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때는 주의 깊게 잘 듣는다. 유아의 작업을 존중해야하며 강요해서도 안된다. 유아가 범한 오류를 직접적으로 정정해서는 안된다.
피아제의 저서에서 지적 발달의 이론을 아동을 위한 교육과정으로 변환시키려는 제안을 한 곳은 어디에도 없다. 피아제의 이론은 발달이론이지 아동을 가르치는 체계가 아닌 것이다.
피아제에 의하면 진정한 교육이 일어나는 것은 어린이의 학습에 대한 타고난 호기심과 욕망이 자극되는 이런 종류의 상황에서만 가능하며, 지능의 본질적 기능은 이해와 발명 속에 존재한다고 했다. 다시 말해 실재를 구조화함으로써 구조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라는 것이다. 도 교사는 어린이의 정서적 , 지적 발달에 대해 완전한 지식을 갖고, 좀더 창의적이고, 좀 더 경험을 쌓고, 좀더 훈련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교육의 주된 목표는 다른 세대가 행했던 것을 단순히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해 낼 수 있는 사람―창의적이고 발명적인 인간과 발견자―을 창조해 내는 것이다. 교육의 둘째 목표는 그들에게 제공된 모든 것을 그대로 용납하지 않고, 비판적이 되고 확증할 수 있는 정신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오늘날 가장 큰 위험은 표어 적이고, 집단의 의견이며, 사고의 기성화 경향이다. 우리는 그런 것들에 개별적으로 저항하여 입증되고, 입증되지 못한 것의 차이를 구별하고 비판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우리의 일부는 학생자신의 자발적 활동에 의해, 또 다른 일부는 우리가 마련해 놓은 자료를 통해 능동적으로 움직여서 스스로 발견해 내는 것을 일찍부터 그들에게 가르쳐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교육에 대해 말을 했다.
피아제의 이론에 기초를 두고 교육과정을 개발한 사람들이 있다.
Kamii 와 DeVries의 교육과정은 대상과 사람간의 상호작용과 활동에 의해 세계에 대한 아동의 모형이 구성된다는 피아제의 신념에 대한 해석에 기초를 두고 있다. 그들은 아동들에게 독력으로 활동하기와 자기창출적인 활동에 참여하기를 강조하였고, Furth 와 Wachs는 사고를 위한 학교를 개념화 하기 위해 피아제의 이론을 사용했다.
이처럼 몬테소리는 직접 유아의 교육에 관여를 했고 피아제는 이론만을 연구해 교육과정을 만든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3. 결 론
몬테소리와 피아제는 남부럽지 않은 가정에서 총명함을 뽐내며 자랐다. 자유스러운 분위기는 아니 였지만 자신이 원하는 하는 일을 할 수 있었으며 부모에게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소위 말하는 가정교육이 잘된 사람들인 것이다. 어려서 부터 어려운 사람을 돕기를 즐기던 몬테소리는 불우한 어린이들을 교육시키는 것으로 그녀의 교육인생을 시작하였고 어려서 부터 관찰을 즐기던 피아제는 어린이 관찰을 통해 교육사상을 펼쳤다.
두 사람 모두 어린이만의 고유함을 존중하였다. 그리고 무엇인가를 배우는데는 중요한 결정적 시기가 있음을 알아내었다. 그러나 피아제가 보다 자세하게 발달단계를 밝혀내었다.
이처럼 피아제는 발단단계를 자세히 연구하였고 몬테소리는 유아의 실제적인 교육에 힘썼다.
생전에 두 사람이 만났었다는 기록을 본적은 없다. 만약 두 사람이 만나서 이론과 실제의 결합을 꾀했다면 보다 완벽한 유아교육 사상이 나오지 않았을까 한다. 국적도 나이도 성별도 다른 두 사람이었지만 유아의 고유한 성향을 알고 적절한 시기에 교육을 해야 함을 주장하며 흥미를 중요시 한 것을 보면 정말로 유아에게 이와 같은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 참 고 문 헌 ◈
1. George S. Morrison (1994) 현대유아교육론. 학문사
2. 신화식외 공저(1992) 몬테소리교육모형. 양서원
3. Mary Ann Pulaski (1982) 피아제의 이해.창지사
피아제의 저서에서 지적 발달의 이론을 아동을 위한 교육과정으로 변환시키려는 제안을 한 곳은 어디에도 없다. 피아제의 이론은 발달이론이지 아동을 가르치는 체계가 아닌 것이다.
