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1. 지리학이란?
2. 지리학의 연구 방법
3. 시.공간을 초월하는 지리학의 기본 본질
Ⅱ. 환경요소의 상징적 의미
A. 조화의 표상
B. 중심성의 상징-천, 지, 지하 사이의 교통
C. 환경요소의 미래지향성
Ⅲ. 의미의 체계
A. 환경요소의 상징적 계층체계
B. 의미의 일체화
Ⅳ. 맺는 말
참 고 문 헌
1. 지리학이란?
2. 지리학의 연구 방법
3. 시.공간을 초월하는 지리학의 기본 본질
Ⅱ. 환경요소의 상징적 의미
A. 조화의 표상
B. 중심성의 상징-천, 지, 지하 사이의 교통
C. 환경요소의 미래지향성
Ⅲ. 의미의 체계
A. 환경요소의 상징적 계층체계
B. 의미의 일체화
Ⅳ. 맺는 말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우리는 무의식에 존재한다고 하는 집단적 표상을 부정하여도 좋을 것이다. 또한 우리의 전통공간의 특징도 타 문화권에서 도입된 문화요소와 독자적인 것이 상호복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중심성의 표상에 있어서는 우리의 고유성보다는 세계적인 공통점이 더욱 두드러진다. 이로 미루어 向天的 흐름의 원형을 인류가 공통적으로 지닌다고 볼 수도 있으나 이에 대한 의문은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해결의 과제로 남기는 것이 좋겠다.
다만 우리 한국인의 미래지향성은 독특한 방식으로 공간에 표현되어 왔으며 불균형, 비대칭 속에서 조화를 모색한 것은 한국인의 미래지향적 태도에 연유한다.
우리는 앞서 조화의 표상, 중심성의 상징, 미래지향의 공간적 표현 등을 통하여 환경요소들의 의미가 별개의 것으로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있다는 것을 알았다. 개개의 요소가 조화, 중심성, 시간에 대한 의미를 내포하며 요소간에는 동일한 의미를 지니면서도 계층적 질서가 존재함도 살펴보았다. 옛 사람들은 무질서한 공간에 의미를 부여하여 조화로운 생활세계를 창출하여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왔다.
오늘날 우리는 대중문화 속에 살면서 환경요소와 그것들이 어우러진 장소의 의미를 잃고 혼돈의 세계에서 살고 있는지, 아니면 무의식의 원형을 새로운 양식을 빌어 표현함으로써 또 다른 조화를 구축해 나가고 있는 것인지, 이에 대한 연구가 남은 과제가 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성배. [한국의 민속]. 제3판. 서울: 집문당, 1983.
金容沃. [여자란 무엇인가]. 서울: 통나무, 1989.
金容雲. [문화 속의 수학]. 서울: 현암사, 1976.
金炯萬.金哲洙. "한국성곽도시의 발전과 공간패턴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17권, 제1호(1982). pp.27-40.
兪在賢. "혈과 명당의 관계를 통하여 본 한국전통 건축공간의 중심개념에 관한 연구." [울산공대 연구논문집], 제10권, 제2호(1979). pp. 103-121.
윤장섭. [한국건축사]. 서울:동명사, 1984.
이규태. "包". [가정조선], 1985.1, pp.68-71.
李丙燾. [高麗時代의 硏究 - 특히 도첨사상의 발전을 중심으로]. 서울: 아세아문화사, 1980.
융. [인간과 무의식의 상징]. 李符永 外 譯. 서울:집문당, 1983
임충신. "母空間의 原形: 山과 天". [울산공대 연구논문집], 제8권, 제2호(1977). pp.31-35.
鄭鎭元. "한국인의 환경지각에 관한 연구." [지리학논총], 제9호(1982). pp.59-79.
崔昌祚. [한국의 풍수사상]. 대학학술총서, 10. 서울:민음사, 1984.
형기주. "도성계획과 우주적 상징주의." [지리학], 제32호 (1985). pp.24-38.
