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말하면 혹자들은 내게 이렇게 묻는다. 한치 앞도 모르는게 그걸 니가 어떻게 알아? 누구나 결혼은 할 수 있는 것 아냐? 그것은 그 질문 자체로 내게 너무나 큰 폭력과 억압이 된다. 나에게 이성애 결혼이라는 것은, 나와는 아주 먼, 정말 동떨어진 먼 세계의 이야기 같으며, 내 인생에 전혀 중요한 이슈거리가 되지 못한다. 나에게 결혼을 하느냐 마느냐 하는 문제는, 내가 아주 오랜 훗날에 뜬금없이 그림을 배울 것인가 안 배울 것인가 하는 문제와 같이 아주 사소하고 의미 없는 문제란 것이다. 물론, 나도 가족을 꾸릴 계획은 있다. 하지만, 그 가족의 계획은 결혼이라는 제도 밖에 있으며, 따라서, 내 인생에서 결혼이 거론 될 필요는 없고, 나는 그걸 원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위와 같은 질문들을 끊임없이 들어야하는 것은, 결혼이라는 것이 암묵적으로 사회의 ‘강요된 선택’의 하나라는 것을 입증해준다. 또한, 그만큼 결혼을 선택하느냐 마느냐하는 권리가 개인에게 주어져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결혼의 선택의 권리와 비용은 결혼하는 1:1 개인에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결혼제도에 속한, 혹은 그 외부에 위치하는 사회적 개인에게 중요한 것이 되는 것이다.
추천자료
헌법의 알 권리에 관하여
품위 있게 죽을 권리,, 안락사에 찬성한다.
[아동][아동 권리][아동 신체적 발달][아동 지적발달][아동 인지발달][아동 발달과업]아동의 ...
장애인과 장애인권리, 장애인소득보장제도(장애인소득보장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미국과 일...
디지털콘텐츠 제작자의 법적인 권리보호에 대한 연구
알 권리에 대한 헌법적 고찰A+
여성인권보장을 위한 국제법상의 권리
청소년 권리 제한 논리의 부당성에 대한 연구
[미국교육][학교제도][학부모권리][미국교육의 학부모역할]미국교육의 특징, 미국교육의 체제...
장애인의 권리를 생존권측면에서
학교사회복지에서 학생권리증진을 위한 실천방안
아동 복지 실천현장에서 강조되는 아동권리, 아동인권보호에 대한 자신의 견해와 아동권리보...
[정신보건법, 정신보건법 제정, 정신보건법 전달체계, 정신보건법 권리, 정신보건법과 인권,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