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사안의 개요
3. 법률상의 쟁점
4. 관련 법 규정
5. 결 론
6. 유사 판례
2. 사안의 개요
3. 법률상의 쟁점
4. 관련 법 규정
5. 결 론
6. 유사 판례
본문내용
판결
피고가 해고사유로 주장하는 무선교신 수신위반, 동료와의 불화로 인한 직장 근무분위기 저해, 경력과 가족관계의 은폐의 점을 들어 원고가 운전업무를 담당하는 데 부적합하여 수습채용을 취소할 만한 객관적인 사정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수습기간 만료 전 원고에 대한 수습채용을 취소한 것은 정당한 이유가 없으므로 해고는 무효라는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다.
(2) 서울고등법원 2000. 11. 23. 선고 2000누1609 판결
원고에 대한 해고는 징계권을 남용한 것으로 부당해고에 해당한다고 본 이상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근로자가 노동조합을 조직하려 했다는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한 것은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81조 제1호 소정의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고 볼 것이다.
피고가 해고사유로 주장하는 무선교신 수신위반, 동료와의 불화로 인한 직장 근무분위기 저해, 경력과 가족관계의 은폐의 점을 들어 원고가 운전업무를 담당하는 데 부적합하여 수습채용을 취소할 만한 객관적인 사정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수습기간 만료 전 원고에 대한 수습채용을 취소한 것은 정당한 이유가 없으므로 해고는 무효라는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다.
(2) 서울고등법원 2000. 11. 23. 선고 2000누1609 판결
원고에 대한 해고는 징계권을 남용한 것으로 부당해고에 해당한다고 본 이상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근로자가 노동조합을 조직하려 했다는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한 것은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81조 제1호 소정의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고 볼 것이다.
추천자료
[노사관계, 노동법]근로기준법 요약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의 계산
근로계약의 의의.법적성질.기능 및 특색과 체결과정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도급근로자의 임금채권 보호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근로시간의 신축적 운용 전반에 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근로기준법상 여자와 연소근로자의 보호
연장근로에 관한 근로기준법 전반 검토
기간제 근로자에 대한 근로기준법의 적용법
근로기준법상 질병으로 인한 근로계약해지의 정당성 검토
근로기준법상 경업피지의무
근로기준법상 채용내정 쟁점 검토
근로기준법 20조, (위약예정의 금지 검토)
간주근로시간제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특별사업에 대한 근로시간특례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