Brentjes,B., Die Stadt des Yima. Weltbilder in der Architektur. Leipzig: E.A.Seemann Verlag, 1981.
Dege,E., "Geomantische Raumwahrnehmung und Stadtplanung in Ostasien." In: K.Lenz & F.Scholz (Hrsg.), Tagungsbericht und wissenschaftliche Abhandlungen. Nr.44.
Deutscher Geographentag Muenster. Stuttgart,Franz Steiner Verlag, 1984. pp. 268-281.
Doughty,R.W.,"Environmental Theology. Trend and Perspects in Christian Thought." In: Progress in Human Gography. Vol.5,No.2. London: Edward Arnold, 1981. pp.234-257.
Glacken,C.J., Traces on the Rhodian Shore. Berkeley & Los Angeles: Univ. of California, 1976.
Kang.K.W.,"Die raeumliche Kognition koreanischer Stadtbewohner. Beitrag zur Erforschung kulturraumspezifischer Wahrnehmungs- und Bewertungsmuster." Materialien zur regionalentwicklung. Heft8. Geographisches Institut der Uni. Kiel, 1988.
Rose.C., "Wilhelm Dilthey's Philosophy of Historical Understanding." In: D.R.Stoddart, ed., Geography, Ideology and Social Concern, Oxford: Basil Blackwell, 1981. pp.99-133.
Senda,M.,"Territorial Possession in Ancient Japan." In:The Association of Japanese Geographer. Geography of Japan. Special Publication. No.4, 1980. pp.101-120.
Tuan,Y.F., "Geopiety. A Theme in Man's Attachment to Nature and to Place." In: D.Lowenthal & M.J.Bowden,eds., Geographies of the Mind. N.Y.: Oxford Univ. Press, 1976. pp.11-39.
Tuan,Y.F., Space and Place. Edward Arnold, 1977.
White,Jr.L.," The historical roots of our ecologic crisis." In: Detwyler,T.R.,ed., Man's Impact on Environment. McGraw-Hill, 1971. pp.27-35.
Yoon,H.K., "The Image of Nature in Geomancy." In: GeoJournal Wiesbaden, 1980. pp.341-348.
중심성의 표상에 있어서는 우리의 고유성보다는 세계적인 공통점이 더욱 두드러진다. 이로 미루어 向天的 흐름의 원형을 인류가 공통적으로 지닌다고 볼 수도 있으나 이에 대한 의문은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해결의 과제로 남기는 것이 좋겠다.
다만 우리 한국인의 미래지향성은 독특한 방식으로 공간에 표현되어 왔으며 불균형, 비대칭 속에서 조화를 모색한 것은 한국인의 미래지향적 태도에 연유한다.
우리는 앞서 조화의 표상, 중심성의 상징, 미래지향의 공간적 표현 등을 통하여 환경요소들의 의미가 별개의 것으로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있다는 것을 알았다. 개개의 요소가 조화, 중심성, 시간에 대한 의미를 내포하며 요소간에는 동일한 의미를 지니면서도 계층적 질서가 존재함도 살펴보았다. 옛 사람들은 무질서한 공간에 의미를 부여하여 조화로운 생활세계를 창출하여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왔다.
오늘날 우리는 대중문화 속에 살면서 환경요소와 그것들이 어우러진 장소의 의미를 잃고 혼돈의 세계에서 살고 있는지, 아니면 무의식의 원형을 새로운 양식을 빌어 표현함으로써 또 다른 조화를 구축해 나가고 있는 것인지, 이에 대한 연구가 남은 과제가 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성배. [한국의 민속]. 제3판. 서울: 집문당, 1983.
金容沃. [여자란 무엇인가]. 서울: 통나무, 1989.
金容雲. [문화 속의 수학]. 서울: 현암사, 1976.
金炯萬.金哲洙. "한국성곽도시의 발전과 공간패턴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17권, 제1호(1982). pp.27-40.
