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속의 과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속의 과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스타워즈(1977)

2. 인디펜던스 데이 (1996)

3. 울트라맨

4. 콘택트 (1997)

5. 쉬리 (1999)

6. 순간이동장치의 현실 가능성(스타트랙)

7. 마징가 제트와 아톰

8. 음파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바꿔주는 현상

본문내용

스타워즈(1977)
왜 우주선에는 레이져 총을 탑재할까?
작용-반작용의 법칙
공중에 떠다니는 자동차들…
반중력이란?
광선검은 과연 존재할 수 있는가?
빛의 직진성
빛은 서로 상호작용하지 않는 입자 그룹이다.
(photon = boson)
인디펜던스 데이 (1996)
지름 24km의 외계인 비행접시가 지구로 침공하면?
영화보다 끔찍한 일이 벌어진다!
지름이 24km, 높이 3km의 비행접시(모선)
모선의 비중이 물과 같은 1g/cm3 라면: 모선 무게는 1천억 톤
질문: 1천억 톤짜리 비행접시를 허공에 떠있게 하려면 하단부에 얼마나 큰 압력을 가해야 하는가?
비행접시(모선)의 무게를 밑바닥 면적으로 나누면, 204kg/inch2
해수면에 작용하는 대기압(6.8)의 30배!!!
cf. 대부분의 건물은 대기압의 5배 이상을 견디지 못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1.31
  • 저작시기2003.4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3914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