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목차
Ⅰ. 근로기준법 기본내용
Ⅱ. 대상별 근로기준정책
1. 여 성
2. 장 애 인
3. 고 령 자
4. 연 소 자
Ⅲ. 토 론
Ⅳ. 참고문헌
Ⅱ. 대상별 근로기준정책
1. 여 성
2. 장 애 인
3. 고 령 자
4. 연 소 자
Ⅲ. 토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근로기준정책
Ⅰ. 근로기준법 기본내용
1. 적용대상
()
[사 업 장]
[상시 5인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에 적용]
[근 로 자]
[사업 or 사업장에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를 제공하는자]
[사 용 자]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자 Ex) 공장장, 지점장등]
2. 근로계약
(근로자)(사용자)
종류 – 채용내정, 사용기간, 포괄산정임금계약
근로계약기간에 따라 분류 하기도 함
사용자의 의무 – 근로계약시 근로조건명시, 위약금 예정금지, 전차금 등 상쇄금지, 강제저축금지
3. 근로시간
★법정기준근로시간
주 단위 및 1일 단위로 정하여져 있는 최저 근로조건의 기준근로시간
1주간의 근로시간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으며, 1일의 근로시간은 8시간을 초과 할 수 없음 (휴게시간제외)
- 연장근로, 야간/휴일근로, 탄력적 근로시간제, 선택적 근로시간제, 간주근로시간, 공익사업의 근로시간 특례가 있음
≪ … 중 략 … ≫
Ⅱ. 대상별 근로기준정책
(1) 여성 - 모성보호제도
1. 생리휴가
사용자는 여성인 근로자가 청구하는 때에는 월1일의 생리휴가를 주여야 함(근로기준법§71조)
*부여대상 : 사실상 생리를 하고 있는 여성
*생리휴가의 사용 : 월 중 생리현상이 있는 1일
* 생리수당의 지급문제
:2004년7월1일 근로기준법 개정전의 월1일의
유급생리휴가를 월1일의 생리휴가로 개정됨에 따라
생리수당의 지급문제는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음
*벌칙 : 위반 시 500만원 이하의 벌금
Ⅰ. 근로기준법 기본내용
1. 적용대상
()
[사 업 장]
[상시 5인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에 적용]
[근 로 자]
[사업 or 사업장에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를 제공하는자]
[사 용 자]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자 Ex) 공장장, 지점장등]
2. 근로계약
(근로자)(사용자)
종류 – 채용내정, 사용기간, 포괄산정임금계약
근로계약기간에 따라 분류 하기도 함
사용자의 의무 – 근로계약시 근로조건명시, 위약금 예정금지, 전차금 등 상쇄금지, 강제저축금지
3. 근로시간
★법정기준근로시간
주 단위 및 1일 단위로 정하여져 있는 최저 근로조건의 기준근로시간
1주간의 근로시간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으며, 1일의 근로시간은 8시간을 초과 할 수 없음 (휴게시간제외)
- 연장근로, 야간/휴일근로, 탄력적 근로시간제, 선택적 근로시간제, 간주근로시간, 공익사업의 근로시간 특례가 있음
≪ … 중 략 … ≫
Ⅱ. 대상별 근로기준정책
(1) 여성 - 모성보호제도
1. 생리휴가
사용자는 여성인 근로자가 청구하는 때에는 월1일의 생리휴가를 주여야 함(근로기준법§71조)
*부여대상 : 사실상 생리를 하고 있는 여성
*생리휴가의 사용 : 월 중 생리현상이 있는 1일
* 생리수당의 지급문제
:2004년7월1일 근로기준법 개정전의 월1일의
유급생리휴가를 월1일의 생리휴가로 개정됨에 따라
생리수당의 지급문제는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음
*벌칙 : 위반 시 500만원 이하의 벌금
키워드
추천자료
[노사관계, 노동법]근로기준법 요약
근로기준법상 임금지급방법의 보호 (임금지급의 원칙)
근로기준법의 적용범위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의 계산
근로계약의 의의.법적성질.기능 및 특색과 체결과정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도급근로자의 임금채권 보호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근로시간의 신축적 운용 전반에 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근로기준법상 여자와 연소근로자의 보호
연장근로에 관한 근로기준법 전반 검토
기간제 근로자에 대한 근로기준법의 적용법
근로기준법상 질병으로 인한 근로계약해지의 정당성 검토
간주근로시간제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특별사업에 대한 근로시간특례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법률해석][법률][해석]법률해석의 기준, 법률해석과 산업안전보건법 및 근로기준법 해석, 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