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채용내정자의 법적지위 (법적성질)
Ⅲ. 채용내정과 근로관계
Ⅳ. 채용내정의 취소
Ⅱ. 채용내정자의 법적지위 (법적성질)
Ⅲ. 채용내정과 근로관계
Ⅳ. 채용내정의 취소
본문내용
없었음을 사용자측에서 입증해야 할 것이다.
4. 정당한 해지권 행사가 아닌 경우
1) 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
해지권 유보되어 있어도 그 취소는 법률상 해고에 해당하게 되므로 이를 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할 수 있다.
2) 손해배상청구
불법행위 성립이 이루어진다. 즉 근로자가 직원으로 채용되길 기대하고 다른 취직기회 포기로 인한 손해 배상책임을 물을 수 있다.
5. 채용내정취소와 임금지급
취업 예정일 지나서 취소된 경우, 취업할 수 있었던 날에 대해 임금지급을 요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판례는 내정자가 종업원 지위 취득 후에는 회사에 대해 임금청구권 당연히 발생하므로 내정자가 채용발령연기에 대해 사전에 동의하고, 이에 대해 부제소 합의 했더라도 임금채권까지 포기한 것으로 판단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4. 정당한 해지권 행사가 아닌 경우
1) 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
해지권 유보되어 있어도 그 취소는 법률상 해고에 해당하게 되므로 이를 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할 수 있다.
2) 손해배상청구
불법행위 성립이 이루어진다. 즉 근로자가 직원으로 채용되길 기대하고 다른 취직기회 포기로 인한 손해 배상책임을 물을 수 있다.
5. 채용내정취소와 임금지급
취업 예정일 지나서 취소된 경우, 취업할 수 있었던 날에 대해 임금지급을 요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판례는 내정자가 종업원 지위 취득 후에는 회사에 대해 임금청구권 당연히 발생하므로 내정자가 채용발령연기에 대해 사전에 동의하고, 이에 대해 부제소 합의 했더라도 임금채권까지 포기한 것으로 판단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간접고용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근로자파견법 노동3권)
근로계약 체결시 근로자 보호
연소근로자의 근로에 대한 법적인 문제
남녀고용평등법상의 모집 채용 차별에 관한 고찰
남녀고용평등법상의 모집·채용 차별
기업합병과 근로관계에 대한 노동법상 쟁점
논술 시험 대비 총정리 - 근로기준법 총칙
노동관계법상 균등처우
정리해고와 근로자대표와 사전협의 의무
근기법상 근로관계 종료에 관한 쟁점
특수고용노동자(특수형태근로종사자) 개념과 유형, 특수고용노동자(특수형태근로종사자)와 산...
근로기준법의 내용분석과 대상별 근로기준정책 설명 (근로기준법 기본내용, 대상별 근로기준...
근로보호법 기말시험대비 핵심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