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matoes are good for the liver.
(4) 악기춤의 명칭
He can play the violin.
(5)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앞에 사용된다.
He is paid by the week.
He buys ties by the dozen.
b) 집합명사와 더불어 통칭적 의미를 나타낸다.
The aristocracy are proud.
The people are against war.
c) 형용사, 고유형용사와 더불어 통칭적 의미를 나타낸다.
None but the brave deserves the fair.
The Japanese are called economics animals
d) 복수 보통명사와 복수형의 국민명가문명과 더불어 통칭적 의미를 나타낸다.
The Koreans are diligent people.
3) 전형 정관사
‘대표적인’, ‘특히 뛰어난’ 등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주로 술부에 쓰인다. 이 경우 정관사의 발음은 강세형이며, italic으로 인쇄되는 것이 보통이다.
He is quite the gentleman.
He is the pianist of the day.
4) 유일 정관사
유일한 것으로 생각되는 사물을 나타내는 명사와 함께 쓰이는 것으로 이 유일한 사물은 그 자체가 이미 충분한 한정적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유명사에 가깝고, 또 고유명사로 취급되기도 한다.
My house looks toward the south.
the Bible The earth The horizon
5) 기타 정관사의 용법
a) 단수보통명사와 더불어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낸다.
My house looks towards the south.
I felt the patriot rise in my breast.
b) 형용사와 더불어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낸다.
One must bow to the inevitable.
The beautiful is higher than the good.
c) 단수명사와 더불어 직업을 나타낸다.
He was called to the bar.
She went on the stage.
d) 추상명사가 수식어와 함께 어떤 특정한 성질이나 행위를 나타낼 때는 정관사를 쓴다.
He has the wisdom of Solomon.
I had the imprudence to trust such a fellow.
e) 병명 또는 이에 준하는 심신의 상태를 나타내는 명칭, 특히 복수형의 병명과 같이 쓰인다.
She died of the scarlet fever.
He is awfully in the blues.
f) 자연형상, 계절을 나타내는 명사도 의미가 한정될 경우에는 정관사를 쓰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She left him in the cold.
I am glad spring is coming.
g) 직접 동작의 대상이 되는 신체의 각부의 명칭에 쓰인다.
He looked her full in the face.
He kicked me in the stomach.
h) 서수 앞에 쓰인다.
the first of Mary the Second World War The first two days
I) 비교급, 최상급의 형용사나 부사 앞에서 쓴다. 그러나 최상급과 비슷한 뜻을 가진 형용사 앞에도 쓰인다.
He is the taller of the two.
Rice was once the principal products of Korea.
j) 양자 택일, 동일유일, 전체 및 구별의 뜻을 가진 형용사 앞에 쓰인다.
She was the only/sole heir.
the right man in the right place
(4) 악기춤의 명칭
He can play the violin.
(5)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앞에 사용된다.
He is paid by the week.
He buys ties by the dozen.
b) 집합명사와 더불어 통칭적 의미를 나타낸다.
The aristocracy are proud.
The people are against war.
c) 형용사, 고유형용사와 더불어 통칭적 의미를 나타낸다.
None but the brave deserves the fair.
The Japanese are called economics animals
d) 복수 보통명사와 복수형의 국민명가문명과 더불어 통칭적 의미를 나타낸다.
The Koreans are diligent people.
3) 전형 정관사
‘대표적인’, ‘특히 뛰어난’ 등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주로 술부에 쓰인다. 이 경우 정관사의 발음은 강세형이며, italic으로 인쇄되는 것이 보통이다.
He is quite the gentleman.
He is the pianist of the day.
4) 유일 정관사
유일한 것으로 생각되는 사물을 나타내는 명사와 함께 쓰이는 것으로 이 유일한 사물은 그 자체가 이미 충분한 한정적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유명사에 가깝고, 또 고유명사로 취급되기도 한다.
My house looks toward the south.
the Bible The earth The horizon
5) 기타 정관사의 용법
a) 단수보통명사와 더불어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낸다.
My house looks towards the south.
I felt the patriot rise in my breast.
b) 형용사와 더불어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낸다.
One must bow to the inevitable.
The beautiful is higher than the good.
c) 단수명사와 더불어 직업을 나타낸다.
He was called to the bar.
She went on the stage.
d) 추상명사가 수식어와 함께 어떤 특정한 성질이나 행위를 나타낼 때는 정관사를 쓴다.
He has the wisdom of Solomon.
I had the imprudence to trust such a fellow.
e) 병명 또는 이에 준하는 심신의 상태를 나타내는 명칭, 특히 복수형의 병명과 같이 쓰인다.
She died of the scarlet fever.
He is awfully in the blues.
f) 자연형상, 계절을 나타내는 명사도 의미가 한정될 경우에는 정관사를 쓰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She left him in the cold.
I am glad spring is coming.
g) 직접 동작의 대상이 되는 신체의 각부의 명칭에 쓰인다.
He looked her full in the face.
He kicked me in the stomach.
h) 서수 앞에 쓰인다.
the first of Mary the Second World War The first two days
I) 비교급, 최상급의 형용사나 부사 앞에서 쓴다. 그러나 최상급과 비슷한 뜻을 가진 형용사 앞에도 쓰인다.
He is the taller of the two.
Rice was once the principal products of Korea.
j) 양자 택일, 동일유일, 전체 및 구별의 뜻을 가진 형용사 앞에 쓰인다.
She was the only/sole heir.
the right man in the right place
추천자료
국어지식 교육과 학교문법의 역사 및 현황, 문제점
학교문법:9품사/ 최현배, 허웅:10품사/ 정렬모:5품사를
학교문법의 방향 및 교육방법 제시
학교문법론(이관규) 연습문제 정답-제4장 음운론
사잇소리 현상 -학교문법과 이론문법을 중심으로-
[교과서][교과서정책]교과서의 개념, 교과서의 기능, 교과서의 조건, 교과서의 정책적 문제점...
문법(국어문법)의 성격과 문법화, 문법(국어문법)과 학교문법, 표준문법, 유길준 문법연구, ...
[영어문법][영어][명사][관계대명사][동사][형용사][관사][부정사][접속사]영어 문법 명사, ...
[일본어 문법][일본어][형용사][형용동사][조사][조동사][형식명사][감동사]일본어 문법 형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