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KTF 소개
2. 이동통신 서비스 시장의 현황 및 분석
3. 이동통신서비스 고객 분석
4. 경쟁사 분석
5. KTF의 SWOT분석
6. STP 분석
7. KTF의 마케팅 믹스 전략
8. 결 론
9. 참 고 문 헌
2. 이동통신 서비스 시장의 현황 및 분석
3. 이동통신서비스 고객 분석
4. 경쟁사 분석
5. KTF의 SWOT분석
6. STP 분석
7. KTF의 마케팅 믹스 전략
8. 결 론
9.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고 옵션 할인제도(18.0%)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연령대 별로 이동전화 이용패턴을 분석, 다양한 형태의 요금제 제공이 필요하다. 현재 시행하고 있는 10대를 겨냥한 Bigi나 주 5일 근무제, 더블캠퍼스, 무제한 정액요금, 1011요금, 무료통화 이월요금, 커플 요금 등의 KTF만의 특별한 형태의 요금제를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직장인의 경우 비즈니스 파트너와 무제한 정액요금 혹은 특정 시간대별 요금할인 적용 등을 제공할 수 있다.
③ 다양한 부가서비스
현재 Ring2you, 데이터프리, 캐치콜, 퍼펙트콜, 도시락, K-ways 등 부가서비스 이용률이 전체 매출액의 17.2%나 차지하는 만큼 (2006년 1분기 기준) 현재의 다양한 서비스들을 계속 제공하는 한편, 급변하는 시장 흐름에 발맞추어 편리하고 미래 지향적인 서비스들을 계속 개발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3) Promotion
① 광고
KTF의 대부분의 광고는 이미지 광고로, 친근감과 친숙함의 이미지를 주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모든 광고의 끝에 ‘Have a good time'이라는 카피를 사용하여 고객에게 기업의 이미지를 각인시켰다.
② 월드컵 마케팅
월드컵은 세계 2대 스포츠 행사로, 긴 기간 동안 긍정적이고 글로벌한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는 기회이다. KTF는 2002년 월드컵에서 이 기회를 포착하기 위해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였으나, SKT에 밀려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KTF는 06년 월드컵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펼쳤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붉은 악마의 공식 후원사가 되어 붉은 악마와 함께 축구 관련 공익사업을 함께 추진 하였다.
(4) Place
① 대리점
현재 KTF는 대리점 및 판매점(2차점) 체제로 유통 중이다. 이러한 유통 구조 정비와 비용구조 개선을 새로운 유통전략을 수립중이며, 내부에서 유통 전략 전담반(TF)을 구성해 운영할 정도로 유통 구조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다. 지금 KTF는 약 1500여개의 대리점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2005년 11월 21일 바이더 웨이와 전략적 제휴를 하여 업계 최초로 24시간 편의점에서 휴대폰 단말기를 진열, 판매하고 바일 체험 공간으로 확대 실시할 계획이다. 할인점을 많이 이용하는 핵심 부류의 특성으로 볼 때 대형할인점을 이용하여 유통망을 확대하는 전략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신유통업망의 지속적 발굴이 필요하다.
② 고객센터
KTF는 현재 대리점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영업 구조에 더해 고객서비스를 강화하는 쪽으로 변화를 추진 중이다. KTF멤버스 홈페이지를 통하여 고객이 편리하게 부가서비스 및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대리점과 고객서비스 센터인 ‘멤버스 플라자’를 적절히 결합한 형태의 ‘굿타임 샵’을 현재 시행 중에 있으며 85곳에서 크게 확대할 계획이다. 이는 고객들에게 체험서비스 공간을 마련하자는 취지로 단순 영업위주에서 고객의 충성도를 높여 고객만족경영의 이루고자한다. SKT의 TTL 존과 LGT의 폰앤펀 매장의 선전에 대응하여 KTF도 보다 더 체험마케팅과 감성마케팅을 주요 전략으로 하여 유통매장에 플래그쉽 마케팅(시장에서 성공을 거둔 특정상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마케팅 활동을 집중화하는 것)의 개념을 도입해 나가야 할 것이다.
8. 결 론
현재까지 이동통신 시장의 현황과 경쟁회사, 그리고 KTF에 대해 분석을 해 보았다. 많은 조건을 갖추고 있는 SK도 매력적이지만 후발주자라는, 그리고 PCS라는 열세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마케팅으로 성공할 수 있었던 KTF를 분석해 봄으로써 마케팅의 중요성에 대해 더 잘 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SWOT분석및 경쟁사 분석 등으로 알아본 KTF는 빠른 성장세로 업계 2위에 자리매김하고 있으나 그 위치는 아직 강력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이동통신시장이 진입장벽이 매우 높기 때문에 잠재적 진입자의 위협은 없지만 현재 포화상태라서 신규시장 개척이 어려운 상황에다가 SKT라는 강자가 버티기 있기 때문에 초고속 성장은 사실상 어려운 단계이다.