피아제에 의하면 진정한 교육이 일어나는 것은 어린이의 학습에 대한 타고난 호기심과 욕망이 자극되는 이런 종류의 상황에서만 가능하며, 지능의 본질적 기능은 이해와 발명 속에 존재한다고 했다. 다시 말해 실재를 구조화함으로써 구조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라는 것이다. 도 교사는 어린이의 정서적 , 지적 발달에 대해 완전한 지식을 갖고, 좀더 창의적이고, 좀 더 경험을 쌓고, 좀더 훈련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교육의 주된 목표는 다른 세대가 행했던 것을 단순히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해 낼 수 있는 사람―창의적이고 발명적인 인간과 발견자―을 창조해 내는 것이다. 교육의 둘째 목표는 그들에게 제공된 모든 것을 그대로 용납하지 않고, 비판적이 되고 확증할 수 있는 정신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오늘날 가장 큰 위험은 표어 적이고, 집단의 의견이며, 사고의 기성화 경향이다. 우리는 그런 것들에 개별적으로 저항하여 입증되고, 입증되지 못한 것의 차이를 구별하고 비판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우리의 일부는 학생자신의 자발적 활동에 의해, 또 다른 일부는 우리가 마련해 놓은 자료를 통해 능동적으로 움직여서 스스로 발견해 내는 것을 일찍부터 그들에게 가르쳐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교육에 대해 말을 했다.
피아제의 이론에 기초를 두고 교육과정을 개발한 사람들이 있다.
Kamii 와 DeVries의 교육과정은 대상과 사람간의 상호작용과 활동에 의해 세계에 대한 아동의 모형이 구성된다는 피아제의 신념에 대한 해석에 기초를 두고 있다. 그들은 아동들에게 독력으로 활동하기와 자기창출적인 활동에 참여하기를 강조하였고, Furth 와 Wachs는 사고를 위한 학교를 개념화 하기 위해 피아제의 이론을 사용했다.
이처럼 몬테소리는 직접 유아의 교육에 관여를 했고 피아제는 이론만을 연구해 교육과정을 만든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3. 결 론
몬테소리와 피아제는 남부럽지 않은 가정에서 총명함을 뽐내며 자랐다. 자유스러운 분위기는 아니 였지만 자신이 원하는 하는 일을 할 수 있었으며 부모에게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소위 말하는 가정교육이 잘된 사람들인 것이다. 어려서 부터 어려운 사람을 돕기를 즐기던 몬테소리는 불우한 어린이들을 교육시키는 것으로 그녀의 교육인생을 시작하였고 어려서 부터 관찰을 즐기던 피아제는 어린이 관찰을 통해 교육사상을 펼쳤다.
두 사람 모두 어린이만의 고유함을 존중하였다. 그리고 무엇인가를 배우는데는 중요한 결정적 시기가 있음을 알아내었다. 그러나 피아제가 보다 자세하게 발달단계를 밝혀내었다.
이처럼 피아제는 발단단계를 자세히 연구하였고 몬테소리는 유아의 실제적인 교육에 힘썼다.
생전에 두 사람이 만났었다는 기록을 본적은 없다. 만약 두 사람이 만나서 이론과 실제의 결합을 꾀했다면 보다 완벽한 유아교육 사상이 나오지 않았을까 한다. 국적도 나이도 성별도 다른 두 사람이었지만 유아의 고유한 성향을 알고 적절한 시기에 교육을 해야 함을 주장하며 흥미를 중요시 한 것을 보면 정말로 유아에게 이와 같은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 참 고 문 헌 ◈
1. George S. Morrison (1994) 현대유아교육론. 학문사
2. 신화식외 공저(1992) 몬테소리교육모형. 양서원
3. Mary Ann Pulaski (1982) 피아제의 이해.창지사
추천자료
선거와의회정치론중간정리본
청소년복지론(청소년의 상업적 성착취문제)1
1ITD1017_2010-2_무역결제론
[국제물류론2] 물류기업은 FTA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행정조직론 2학년 공통] 과학적 관리론, 행정관리론, M. Weber의 관료제론을 설명하고, ...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면접론2- 면접과 의사소통
간호이론2017A/ 매슬로의 욕구위계론과 관련해 작성. 주변의 만성질환자 1인을 선정하여 인구...
<간호이론2017A> 매슬로의 욕구위계론과 관련해 작성. 주변의 만성질환자 1인을 선정하여 인...
[2018 유아교육론B] 발달이론 중 2가지를 선정하여 이론에 대해 설명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