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정약용의 이용후생학 및 목민서에 보이는 호남지방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다산과 이용후생학

3. 다산과 화성 건설

4. 다산과 ‘호남’, 그리고 ‘호남실학’

5. 다산과 호남의 실학자.지식인

6. 다산 목민서에 보이는 호남지방
1) 호남실학과 호남지역사
2) 다산 목민서에 보이는 호남
3) 다산의 시가와 호남 사정

7. 결 어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전 崔致鳳의 농간과 고리대 일화(吏典六條 束吏)
·전주판관 金永耉가 귀양살이하는 친구의 贖錢을 대납한 일화(律己六條 樂 施)
·전주판관 許稠의 굳고 바른 법 집행 일화(奉公六條 守法)
·순천부사 李昌庭의 동명이인 일화(律己六條 樂施)
·능주목사 李宗燮의 민고 관련 응지상소에 대한 정조의 비답(戶典六條 平賦)
·순창 수령 李茂方이 친구에게 토산물을 자비로 사서 준 일화(律己六條 樂施)
·黃進이 동복현감으로 이재민 구한 일화(愛民六條 救災)
·고창현감 姜秀崑의 유민 구제 일화(律己六條 樂施)
·금구현령 朴煥의 중국인에 대한 의리(奉公六條 禮際)
3) 다산의 시가와 호남 사정
한편 이 같은 목민심서의 호남 사정과 함께 또 하나 우리에게 다산의 비판적이고 예리한 안목을 느끼게 하여주는 것이 다산의 民情에 관련된 詩歌들이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耽津村謠 20首, 耽津農歌, 耽津漁歌 10章, 哀絶陽 등등이 지목된다.
이중 특히 애절양의 경우는 식구 수만큼 배당되는 軍布를 담당할 능력이 없는 농민이 자기의 생식기를 자를 수밖에 없는 슬픈 사연을 고발하는 내용이다(박석무, 『茶山詩集 哀絶陽』). 민중의 질고를 대변하는 다산의 면모를 우리는 이 애절양을 통해서 느낄 수가 있고, 탐진촌요와 농가, 어가 등의 耽津樂府는 다산의 대표적 시가문학 작품으로 당시 이미 서울까지 알려져 회자되던 시가임을 李學睦은 그의 嶺南樂府序에서 밝히고 있을 정도이다(김상홍, 『流配地의 哀歌』).
이상에서 나열한 여러 사정들은 모두가 호남지역의 사례를 예시하고 당시의 사회 모순을 지적, 혹은 비판한 부분이다. 단순 나열일 뿐이고, 도 자료의 표집 작업도 전면적 검토가 아니라 기본적인 수록 성향과 외형만을 간략히 점검한 수준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러한 논의를 보다 진전시키려면 앞으로 좀더 면밀한 작업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다산의 목민서에 보이는 각종 예시 자료나 인용사례들 중에는 물론 중국의 여러 책자들이나, 우리의 각종 사서에서 광범한 자료를 표집·동원한 것이고, 그 박학다식함에서 다산이 다산일 수 있는 특성도 드러나는 것이지만, 그와 못지 않게 그가 호남에서 직접 체험한 내용들이 매우 많다는 점도 이상의 예시들을 통하여 우리는 파악할 수가 있다.
다산이 스스로 『牧民心書』 自序에서 밝혔듯이 "처한 위치가 비천했기 때문에 듣는 바가 자못 상세하였으며", 이를 "종류에 따라 설명 기록"하고 거기에 자신의 견해를 덧붙이는 형태로 목민서는 저술된 것이었다.
더욱이 그가 설정한 문제의식이라는 것이 기본적으로는 호남에서 목격하고, 느꼈던 것이었다는 점도 주시할 필요가 있다. 서울에서 멀리 떨어져 王化가 미치지 못한 호남지역에 내려와 농민들의 생활을 몸소 체험할 수만 있었다면, 뜻 있는 선비치고 어찌 이러한 상황을 두고 문제의식을 갖지 않을 수 있을 것인가?
또한 외국의 문물에 쉽게 접할 수 있었고 왕궁에서 멀리 떨어져 수탈이 심할 수밖에 없었던 곡창지대, 어염이 풍부했던 해안도서지역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조정에 접근하여 경륜을 시험할 수 없었던 불우한 호남의 지식인들은 이 시대에 과연 어떠한 생각으로 사회를 바라보고 있었을까?
아마도 추정이 좀 강하다고 할지는 모르지만, 바로 호남사람들이 겪은 사회상이 결국 비판정신과 개혁의지를 잉태시킨 것이며, 그것이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대와 설득력을 얻기 위해서는 실증적이고 실용적인 논리를 전개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고, 그래서 학문 태도와 기술법이 실학이란 모습으로 나타난 것은 아닐는지. 그렇다면 더욱이 호남실학은 바로 그 학문적 토대와 문제의식이 되는 호남의 사회상을 배경으로 하였다고 보아야 하며, 그것을 추적하여 거꾸로 그 사상내용 속에서 당시의 현실을 파악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나아가 다산 연구가 개혁의지나 사상을 중심으로 오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려는 것이라면 그로 하여금 그 같은 생각을 갖게 했던 귀양지 호남의 사회상과 그 사상에 영향을 미쳤던 불우했던 호남지식인들의 사상과 그들의 성향은 분명하게 되새겨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7. 결 어
정약용의 이용후생학이 갖는 역사적 위치에 대하여 생각해 보기로 한다. 조선후기 실학의 학파를 경세치용 학파, 이용후생 학파, 실사구시 학파로 나누는 견해가 있다.
) 이우성, 실학연구서설, 『실학연구입문』,일조각, 1973
이에 따르면 유형원, 이익, 정약용으로 이어지는 기호남인계의 실학자들은 경세치용 학파, 노론계의 북학파들은 이용후생 학파로 나뉘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분류법에는 문제가 있다. 기호남인계의 실학파에게서도 이미 李瀷 단계에서 서양의 과학에 대한 깊은 관심이 나타나며 이익의 제자 가운데 李基讓과 같은 사람은 중국에서 가서 새로운 기구를 직접 수입해 오기도 하였다. 또 정약용의 경우 이용후생학에 대하여 깊은 관심을 갖고 화성 건설을 위한 전체 계획을 직접 수립하였으며 북학파의 기술도입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목민심서와 경세유표에서는 이용후생학에 대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운영 방안, 제도 개혁론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실학을 기호남인계 실학 즉 경세치용학파, 노론계 북학파 즉 이용후생학파로 나누는 견해는 재고되어야 한다.
) 북학파에게도 토지개혁론과 같은 농업과 제도 개혁론의 요소가 있다. 따라서 북학파 자체도 상공업이나 기술 발전의 관점에서만 파악할 수 없다.
정약용은 원래 기호남인계 자체의 실학 속에 내재하는 이용후생학적 요소를 계승하는 한편 국왕 정조와 화성 건설을 통해 이용후생학을 더욱 발전시켰으며 북학파의 기술발전론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이리하여 후기의 경세유표에서는 이용후생학을 제도개혁론과 결합시켜 이용감의 설치와 같이 새로운 국가 기구를 통한 기술발전론을 전개하였다. 이것은 달리 표현하면 經世致用學과 利用厚生學의 결합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금장태, 『정약용, 한국실학의 집대성』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9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2』 김영사, 2004
성환, 『글로벌 시대 정약용 세계관의 가능성과 한계』
김성일, 「茶山의 上帝思想 硏究」
정 다산 연구의 현황, 강만길, 민음사, 1986
실학연구 입문, 역사학회, 일조각, 1983
  • 가격2,8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02.05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23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