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과 박물관학에 대한 논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현대박물관의 역할과 기능
1. 박물관에 대한 정의
2. 박물관자료의 수집정책과 정보관리 체계
3. 박물관에 대한 인식
4.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
5. 오늘날 박물관의 기능

Ⅱ. 박물관학의 총체적 이해
1. 박물관학의 개요
1) 박물관학의 태동
2) 박물관학에 대한 논의
2. 박물관기술학에 대한 관심
3. 박물관연구의 경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공포되면서 영국을 중심으로 박물관학이 박물관기술학을 포괄하는 것으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1971년 와이 오돈은 국제박물관협의회 보고서에서 "어떤 수준에서 듣지 박물관학의 전문적이거나 직업적인 훈련에는 박물관이나 실험실에서 실습을 포함해야 한다. 박물관학은 이론적인 훈련을 위한 것이고, 박물관기술학은 실습훈련을 위한 것이다."(Oddon, Y., in Hudson, Kenneth, 1977: 151∼152)고 규정하였다.
인도의 박물관학자 에스 제이 박지와 브이 피이 디위베디는 박물관기술학은 '응용박물관학'(applied museology)으로서 모든 박물관의 다양한 분야에 관련된 박물관 기술의 실습이다."Baxi, S. J. & Diwivedi, V. P., 1973: 203)고 정의하였다. 이를 보다 발전시켜 지 이 버코는 "박물관기술학은 박물관과 관련된 기술의 주체로서 온갖 박물관의 다양한 분야에 관련되고 박물관의 운용에 관련된 방법과 실습을 포함한다."(Burcaw, G. E., 1975: 21)고 언급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시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박물관학 기본교과과정표는 박물관학 위주로 짜여 있다. 물론 박물관학과 박물관기술학의 결합과 분리에는 장단점이 있다. 양자사이의 적절한 결합은 박물관 전문직원 양성을 위한 훈련에 양자의 상호보완 관계를 유지할 수 있고, 양자사이의 분리는 전문분야의 발전에 이바지 할 뿐만 아니라 독자적인 영역과 깊이 있는 연구가 가속화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3. 박물관연구의 경향
박물관연구(museum studies)는 박물관학과 박물관기술학의 연구 대상과 영역을 포괄하는 종합과학이라고 할 수 있다. 박물관학(museology)은 박물관과 박물관의 종사자를 주 대상으로 보다 이론적인 연구에 치중되어 있는 반면에 박물관기술학은 박물관의 환경과 박물관 시설물 운영을 주 대상으로 기술적이고 실용적인 측면의 연구에 치중되어 있다. 따라서 박물관학과 박물관기술학은 독립된 분과학문으로서 또한 공동연구를 필요로 하는 미묘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관계는 인류학이나 민속학에 있어서 민속지(ethnogrophy)와 인류학 또는 민속학의 상호 관계와 비유되어질 수 있다.
박물관학은 일반박물관학(general museology)과 특수박물관학(special / specialized museology)으로 두 가지로 나뉘어진다. 일반박물관학은 박물관학의 대상과 영역, 이론, 방법론, 박물관자료의 해석, 박물관의 설립과 운영 등을 조사 연구하는 순수 박물관학이라고 할 수 있다. 특수박물관학은 인문사회계의 인류학적인 박물관학, 자연이공계의 자연과학적인 박물관학, 예술계의 예술학적인 박물관학으로 3대별 될 수 있다. 특수박물관학은 각 분과학문의 특성을 살려 관심 있는 박물관자료를 소재로 박물관활동에 필요한 조사ㆍ연구활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박물관전문직 종사자들은 누구나 특수박물관학 분야의 전공 영역을 갖게 되지만 20세기에 들어와 순수 박물관학이 독립된 분과학문으로서 번창하면서 이제는 순수 박물관학 전공자들이 박물관학 세계의 발전을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박물관학과 박물관기술학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명칭이 박물관연구이기 때문에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박물관학 연구가 박물관학을 대변하는 분과학문으로 발전하고 있고 박물관 연구란 용어가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일반 박물관학과 박물관기술학의 만남은 박물관 세계의 내외부적인 변화와 학문연구 경향의 변화 추세에 따른 것이라고 판단한다.
참고문헌
최종호, 1996, 「박물관의 설립과 운영」, 『박물관학연구』창간호, 대전, 대전보건전문대학 박물관학연구소
최종호, 1998, 「박물관학과 박물관전문직」『'98 박물관ㆍ미술관 큐레이터 연수』,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김병모외 3인, 1999,『박물관ㆍ미술관 학예사 자격제도 연구』, 서울, 한국문화정책개발원
최종호, 2000, 『박물관실무지침』, 서울, (사)한국박물관협회
AAM, 1973, Museum Studies: A Curriculum Guide for Universities and Museums, Washington D.C.: AAM
Baxi, S. J. & Diwivedi, V. P., 1973, Modern Museum, New Delhi: Abhinav Publications
Burcaw, G. E., 1975, Introduction to Museum Work, Nashiville: AASLH
Danilov, Victor, J., 1994, Museum Careers and Training -A Professional Guide-, London: Greenwood Press
Decharme, P., 1886, Mythologie de la Greece Antique, Paris: Garnier
Glazer, Jane, R., 1987, Museum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coming a long way for a long time, Museum: Staff training, No. 156, Paris: UNESCO
Hudson, Kenneth, 1977, Museums for 1980s, Paris: Unesco.
Jelinek, J., 1970, Museology and Museography in Museums, Training of Museum Personnel , London: ICOM.
Lewis, G.D., 1984, Collections, collectors and museums: a world survey, in Thompson, J.M.A, et al. (eds), 1984, Manual of Curatorship - A Guide to Museum Practice, London: Butterworths
Oddon, Y., Professional Training of Museum Personnel in the World, Grenoble: ICOM,
Wittlin, A. S., 1970, In Search of Usable Future, Massachusetts: MIT Press
  • 가격2,6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2.03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20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