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II. 경제자유구역법의 추진경위 및 그 내용
1. 경제자유구역의 의미
2. 경제자유구역법의 추진 경위
3. 경제자유구역법의 주요 내용
Ⅲ. 경제자유구역법의 위헌성 검토
1. 총설
2. 평등권 침해
3. 적법절차 위반
4. 환경권 침해
5. 근로의 권리 침해
6. 지방자치조항에 위배
7. 각종 경제조항에 위배
8. 교육받을 권리 침해
Ⅳ. 경제자유구역법의 경제적 기대효과
1. 산업구조의 고도화
2. 경제자유구역법의 사회,경제적 비용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성장론의 변화와 양질의 외국인 투자유치
1. [경제자유구역법]의 폐지와 기타 관련 법령의 재정비
2. 경제 성장론의 변화와 외국인 투자 유치 전략
3. 결론
II. 경제자유구역법의 추진경위 및 그 내용
1. 경제자유구역의 의미
2. 경제자유구역법의 추진 경위
3. 경제자유구역법의 주요 내용
Ⅲ. 경제자유구역법의 위헌성 검토
1. 총설
2. 평등권 침해
3. 적법절차 위반
4. 환경권 침해
5. 근로의 권리 침해
6. 지방자치조항에 위배
7. 각종 경제조항에 위배
8. 교육받을 권리 침해
Ⅳ. 경제자유구역법의 경제적 기대효과
1. 산업구조의 고도화
2. 경제자유구역법의 사회,경제적 비용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성장론의 변화와 양질의 외국인 투자유치
1. [경제자유구역법]의 폐지와 기타 관련 법령의 재정비
2. 경제 성장론의 변화와 외국인 투자 유치 전략
3. 결론
본문내용
는 어려움은 우수한 인력 확보이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2002.6)에 따르면 국내에 진출한 외국인 투자기업의 연구소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우수 연구원 확보 문제」(41.8%)와 연구원 이직문제(5.5%)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외국인 투자기업에 대한 인력 공급 서비스를 전담하는 부서를 둬야 하며 또한 외국인 투자기업에서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인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특히 산업기술의 고도화를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를 통해 이루고자 한다면 외국인 투자기업이 활용 가능한 인적 자원을 질적, 양적으로 확대하여야만 가능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교육 투자를 늘리는 것과 동시에 교육개혁이 이루어져야 한다.
) 현재 외국인 투자기업이 한국의 인력에 대해 어떤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조사된 바는 없다. 이에 대한 정부의 조사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최근 이공계 기피현상 및 배출인력 부족현상과 맞물려 과학기술인력의 부족 문제가 더욱 중요하게 부각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위에서 밝혔듯이 국가가 사회복지 및 교육 투자를 확대하여야 한다. 이는 국민 전체의 인적 자본을 늘릴 뿐만 아니라 사회적 안정성을 높여 사회적 자본의 축적을 가능하게 한다.
3. 결론
외국계 기업이나 사람이 국내로 들어와 사업을 하는 것은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 모두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이를 제어하기 위해 정부는 여러 정책 수단들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단의 하나로 도입된 것이 「경제자유구역법」이다.
그러나 「경제자유구역법」은 외국인 직접 투자의 긍정성을 높이기보다는 그 부정성을 증폭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크게 보아 너무 광범위하고 비체계적인 혜택 정책과 외국인 투자 고립 정책 때문이다.
그러므로 크게 보아 다음과 같은 법제도적 대안이 필요하다. 현재 입법되어 7월부터 시행 예정인 「경제자유구역법」은 폐지되어야 한다. 또한 이와 유사한 「외국인 투자 촉진법」은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기본에 충실한 것이다. UNCTAD(2002)가 지적한대로 외국인 직접투자는 즉각적으로 국내 경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투자유치국의 역량에 따라 그 결과는 상이할 수 있다.
<참고문헌>
과학기술부(2001. 12.), 「민간기술개발촉진 지원시책 개선방안 연구」, 과학기술부.