兪在賢. "혈과 명당의 관계를 통하여 본 한국전통 건축공간의 중심개념에 관한 연구." [울산공대 연구논문집], 제10권, 제2호(1979). pp. 103-121.
윤장섭. [한국건축사]. 서울:동명사, 1984.
이규태. "包". [가정조선], 1985.1, pp.68-71.
李丙燾. [高麗時代의 硏究 - 특히 도첨사상의 발전을 중심으로]. 서울: 아세아문화사, 1980.
융. [인간과 무의식의 상징]. 李符永 外 譯. 서울:집문당, 1983
임충신. "母空間의 原形: 山과 天". [울산공대 연구논문집], 제8권, 제2호(1977). pp.31-35.
鄭鎭元. "한국인의 환경지각에 관한 연구." [지리학논총], 제9호(1982). pp.59-79.
崔昌祚. [한국의 풍수사상]. 대학학술총서, 10. 서울:민음사, 1984.
형기주. "도성계획과 우주적 상징주의." [지리학], 제32호 (1985). pp.24-38.
Brentjes,B., Die Stadt des Yima. Weltbilder in der Architektur. Leipzig: E.A.Seemann Verlag, 1981.
Dege,E., "Geomantische Raumwahrnehmung und Stadtplanung in Ostasien." In: K.Lenz & F.Scholz (Hrsg.), Tagungsbericht und wissenschaftliche Abhandlungen. Nr.44.
Deutscher Geographentag Muenster. Stuttgart,Franz Steiner Verlag, 1984. pp. 268-281.
Doughty,R.W.,"Environmental Theology. Trend and Perspects in Christian Thought." In: Progress in Human Gography. Vol.5,No.2. London: Edward Arnold, 1981. pp.234-257.
Glacken,C.J., Traces on the Rhodian Shore. Berkeley & Los Angeles: Univ. of California, 1976.
Kang.K.W.,"Die raeumliche Kognition koreanischer Stadtbewohner. Beitrag zur Erforschung kulturraumspezifischer Wahrnehmungs- und Bewertungsmuster." Materialien zur regionalentwicklung. Heft8. Geographisches Institut der Uni. Kiel, 1988.
Rose.C., "Wilhelm Dilthey's Philosophy of Historical Understanding." In: D.R.Stoddart, ed., Geography, Ideology and Social Concern, Oxford: Basil Blackwell, 1981. pp.99-133.
Senda,M.,"Territorial Possession in Ancient Japan." In:The Association of Japanese Geographer. Geography of Japan. Special Publication. No.4, 1980. pp.101-120.
Tuan,Y.F., "Geopiety. A Theme in Man's Attachment to Nature and to Place." In: D.Lowenthal & M.J.Bowden,eds., Geographies of the Mind. N.Y.: Oxford Univ. Press, 1976. pp.11-39.
Tuan,Y.F., Space and Place. Edward Arnold, 1977.
White,Jr.L.," The historical roots of our ecologic crisis." In: Detwyler,T.R.,ed., Man's Impact on Environment. McGraw-Hill, 1971. pp.27-35.
Yoon,H.K., "The Image of Nature in Geomancy." In: GeoJournal Wiesbaden, 1980. pp.341-348.
키워드
추천자료
환경보전과 생태철학
관광과 환경과의 관계
환경디자인 분석과 전망
환경보호와 개발 - 도롱뇽 소송 사건
지구 환경문제 대책회의
UN_인간환경선언
환경과 안보
건강가족기본계획 레포트
사회복지의 기본 이념인 인간존중 사상, 평등사상, 국가책임사상이 대해 설명.
인간언어의 본질을 간략하게 설명.
인간행동과사회환경 A형) 행동발달에 대한 로저스(C. Logers) 이론의 특징과 장단점을 설명하...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과제물(매슬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다문화 시대가 되고 나서의 문제점과 그 해결책을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인간행동과사회환경 C] 교재에 있는 ‘반두라 이론의 주요 개념’들을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