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내 사회복지 기능과 위기개입 서비스의 필요성과 실천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제제기

2. 학교 내 사회복지 기능의 필요성

3. 학교사회사업의 대상
1) 학교생활의 실패
2) 공격적이고 반사회적 행동
3) 퇴행적 행동
4)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
5) 무단결석
6) 병이나 천대로 인한 신체적 결핍

4. 위기개입 서비스의 의의와 특성
1) 위기와 위기개입 서비스의 개념
2) 학교 내 위기개입 서비스의 의의

5. 학교 내 위기개입 서비스의 방법과 내용
1) 위기개입 서비스 팀의 구성과 각 구성원의 역할
(1) 위기개입 서비스팀의 구성인원
(2) 위기개입 서비스팀의 역할
(3) 담임 및 교과교사의 역할
(4) 상담관련 교사의 역할
2) 위기사건의 발생과 진행에 따른 단계적 개입
3) 피해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Debriefing 서비스

5. 결론과 제언

본문내용

정기관 그리고 지역사회가 공동으로 협력할 때 보다 효과적이다. 따라서 지역사회와 학교가 상호협조하는 열린 관계가 맺어져야 한다. 실례로 지난 4월에 서울의 중학교에서 발생한 급우살해사건에 대해서 학교사회사업실천가협회의 학교사회사업가들이 중심이 되어서 처음으로 위기개입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비록 이 위기개입 서비스가 단기적이고 부분적인 서비스에 머물렀지만, 지역사회의 전문가와 학교가 피해학생의 심리적 충격을 완화하는 공동의 목표를 위해서 같이 노력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위기개입 서비스의 도입에 희망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위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위기개입 서비스가 보다 조속하게 제공되기 위해서는 우리의 교육환경이 변화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학교는 위기사건에 대해서 은폐하거나 축소하기 보다는 지역사회의 협조를 받을 수 있도록 외부의 전문가에게 좀 더 개방적이어야 하며, 교육행정기관은 학교의 문제해결노력을 지지하고 도와주어야 한다. 학교는 폭력과 같은 위기사건에 대해서 가해학생이나 교직원을 처벌하고 징계하는데에 치중하기 보다는 피해학생의 안전과 복지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며, 나아가 가해학생에 대한 재활의 기회도 제공하여야 한다. 학교가 모든 학생들에게 화해와 용서, 치유와 재활 그리고 인권회복과 복지의 기회를 제공하는 참교육의 현장으로 거듭날 때 우리는 학교를 통하여 공동체의 삶을 교육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학교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공기관으로 변화될 때 그동안 우리 사회에서 논의되어 오던 학교무용론이나 학교붕괴 또는 학생문제의 위기도 또한 해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Yamashita (2000) 일본사회사업대학, 개인적 대화
김승태 등, (1997) 삼풍사고 생존자들에서의 급성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발생빈도, 예측인자, 증상변화에 대한 예비적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 36권, 제 3호, pp. 475-486
김기환 외 (1998) 학교와 사회복지, 학문사
김기환, 전명희 (2000) 청소년 자살의 원인과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8권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7: 신경정신과학, 1판, 하나의학사, p.414
사망원인 통계연보 (1991-1996), 인구동태신고에 의한 집계, 통계청
이선미, 은헌정 1999: 한국판 사건 충격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 학 제 38권, 제 3권, pp. 501-513
정유성(1998) 새로운 교육문화와 사회운동, 한올아카데미
청소년 대화의 광장(1995) 대형사고에 따른 충격 및 후유증 대처방안에 관한 청소년 의식에 관한 설문조사, internet 자료
통계청 (2001) 혼인이혼 통계발표
Aubrey, R. R. (1977), "Adolescents and Death", in Prichard etc(eds.) Social Work with the Dying Patients and the Famil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31-145.
Avila, D. T (1999),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Children and Adoloscents", internet 자료
Friedman, M. (2000)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 overview", internet 자료
Gerber, L, 1990, 김세경, 안무업: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의 의학적 측면에서의 고찰, 대한의사 협회지, 제 39권 제 2호, pp.169-191에서 재인용;
Golan, N.(1978) Treatment in Crisis Situations. New York, The Free Press.
Holmes, T. H. and Rahe, R. H(1967),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1: 213-218
Gerald A. Juhnke, G (1997), After school violence: an adapted 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 model for student survivors and their parents, Elementary School Guidance and Counseling, pp. 163-170.
Mental Health in Schools Center (2002), Resoponding to crisis at a school, UCLA
Motta, R. W (1994) "Identification of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childhoo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sychology in the Schools, 31, 49-56
Ne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2002), Crisis communications guide and toolkit
Rothbaum, B. O., & Foa, E. B.(1992),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P. A. Saigh(E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A Behavioral pproach to Assessment and Treatment(pp.85-110). Boston, MA: Allyn & Bacon.
Shannon, M. P, Lonigan, C. J., Finch, A. J., & Taylor, C. M.(19940 "Children exposed to disater: I. Epidemiology of post traumatic symptoms and symptom profile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391), 80-93
Volpe (2000), Crisis Response in Our School: An Overview, internet 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2.02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17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