000년도 노인교육정책연구계획(2억원 예산확보)
- 노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노인교육담당자 및 전문가 양성과정 시범운영
교육발전5개년 계획 시안
(단위 : 억원)
사업내용
2000
2001
2002
2003
계
노인교육활성화
110
200
300
350
960
5. 結 論
21세기는 지식기반사회로 평생학습을 필요로 하는 사회이다. 지식기반사회에서 인류지식의 총량은 10년후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의 1%정도 수준밖에 되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이와같이 지식기반사회는 빠른속도로 변화하는 반면에, 인간의 평균수명은 길어져 성인인구 특히 노인인구가 대폭 확대되고 있다. 이는 성인교육과 노인교육의 중요성을 예고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성인교육참여율은 5.4%로 프랑스 40%, 미국 34%, 독일 33%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며, 더욱이 노인교육은 정확한 실태조사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성인교육과 함께 노인교육의 참여기회를 확대하고 성인교육의 인프라구축 특히 원격교육을 통해 재택학습, 직장 내 학습을 통한 성인교육과 노인교육의 활성화를 꾀하여야 한다.
1) 고령화사회를 대비한 평생교육기회 확대
ㅇ 체계적종합적인 노인교육 장기발전계획 수립(2000년 상반기)
- 21세기 한국노인교육의 정책이념과 비전
- 노인교육정책의 현실과 과제
- 21세기 한국노인교육정책의 기본방향
ㅇ 취학전교육 → 학교교육 → 성인교육 → 노인교육으로 연계체제 구축
ㅇ 원격교육을 활용하여 재택학습, 직장내학습 통한 노인교육기회 확대
2) 퇴직전 노후준비교육과 퇴직후 교육을 통한 노인의 인력자원화
ㅇ 대학평생교육원, 학원, 연수원 등 각종 평생교육기관을 통한 퇴직전퇴직후 교육으로 중년기노년기 인력의 인적자원화 및 재취업기회 확대
- 직업재조정교육, 자활능력교육, 자원봉사활동 및 여가교육, 세대공동체교육
- 퇴직전(45-60세 : 6,844천명 14.7%)인력 노후준비교육으로 인력자원화
3) 노인교육전문가 및 지도자 양성을 통한 노인교육의 전문화
ㅇ 노인단기대학(Elder Hostel) 운영
ㅇ 지역별 특수대학원 및 전문대학원 등에 노인교육 전문과정 개설 유도
ㅇ 원로교사, 사회경력자 등에 전문교육을 통한 강사요원, 봉사활동지도자, 상담요원으로 활용
4) 노인교육교재 및 프로그램 개발
ㅇ 노인교육의 4단계별 교재 및 프로그램 개발
① 정년퇴임교육 ②사회재취업교육 ③직업재조정교육(3-5회) ④임종교육
ㅇ 퇴직전후 교원의 노후준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ㅇ 대학의 노인교육교재, 노인학습자의 노인교육교재 개발
5) 노인교육기관의 다양화와 전문화
ㅇ 노인교육 + 노인복지, 노인교육전문기관
ㅇ 기존의 각급학교 및 평생교육기관에 노인교육과정 신설 적극 유도
6) 노인교육기관의 현대화
ㅇ 노인교육시설의 재정투자 확대
ㅇ 노인교육기관의 최신시설로 현대화
7) 노인교육 행정의 체계화와 노인직종 개발
ㅇ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노인교육 행재정지원 강화
- 교육부(노인교육), 노동부(직업훈련), 보건복지부(노인복지), 재경부(세제혜택), 행정자치부
및 기획예산처(노인교육예산) 등과 상호연계를 통한 노인교육행정의 체계화
ㅇ 노인직종개발, 노인인재은행 개설
ㅇ 평생교육법에 의한 강사정보은행제에 노인교육분야를 삽입하여 노인교육전문가 풀제 운영
8) 고등교육수준으로 능력향상을 위한 노인교육정책
ㅇ 교육기획확대와 교육사회화 시대
학교교육사회 교육체제 교육사회 교육체제
[그림-3] 평생교육체제
※ 학 교 사 회 → 학 습 사 회 → 교 육 사 회
(오 직 학 교) (서로가르치고 서로배우는 사회) (사회는 곧 교실이다)
10) 경제적문화적 생활수준 향상에 부응하는 노인여가교육 활성화
ㅇ 가치관의 변화 : Sleep → See - Do ⇒ Do - See - Sleep
다. 老人敎育政策硏究 擴大와 示範運營
ㅇ 1998년도 노인교육정책연구(2과제)
- 고령화시대에 부응하는 노인교육교재 개발 연구
「평생학습사회와 노인교육」교재개발(고양곤외 7명)
- 한국형 노인교육프로그램의 모델개발 위한 연구 : 홍기형외 5명
ㅇ 1999년도 노인교육정책연구(5과제)
- 퇴직교원의 노후준비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김신일외 6명)
- 21세기 한국노인교육의 장기정책 발전방안 연구(한준상외 5명)
- 노인학습자를 위한 노인교육교재 개발 연구(박재간외 6명)
- 노인교육기관 및 프로그램 실태조사 분석연구(변재관외 5명)
- 21C 노령화사회를 대비한 노인교육활성화 방안(이병준외 6명)
ㅇ 2000년도 노인교육정책연구계획(2억원 예산확보)
- 노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노인교육담당자 및 전문가 양성과정 시범운영
교육발전5개년 계획 시안
(단위 : 억원)
사업내용
2000
2001
2002
2003
계
노인교육활성화
110
200
300
350
960
5. 結 論
21세기는 지식기반사회로 평생학습을 필요로 하는 사회이다. 지식기반사회에서 인류지식의 총량은 10년후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의 1%정도 수준밖에 되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이와같이 지식기반사회는 빠른속도로 변화하는 반면에, 인간의 평균수명은 길어져 성인인구 특히 노인인구가 대폭 확대되고 있다. 이는 성인교육과 노인교육의 중요성을 예고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성인교육참여율은 5.4%로 프랑스 40%, 미국 34%, 독일 33%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며, 더욱이 노인교육은 정확한 실태조사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성인교육과 함께 노인교육의 참여기회를 확대하고 성인교육의 인프라구축 특히 원격교육을 통해 재택학습, 직장 내 학습을 통한 성인교육과 노인교육의 활성화를 꾀하여야 한다.
추천자료
생애주기에 따른 여성노인의 빈곤 원인 (노인복지 노인문제)
노인문제-노년기의 고용 및 소득,노인취업문제
노인문제와 노인고용정책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노인문제]노인성난청 노인치매분석
(농촌노인문제) 농촌 노인복지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현대사회의 노인문제와 노인복지 서비스와 실천 문제점
우리나라 재가 복지서비스,노인부양, 노인문제의 실태 분석과 외국의 사례, 문제점, 노인 복...
노인, 노인문제의 개념과 고령화문제에 대해
노인문제와 노인복지, 노인복지의 역사 정리
우리나라 노인문제와 노인복지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책
[노인복지] 다양한 노인문제의 원인분석, 문제점, 특징 및 노인복지방안 (2012년 추천 우수)
노인복지 (노인문제, 4고, 발생요인, 노인복지프로그램, 발전과제) 보고서
<노인문제의 개념과 고령화의 진행양상, 그리고 고령화의 대책과 개선방향>노인문제의 개념,...
노인문제를 개인문제가 아닌 사회문제로 인식할 수 있는 근거와 그 의의를 설명해 보시오 -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