브랜드파워 및 통화품질 면에서는 SKT에 밀리고 있고 LGT는 저가 공세로 추월하고 있다. 따라서 KTF는 효과적인 마케팅을 더욱 강화하고 어중간한 상태의 포지셔닝을 재정비해야 할 것이다. 실제로는 LGT와 차이가 없는 요금에도 불구하고 LGT보다 비싸다는 인식, 그리고 여전히 통화품질에 있어 SKT에 밀린다는 인식 등을 불식하고 KTF의 장점을 살려야만 하는 것이다. 현재 Bigi를 통해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한 청소년 시장 공략을 더욱더 강화해 미래의 잠재고객을 확보하고 최고의 서비스로 전환장벽을 낮춘다면 장기적으로 승산이 있다고 본다. 또한 SKT가 미국 시장에 진출한 것처럼 대한민국을 레드오션으로 만들기보다는 해외시장에 눈을 돌리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KTF는 지금까지 그래왔듯이 마케팅이 힘을 쏟아야 한다. 보조금을 주고, 많은 돈을 들여 프로모션을 하는 것도 좋지만 무엇보다도 KTF만이 가질 수 있는 차별화 요소를 만드는 것이다. KTF의 강점이 다양한 요금제 등과 같이 끊임없이 고객만족을 위해 치열하게 노력하게 만드는 힘, 이것이 업계 2위의 특권일 것이다.
9. 참 고 문 헌
KTF 홈페이지 www.ktf.com
LGT 홈페이지 www.lgtelecom.com
SKT 홈페이지 www.sktelecom.com
금융감독원 홈페이지 www.fss.or.kr
LG경제연구소 홈페이지 www.lgeri.com
정보통신부 홈페이지 www.mic.go.kr
삼경경제연구소 홈페이지 www.seri.org
전자신문(2005.10.24), 「이통 3사, 유통전략 새로 짠다」
권영욱(2004), 「KTF의 ‘굿타임 경영’과 문화마케팅 전략」, CEO report
박재범(2005), 「이동통신산업의 유틸리티화」, LG 주간경제
- 목 차
1. KTF 소개
2. 이동통신 서비스 시장의 현황 및 분석
3. 이동통신서비스 고객 분석
4. 경쟁사 분석
5. KTF의 SWOT분석
6. STP 분석
7. KTF의 마케팅 믹스 전략
8. 결 론
9. 참 고 문 헌
③ 다양한 부가서비스
현재 Ring2you, 데이터프리, 캐치콜, 퍼펙트콜, 도시락, K-ways 등 부가서비스 이용률이 전체 매출액의 17.2%나 차지하는 만큼 (2006년 1분기 기준) 현재의 다양한 서비스들을 계속 제공하는 한편, 급변하는 시장 흐름에 발맞추어 편리하고 미래 지향적인 서비스들을 계속 개발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3) Promotion
① 광고
KTF의 대부분의 광고는 이미지 광고로, 친근감과 친숙함의 이미지를 주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모든 광고의 끝에 ‘Have a good time'이라는 카피를 사용하여 고객에게 기업의 이미지를 각인시켰다.
② 월드컵 마케팅
월드컵은 세계 2대 스포츠 행사로, 긴 기간 동안 긍정적이고 글로벌한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는 기회이다. KTF는 2002년 월드컵에서 이 기회를 포착하기 위해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였으나, SKT에 밀려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KTF는 06년 월드컵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펼쳤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붉은 악마의 공식 후원사가 되어 붉은 악마와 함께 축구 관련 공익사업을 함께 추진 하였다.
(4) Place
① 대리점
현재 KTF는 대리점 및 판매점(2차점) 체제로 유통 중이다. 이러한 유통 구조 정비와 비용구조 개선을 새로운 유통전략을 수립중이며, 내부에서 유통 전략 전담반(TF)을 구성해 운영할 정도로 유통 구조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다. 지금 KTF는 약 1500여개의 대리점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2005년 11월 21일 바이더 웨이와 전략적 제휴를 하여 업계 최초로 24시간 편의점에서 휴대폰 단말기를 진열, 판매하고 바일 체험 공간으로 확대 실시할 계획이다. 할인점을 많이 이용하는 핵심 부류의 특성으로 볼 때 대형할인점을 이용하여 유통망을 확대하는 전략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신유통업망의 지속적 발굴이 필요하다.
