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 1공화국 ~~
8.노무현 정부 - 참여정부
8.노무현 정부 - 참여정부
본문내용
대통령
② 경제민주화 정책의지와 일관성의 결여
7. 김영삼 정부 - 문민정부
1) 김영삼 정부 성립과 특징
① 제 14대 대통령 김영삼 취임, 순수민간인 출신 대통령
② 위로부터의 개혁, 재산공개, 공직자 윤리법 개정
③ 정치자금법 개정, 행정기구 축소개편
④ 군의 문민화 작업 시도
2) 김영삼 정부 평가
① 경제정책 실패, IMF 사태로 국가경제 파탄
② 우루과이라운드로 인한 쌀시장 개방
③ 각종 사건ㆍ사고 빈번, 경제적 불안 국민들의 우려가 컸음
8. 김대중 정부 - 국민의 정부
1) 김대중 정부 성립과 특징
① 제 15대 대통령 김대중 당선, 국민의 정부 출범
② 과감한 경제개혁 추진, 국회에도 개혁조치 단행
③ 대북정책 -> 햇볕정책
2) 김대중 정부 평가
① 남북 화해, 협력 체제 구축
② IMF 위기 극복, 월드컵ㆍ아시아 경기대회 성공적 개최
③ 정치개혁, 비리척결 실패
9. 노무현 정부 - 참여정부
1) 노무현 정부 성립과 특징
① 제 16대 대통령 노무현 당선
② 취임 후, 새천년민주당 탈당, 열린 우리당 창당
③ 3대 국정목표 - 국민과 함께하는 민주주의
- 더불어 사는 균형발전 사회
- 평화와 번영의 동북아시아 시대
④ 국정원리 - 원칙과 신뢰, 공정과 투명
대화와 타협, 분권과 자율
⑤ 관리작용에 대한 개혁
⑥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구성, 혁신도시 추진
2) 노무현 정부 평가
① 권위주의 청산, 참여민주주의 확산
② 기득권 불인정, 사회인식에 변화를 줌
③ 중산층 붕괴, 소득 양극화 심화
④ 부동산 정책 실패
⑤ 신용불량자 증가
⑥ 좌우분열, 양극화 심화
⑦ 온건 일변도의 대북정책
② 경제민주화 정책의지와 일관성의 결여
7. 김영삼 정부 - 문민정부
1) 김영삼 정부 성립과 특징
① 제 14대 대통령 김영삼 취임, 순수민간인 출신 대통령
② 위로부터의 개혁, 재산공개, 공직자 윤리법 개정
③ 정치자금법 개정, 행정기구 축소개편
④ 군의 문민화 작업 시도
2) 김영삼 정부 평가
① 경제정책 실패, IMF 사태로 국가경제 파탄
② 우루과이라운드로 인한 쌀시장 개방
③ 각종 사건ㆍ사고 빈번, 경제적 불안 국민들의 우려가 컸음
8. 김대중 정부 - 국민의 정부
1) 김대중 정부 성립과 특징
① 제 15대 대통령 김대중 당선, 국민의 정부 출범
② 과감한 경제개혁 추진, 국회에도 개혁조치 단행
③ 대북정책 -> 햇볕정책
2) 김대중 정부 평가
① 남북 화해, 협력 체제 구축
② IMF 위기 극복, 월드컵ㆍ아시아 경기대회 성공적 개최
③ 정치개혁, 비리척결 실패
9. 노무현 정부 - 참여정부
1) 노무현 정부 성립과 특징
① 제 16대 대통령 노무현 당선
② 취임 후, 새천년민주당 탈당, 열린 우리당 창당
③ 3대 국정목표 - 국민과 함께하는 민주주의
- 더불어 사는 균형발전 사회
- 평화와 번영의 동북아시아 시대
④ 국정원리 - 원칙과 신뢰, 공정과 투명
대화와 타협, 분권과 자율
⑤ 관리작용에 대한 개혁
⑥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구성, 혁신도시 추진
2) 노무현 정부 평가
① 권위주의 청산, 참여민주주의 확산
② 기득권 불인정, 사회인식에 변화를 줌
③ 중산층 붕괴, 소득 양극화 심화
④ 부동산 정책 실패
⑤ 신용불량자 증가
⑥ 좌우분열, 양극화 심화
⑦ 온건 일변도의 대북정책
키워드
추천자료
김대중 정부의 개혁과 반성
김대중 정부조직 개편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
(남북관계) 김대중 정부의 대 북한 정책에 대한 이해와 평가
국민의 정부와 참여 정부의 공기업 민영화 추진의 대하여
한국 복지제도의 전개과정과 성격, 김대중, 노무현 정부의 복지정책 및 재벌과 노동에 관해 ...
김대중 정부 이후 한국의 복지정책과 아동복지정책 비교
문민에게 버림받은 김영삼 정부 (문민없는 개혁의 한계)
김대중·노무현 정부 10년의 보육정책 평가
김대중 정부 이후 한국의 복지정책
김대중 정부의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특징과 내용
국민을 의한 국민의 정부
제3공화국(박정희정부, 박정희정권)의 특징, 근대화, 제3공화국(박정희정부, 박정희정권)의 5...
[사회복지정책론] 김대중 정부의 사회복지 정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