글리벡문제해결과 의약품의 공공성 확대를 위한 공동대책위(2002.), 「글리벡, 생명을 위한 약인가 이윤을 위한 약인가?」토론회 자료집, 글리벡문제해결과 의약품의 공공성 확대를 위한 공동대책위
박신호(2002.8.1.), 「한국제약산업의 문제점과 글로벌 강화방안」, 제19차 정책개발세미나 자료집, 새시대전략연구소
산업자원부(2002), 「제조업 기술수준 세계최고와 비교 약 80% 수준」, 산업자원부 보도자료.
삼성경제연구소(2002),. 「경제특구의 성공적 추진방안」, CEO information 364호, 삼성경제연구소
삼성경제연구소(2003), 「저축률 변화추이 분석과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
안상렬·김경자(2001), 「다국적기업의 투자 및 기술 이전을 통한 이전 가격 세제에 관한 연구」, 三陟大論文集 34,1.
재경부(2002.5), 「조세 통계연보」, 재경부.
전국경제인연합회(2003), 「한·중·일 기술경쟁력 비교조사」, 전국경제인연합회.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2002), 「외환위기 이후 한국 금융산업의 변화와 금융노조의 대응방향」, 2002 대안정책 심포지엄 『미국식 자본주의를 되짚어본다. : 분식회계, 한국은 안전지대인가?』 자료집.
하날경영연구소(2002), 「주한외국업체디렉토리」, 하날경영연구소
한국개발연구원(2003), 『한국경제의 성장요인 분석:1963∼2000』, 한국개발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2002. 6.), 「주한 외국기업 연구소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Blomstr m, M. and Kokko, A.(1996), "The impact of Foreign Investment on Host Countries: A Review of the Empirical Evidence", World Bank
Contractor, F.J. and Tagi Sagafi-Nejad(1981), "International Technology Transfer : Major Issues and Policy Response",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Fall(1981), pp 113-135.
Dunning, J.H.(1994), "Multinational enterprise and the globalization of innovatory capacity", Research policy, Vol. 23, No1(1994), pp. 67-88.
ILO(1998), "Labor and Social Issues Relating to Export Processing Zones", www.ilo.org/public/english/employment/multi/download/epz.pdf.
IMD(2002), The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
James(2001), "How much does it cost to develop a new drug", http://www.cptech.org
Kindleberg, C.P.(1969), American Business Abroad,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Mansfield, E. and Romeo, A.(1980), "Technology Transfer to Overseas Subsidiaries by U.S.-Based Firms",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pp.737-750.
OECD(2002), Foreign Direct Investment for Development : Maximizing Benefits, Minimizing Costs, OECD.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외국인 투자기업에 대한 인력 공급 서비스를 전담하는 부서를 둬야 하며 또한 외국인 투자기업에서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인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특히 산업기술의 고도화를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를 통해 이루고자 한다면 외국인 투자기업이 활용 가능한 인적 자원을 질적, 양적으로 확대하여야만 가능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교육 투자를 늘리는 것과 동시에 교육개혁이 이루어져야 한다.
) 현재 외국인 투자기업이 한국의 인력에 대해 어떤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조사된 바는 없다. 이에 대한 정부의 조사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최근 이공계 기피현상 및 배출인력 부족현상과 맞물려 과학기술인력의 부족 문제가 더욱 중요하게 부각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위에서 밝혔듯이 국가가 사회복지 및 교육 투자를 확대하여야 한다. 이는 국민 전체의 인적 자본을 늘릴 뿐만 아니라 사회적 안정성을 높여 사회적 자본의 축적을 가능하게 한다.
3. 결론
외국계 기업이나 사람이 국내로 들어와 사업을 하는 것은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 모두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이를 제어하기 위해 정부는 여러 정책 수단들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단의 하나로 도입된 것이 「경제자유구역법」이다.
그러나 「경제자유구역법」은 외국인 직접 투자의 긍정성을 높이기보다는 그 부정성을 증폭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크게 보아 너무 광범위하고 비체계적인 혜택 정책과 외국인 투자 고립 정책 때문이다.
그러므로 크게 보아 다음과 같은 법제도적 대안이 필요하다. 현재 입법되어 7월부터 시행 예정인 「경제자유구역법」은 폐지되어야 한다. 또한 이와 유사한 「외국인 투자 촉진법」은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기본에 충실한 것이다. UNCTAD(2002)가 지적한대로 외국인 직접투자는 즉각적으로 국내 경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투자유치국의 역량에 따라 그 결과는 상이할 수 있다.