② 고객센터
KTF는 현재 대리점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영업 구조에 더해 고객서비스를 강화하는 쪽으로 변화를 추진 중이다. KTF멤버스 홈페이지를 통하여 고객이 편리하게 부가서비스 및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대리점과 고객서비스 센터인 ‘멤버스 플라자’를 적절히 결합한 형태의 ‘굿타임 샵’을 현재 시행 중에 있으며 85곳에서 크게 확대할 계획이다. 이는 고객들에게 체험서비스 공간을 마련하자는 취지로 단순 영업위주에서 고객의 충성도를 높여 고객만족경영의 이루고자한다. SKT의 TTL 존과 LGT의 폰앤펀 매장의 선전에 대응하여 KTF도 보다 더 체험마케팅과 감성마케팅을 주요 전략으로 하여 유통매장에 플래그쉽 마케팅(시장에서 성공을 거둔 특정상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마케팅 활동을 집중화하는 것)의 개념을 도입해 나가야 할 것이다.
8. 결 론
현재까지 이동통신 시장의 현황과 경쟁회사, 그리고 KTF에 대해 분석을 해 보았다. 많은 조건을 갖추고 있는 SK도 매력적이지만 후발주자라는, 그리고 PCS라는 열세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마케팅으로 성공할 수 있었던 KTF를 분석해 봄으로써 마케팅의 중요성에 대해 더 잘 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SWOT분석및 경쟁사 분석 등으로 알아본 KTF는 빠른 성장세로 업계 2위에 자리매김하고 있으나 그 위치는 아직 강력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이동통신시장이 진입장벽이 매우 높기 때문에 잠재적 진입자의 위협은 없지만 현재 포화상태라서 신규시장 개척이 어려운 상황에다가 SKT라는 강자가 버티기 있기 때문에 초고속 성장은 사실상 어려운 단계이다.
브랜드파워 및 통화품질 면에서는 SKT에 밀리고 있고 LGT는 저가 공세로 추월하고 있다. 따라서 KTF는 효과적인 마케팅을 더욱 강화하고 어중간한 상태의 포지셔닝을 재정비해야 할 것이다. 실제로는 LGT와 차이가 없는 요금에도 불구하고 LGT보다 비싸다는 인식, 그리고 여전히 통화품질에 있어 SKT에 밀린다는 인식 등을 불식하고 KTF의 장점을 살려야만 하는 것이다. 현재 Bigi를 통해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한 청소년 시장 공략을 더욱더 강화해 미래의 잠재고객을 확보하고 최고의 서비스로 전환장벽을 낮춘다면 장기적으로 승산이 있다고 본다. 또한 SKT가 미국 시장에 진출한 것처럼 대한민국을 레드오션으로 만들기보다는 해외시장에 눈을 돌리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KTF는 지금까지 그래왔듯이 마케팅이 힘을 쏟아야 한다. 보조금을 주고, 많은 돈을 들여 프로모션을 하는 것도 좋지만 무엇보다도 KTF만이 가질 수 있는 차별화 요소를 만드는 것이다. KTF의 강점이 다양한 요금제 등과 같이 끊임없이 고객만족을 위해 치열하게 노력하게 만드는 힘, 이것이 업계 2위의 특권일 것이다.
9. 참 고 문 헌
KTF 홈페이지 www.ktf.com
LGT 홈페이지 www.lgtelecom.com
SKT 홈페이지 www.sktelecom.com
금융감독원 홈페이지 www.fss.or.kr
LG경제연구소 홈페이지 www.lgeri.com
정보통신부 홈페이지 www.mic.go.kr
삼경경제연구소 홈페이지 www.seri.org
전자신문(2005.10.24), 「이통 3사, 유통전략 새로 짠다」
권영욱(2004), 「KTF의 ‘굿타임 경영’과 문화마케팅 전략」, CEO report
박재범(2005), 「이동통신산업의 유틸리티화」, LG 주간경제
- 목 차
1. KTF 소개
2. 이동통신 서비스 시장의 현황 및 분석
3. 이동통신서비스 고객 분석
4. 경쟁사 분석
5. KTF의 SWOT분석
6. STP 분석
7. KTF의 마케팅 믹스 전략
8. 결 론
9. 참 고 문 헌
추천자료
[마케팅] 휴대폰에 대한 마케팅 분석
국내 핸드폰(휴대폰) 시장 잠재력과 경쟁력 분석과 해외시장에서의 마케팅 전략
중국의 휴대폰 시장 분석
반도체와 휴대폰의 한계
초저가 휴대폰 축복인가, 재앙인가
LG 전자 휴대폰의 소비자행동 분석
[소비자 행동론]휴대폰에 대한 소비자 행동 분석
노키아(NOKIA) 휴대폰의 마케팅 전략 분석
[브랜드마케팅]3사 휴대폰 TV광고 사례분석 (리포트)
[산업분석]2008 휴대폰 시장동향 및 2009년 시장전망 (A+리포트)
대중문화연구 - 핸드폰, 휴대폰
국내 휴대폰 시장 동향 및 전망
세계 휴대폰시장의 경쟁관계와 국내기업의 시장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