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린성 작용약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개요

(2) 콜린성 뉴론
A. 콜린성 뉴론의 신경전달

(3) 콜린 수용체
A. 무스카린 수용체

(4) 직접 작용하는 콜린성 작용약
A. 아세틸콜린- 부교감신경의 역할
B. 베타네콜
C. 카바콜
D. 필로칼핀

(5) 가역적 항콜린에스테라아제
A. 피죠스티그민
B. 네오스티그민
C. 피리도스티그민 및 암베노미움
D. 에드로포늄
E. 타크린, 도네제질, 리바스티그민 및 갈란타민

(6) 비가역적 항콜린에스테라아제
A. 이소플루로페이트

본문내용

축동, 조절경련, 안압하강을 일으킴
녹내장치료에 사용하지만 필로칼핀이 보다 효과적!
- 피죠스티그민은 또한 항콜린작용이 있는 약물과 삼환성 항우울제의 과량투여를 치 료하는데 사용
3. 부작용
- 피죠스티그민의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은 높은 용량을 투여했을 때 경련을 일으킬 수 있다.
- 서맥도 발생 가능
- 신경근 접합부에서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아제의 억제는 아세틸콜린의 축적을 야기시켜, 궁극적으로 골격근의 마비를 초래함
B. 네오스티그민
네오스티그민: 피죠스티그민처럼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아제를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합성 화합물
- 피죠스티그민과는 달리 네오스티그민은 보다 극성을 띄기에, 중추신경계로 들어갈 수 없다.
- 골격근에 대한 효과는 네오스티그민보다 훨씬 크며, 마비시키기 전에 수축력을 촉진 시킬 수 있다.
- 작용지속시간: 30분~2시간
- 이 약물은 방광 및 위장관을 자극하는데 사용
기타 상경적 신경근 차단제의 해독제로 사용됨
- 또한 네오스티그민은 신경근 접합부의 아세틸콜린이 결합하는 니코틴 수용체에 대한 항체에 의해서 일어나는 자가면역질환인 근무력증의 대증요법에 이용
- 이것이 이들의 분해를 일으키며, 신경전달물질과 상호작용에 이용할 수 있는 수용 체를 적게 만듦
- 네오스티그민의 부작용: 전신적인 콜린 흥분작용, 타액분비, 안면홍조, 혈압감소, 오 심, 복통, 설사, 기관지경련 등
C. 피리도스티그민 및 암베노미움
- 다른 콜린에스테라아제의 억제제이다.
- 약물지속시간: 각각 3~4시간, 4~8시간
약물지속시간은 네오스티그민보다 길지만 부작용은 비슷하다
D. 에드로포늄
- 네오스티그민의 작용보다 빠르게 흡수되고, 작용지속시간(10~20분)이 짧다는 것을 제외 하고는 비슷
- 4급 아민
- 근무력증의 진단에 사용됨
- 에드로포늄의 정맥내 주입: 근육강도의 신속한 증가를 일으킴
- 과량의 약물은 콜린위기를 일으키기 때문에 주의를 해야 함
E. 타크린, 도네제질, 리바스티그민 및 갈란타민
- 알츠하이머 환자는 중추신경계에서 콜린성뉴론이 결핍되어 있다.
이 와 같은 결과가 인지기능 소실에 대한 치료제로서 항콜린에스테라아제의 개발을 유도
- 타크린: 이용가능한 첫 번째 약물이었으나 간독성 때문에 다른 약물로 대체
- 이 질환의 진행을 지연시키기 위한 도네제질, 리바스티그민 및 갈란타민의 능력에도 불구하고 어떤 약물도 이 질환의 진행을 멈추게 할 수 없다.
- 이들 약물의 일차적인 유해작용: 위장관 불쾌감
(6) 비가역적 항콜린에스테라아제
- 많은 합성유기인 화합물들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와 공유결합하는 능력을 지님
그 결과, 아세틸콜린이 유리되는 모든 부위에서 아세틸콜린의 지속적인 증가를 나타냄
- 이 약의 대부분: 독성이 강하며, 신경제제로서 군사목적으로 개발되었다.
A. 이소플루로페이트
1. 작용기전: 유기인산염
-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의 활성부위에서 세린-OH와 공유결합을 한다.
일단, 결합반응이 일어나면, 그 효소는 영구적으로 비활성화되며,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의 활성의 회복은 새로운 효소 분자의 합성을 요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2.17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52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