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매체시대 TV드라마의 윤리성과 질적개선을 위한 과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오래된 논쟁: 방송의 공익성과 표현의 자유, 규제의 장치들
1) 방송사의 자율적 규제
2) 방송위원회의 사후심의
2. 드라마의 예술성
3. 드라마의 윤리성
4. 드라마의 소재
5. 드라마의 변천
6. 드라마의 종류
1) 방송 형태에 따른 분류
2) 드라마 성격에 의한 분류
7. TV 드라마의 과제
1) 내용상의 문제
2) 편성상의 문제
3) 제작상의 문제
8. tv드라마의 질적개선을 위한 제언

Ⅲ. 결 론

본문내용

위해서는 tv 프로그램의 내용과 관련된 심의규정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tv드라마는 장르 특성상 일상적인 삶의 이야기를 다루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실제 있을 법한 자극적인 소재나 표현이 등장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드라마의 소재나 표현 내용에 대한 합리적 판단을 위해서는 현재의 심의규정관련 조항을 보다 구체적이고 적용가능하게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심의규정이 모호하고 추상적일 경우는 심의위원의 성향에 따라 심의결과가 달라지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로, tv 드라마의 문제점을 전체 이야기 맥락속에서 구체적이고 전문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드라마 전문심의원을 양성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tv드라마는 연속적인 스토리로 이루어져 있어서 전체적인 주제와 내용의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파악이 필요한 장르이다. 이러한 장르적 특성으로 인해 장면 장면을 도덕성과 윤리성의 판단기준으로 삼는 것은 무리가 있다. 따라서 현재
채널별, 시간대별로 할당된 프로그램을 모니터하는 운영방식을 장르별 모니터로 바꾸는 것도 고려할 만 하다. 그리고 우수한 드라마를 시상하는 제도를 운영한다면 tv드라마 제작자의 제작의욕을 향상시키고 질적 개선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네번째로는 tv드라마 개선을 위한 공청회와 토론회의 활성화를 생각할 수 있다. 방송위원회 및 방송사 드라마 제작자, 드라마 작가, 문화비평가, 독립 드라마 제작사 관계자 등 각계 전문가들이 참석하는 공청회나 토론회 개최 등을 통해 드라마와 관련된 현안과 문제점을 짚어보고, 여론을 수렴하여 소재와 표현 수위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창출하고 보다 합리적이고 적절한 개선의 방향을 도출하는 것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tv드라마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 방송위원회는 타기관과 유기적 연계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외부 시민단체나 시청자 단체의 활동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특정 단체가 드라마 내용의 문제점에 대한 분석 자료를 발표하고 동시에 방송위원회에 시청자 불만처리사항으로 신청하면 방송위원회 시청자불만처리위원회에서 이를 접수 처리하거나 심의 부서에 이첩하여 심의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드라마 내용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시민단체들은 미디어가 방송 프로그램을 생산하는 시장논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비판하여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개선을 요구하며 적극적으로 활동하지만, 그 결과들이 정책적 실효성을 거둘 수 없기 때문에 공허하게 남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외부 시민단체, 모니터 단체, NGO, 미디어 감시기구들이 프로그램과 관련한 평가와 항의사항을 시청자불만처리 신청하는 절차를 거쳐, 이를 해당 심의위원회에 이첩함으로써 방송 심의 의제로 다루는 것도 적극 고려해 볼 만하다.
Ⅲ. 결 론
TV는 보도, 교양, 오락 등과 같은 여러 부문으로 구성되는 조직이며 하루를 일정한 시간대로 구분한 시간의 틀이다. 드라마도 이런 구성 속의 한 틀이며 다른 부문과 같이 같은 레벨의 흐름 속에서 하나의 표현에 불과하다. 주어진 시간 속에서 절대로 벗어나면 안되면서도 같은 틀을 옆으로 계속 이어나갈 수 있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드라마는 이런 특성상 연극이나 영화와는 다른 독자적 화법을 창출한 표현 형식이므로 쉽게 버릴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특성 때문에 빠지기 쉬운 함정은 일상성에 충실한 나머지 드라마성이 희박하고 제한된 시간으로 인해 테마의 전개가 미흡한 점이다. 그리고 연속성을 유지하려니 심도가 낮아 완성되지 않은 인상을 줄 수밖에 없다. 이런 이유들로 드라마에 대한 인식은 부당하리만치 평가 절하될 수밖에 없는 속성을 내재하고 있다.
또 하나는 드라마의 매너리즘을 들 수 있는데 매너리즘 또한 대중을 상대로 하는 매스 미디어에 있어서는 일방적으로 비판만 할 수 없는, 버릴 수 없는 기본 자세라고 할 수 있다. 대중예술의 역사는 가치를 반복 생산하는 역사이며 특히 독창성이란 되도록 피해가는 성질이 있다고 한다. 대중은 익숙한 것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TV 시청자들은 적당한 수준의 마음 상태에서 예술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이미 익숙해진 내용이나 형식, 표현 방법에 의해서 메시지를 전달받으려고 한다. TV는 여기에 맞추어 프로그램을 만든다. 그래서 TV는 오히려 매너리즘에 철저함으로써 대중 동원력을 갖게 된다.
현재 TV 방영 프로그램 중에서 단일 장르로는 드라마가 수적으로 가장 많다. 차지하는 비율뿐만 아니라 기술이나 형식적인 면, 외적인 세련미로 보면 예전에 비해 장족의 발전을 했다. 그러나 내적인 면을 들여다보면 오히려 퇴보하는 느낌이다. 지나친 시청율 경쟁으로 인해 말초적인 재미 또는 전반적인 코믹화에 빠져 정작 드라마가 줄 수 있는 다양한 즐거움은 채워주지 못하고 있다.
드라마는 단순히 재미를 통하여 어떤 사실을 단편화시킬 수만은 없다. 거기에는 사실의 왜곡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드라마는 사회의 경향 즉 시대의 사조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표현은 코믹하더라도 내용은 진지해야 한다. 앞으로 다매체 다채널로 인해 드라마의 전문화도 가능하리라고 본다. 케이블 방송의 '드라마 넷' 같은 채널은 드라마만을 전문적으로 방영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공중파 방송에서는 드라마보다는 사회적 다큐멘터리 등 사실적인 프로그램을 계발할 필요가 있다. 드라마를 만든다고 하더라도 좀 더 역사성의 인식과 한국 문화의 민족성 탐구 또는 영상적 실험 드라마 등 작품성을 겸비한 드라마의 제작에 힘써야 한다.
참고자료
강상현(2002).『대중 매체의 이해와 활용』(서울: 한나래)
강준만(1999).『대중문화의 겉과 속』(서울: 인물과 사상)
김경숙(1989). 청소년 방송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TV 드라마를 중심으로. 학위논문(박사)
정대철(1988). TV 채널의 특성화와 개성화.『방송연구』, p.68
이동근(1998). TV 시청자의 메시지 처리과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TV드라마와 뉴스를 중심으로.『한국방송학보』, 42-3호, p.137-170
MBC TV http://www.imbc.com
SBS TV http://www.sbs.co.kr
KBS TV http://www.kbs.co.kr
  • 가격2,6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2.09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33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