<참고문헌>
과학기술부(2001. 12.), 「민간기술개발촉진 지원시책 개선방안 연구」, 과학기술부.
글리벡문제해결과 의약품의 공공성 확대를 위한 공동대책위(2002.), 「글리벡, 생명을 위한 약인가 이윤을 위한 약인가?」토론회 자료집, 글리벡문제해결과 의약품의 공공성 확대를 위한 공동대책위
박신호(2002.8.1.), 「한국제약산업의 문제점과 글로벌 강화방안」, 제19차 정책개발세미나 자료집, 새시대전략연구소
산업자원부(2002), 「제조업 기술수준 세계최고와 비교 약 80% 수준」, 산업자원부 보도자료.
삼성경제연구소(2002),. 「경제특구의 성공적 추진방안」, CEO information 364호, 삼성경제연구소
삼성경제연구소(2003), 「저축률 변화추이 분석과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
안상렬·김경자(2001), 「다국적기업의 투자 및 기술 이전을 통한 이전 가격 세제에 관한 연구」, 三陟大論文集 34,1.
재경부(2002.5), 「조세 통계연보」, 재경부.
전국경제인연합회(2003), 「한·중·일 기술경쟁력 비교조사」, 전국경제인연합회.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2002), 「외환위기 이후 한국 금융산업의 변화와 금융노조의 대응방향」, 2002 대안정책 심포지엄 『미국식 자본주의를 되짚어본다. : 분식회계, 한국은 안전지대인가?』 자료집.
하날경영연구소(2002), 「주한외국업체디렉토리」, 하날경영연구소
한국개발연구원(2003), 『한국경제의 성장요인 분석:1963∼2000』, 한국개발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2002. 6.), 「주한 외국기업 연구소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Blomstr m, M. and Kokko, A.(1996), "The impact of Foreign Investment on Host Countries: A Review of the Empirical Evidence", World Bank
Contractor, F.J. and Tagi Sagafi-Nejad(1981), "International Technology Transfer : Major Issues and Policy Response",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Fall(1981), pp 113-135.
Dunning, J.H.(1994), "Multinational enterprise and the globalization of innovatory capacity", Research policy, Vol. 23, No1(1994), pp. 67-88.
ILO(1998), "Labor and Social Issues Relating to Export Processing Zones", www.ilo.org/public/english/employment/multi/download/epz.pdf.
IMD(2002), The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
James(2001), "How much does it cost to develop a new drug", http://www.cptech.org
Kindleberg, C.P.(1969), American Business Abroad,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Mansfield, E. and Romeo, A.(1980), "Technology Transfer to Overseas Subsidiaries by U.S.-Based Firms",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pp.737-750.
OECD(2002), Foreign Direct Investment for Development : Maximizing Benefits, Minimizing Costs, OECD.
추천자료
경제적 민주주의를 지향한 두 자유 사회주의
사행산업의 사회,경제적 효과
[독일][독일통일][통일][동독][서독]독일(동독과 서독)의 통일(동독 붕괴와 자유선택, 통일 ...
환경행정의 다매체적 접근방식과 예방적 환경행정의 구현방안
[관광이벤트][이벤트산업]관광이벤트의 현황과 발전방향(사례)(이벤트산업 활성화의 사회경제...
청년실업의 원인, 실업현황과 고용구조, 실업의 양상, 고용체제의 변화와 실업, 실업자를 위...
[전북]전북지역(전라북도)의 도시, 전북지역(전라북도)의 대표음식과 영웅설화, 전북지역(전...
산업혁명 이전의 사회와 경제[서유럽]
한미 FTA
한국 분단의 특수성-분단 배경과 전통문화적 특성 및 의식구조, 분단국의 경제사회 지표상 특...
[사회경제사상사] 존 스튜어트밀(John Stuart Mill)의 진보적 자유주의
시장구조의 결정요인(규모 및 범위의 경제, 정부정책, 산업의 생명주기설, 하도급제도)
[A+] [개방경제의이해] 국제무역론 강의노트 기회비용 비교우위론 비교우위를 결정짓는 요소 ...
대우조선해양 구조조정에 추가지원 찬반 논쟁 [사회과학, 경제, 경영 보고서 레포트 에세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