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설
Ⅱ. 쟁의행위와 근로계약
Ⅲ. 쟁의행위와 임금
Ⅳ. 쟁의행위와 근로관계
Ⅴ. 쟁의행위 종료 후의 근로관계
Ⅱ. 쟁의행위와 근로계약
Ⅲ. 쟁의행위와 임금
Ⅳ. 쟁의행위와 근로관계
Ⅴ. 쟁의행위 종료 후의 근로관계
본문내용
. 다만 평균임금산정 기준이 되는 기간과 임금 총액에서 공제한다.
3. 산업재해 인정여부
쟁의행위 중 발생한 재해에 대한 업무상 재해 인정 여부에 대하여 판례는 사용자와 대립관계로 되는 쟁의 단계에 들어간 이후의 노조활동 중에 생긴 재해 등은 이를 업무상 재해로 볼 수 없다고 한다.
Ⅴ. 쟁의행위 종료 후의 근로관계
1. 권리의무
쟁의행위 기간 중에는 근로관계가 소멸하는 것이 아니라 근로관계 내용의 주된 권리. 의무가 일시 정지하는 것이므로 재고용의 문제없이 근로관계는 당연히 회복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새로운 단체협약의 내용에 따라 근로조건을 부여하여야 하며 새로운 권리, 의무를 이행하여야 한다.
2. 불이익취급의 금지
뿐만 아니라 쟁의행위 종료 후 사용자는 정당한 단체 행동에 참가한 것을 이유로 해고 기타 불이익한 취급을 하지 못한다. 다만 불법파업을 하거나 선동한 근로자에 대해서는 불이익을 주더라도 반드시 부당한 것은 아닐 것이다.
3. 파업참가자를 즉시 재취업시키지 못할 경우
즉각 조업을 재개할 수 없는 특별한 사정이 있다면 이는 법률적으로 휴업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아야 하며, 근기법 제45조 1항의 사용자의 귀책사유의 존부의 문제로 귀결된다.
3. 산업재해 인정여부
쟁의행위 중 발생한 재해에 대한 업무상 재해 인정 여부에 대하여 판례는 사용자와 대립관계로 되는 쟁의 단계에 들어간 이후의 노조활동 중에 생긴 재해 등은 이를 업무상 재해로 볼 수 없다고 한다.
Ⅴ. 쟁의행위 종료 후의 근로관계
1. 권리의무
쟁의행위 기간 중에는 근로관계가 소멸하는 것이 아니라 근로관계 내용의 주된 권리. 의무가 일시 정지하는 것이므로 재고용의 문제없이 근로관계는 당연히 회복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새로운 단체협약의 내용에 따라 근로조건을 부여하여야 하며 새로운 권리, 의무를 이행하여야 한다.
2. 불이익취급의 금지
뿐만 아니라 쟁의행위 종료 후 사용자는 정당한 단체 행동에 참가한 것을 이유로 해고 기타 불이익한 취급을 하지 못한다. 다만 불법파업을 하거나 선동한 근로자에 대해서는 불이익을 주더라도 반드시 부당한 것은 아닐 것이다.
3. 파업참가자를 즉시 재취업시키지 못할 경우
즉각 조업을 재개할 수 없는 특별한 사정이 있다면 이는 법률적으로 휴업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아야 하며, 근기법 제45조 1항의 사용자의 귀책사유의 존부의 문제로 귀결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부당노동행위
[판례][판례 모음][판례 조사]다양한 판례 모음(부당해고와 부당노동행위 관련 판례, 고용보...
[판례][재판][부당해고][고용보험]판례 조사(부당해고와 부당노동행위에 관한 판례, 고용보험...
[판례][특허재판][고용보험][부당해고][부당노동행위][영업양도][근로승계][PL법]판례 모음(...
[근로기준법]비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수습근로자와 본 계약체결을 거부한 행위에 대하여
★★★(A+) 노동쟁의(노동쟁의 의미와 조정과 중재 그리고 노동쟁의의 절차흐름도)
근로를 할 수 없는 연령 기재 및 노동 관련금지 행위 규정기재 여부.
[2014생활법률] 사례1, 2에서 등장인물의 법률행위 문제답-이혼요건, 이혼절차, 재산상권리의...
1. 다음 사례1에서 등장인물의 법률행위에 관한 문제의 답-이혼의 요건과 절차, 이혼요건, 이...
[관광 종사원][관광][종사자][종업원]관광 종사원(종사자, 종업원)의 거래행위, 관광 종사원(...
[2014생활법률공통]1.다음 사례 1에서 등장인물의 법률행위에 관한 문제의 답(이혼, 상속 관...
사례1, 2에서 등장인물의 법률행위에 관한 문제답-이혼부부 재산상권리의무, 법정상속인으로...
노동쟁의의 중재활동이 필요한 이유와 관련 사례를 조사하여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