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가요와 경기체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고려가요>
1. 개요
2. 고려속요
3. 고려가요의 주제
4. 작품
(1) 정과정
(2) 쌍화점
(3) 청산별곡

<경기체가>
1. 개요
2. 형식
3. 작품 - 한림별곡
(1) 개요
(2) 시대적 배경
(3) 각 장의 소재와 주제
(4) 감상
4. 특징

<고려 가요와 다른 시가와의 비교>
1. 향가와 고려가요
2. 경기체가와 고려가요
3. 단가와 고려가요
4. 고려 가요의 후렴구
+ 표

본문내용

가 문자로 정착되지 못하고 입에서 입으로 구전되었다고 본다면 그 형식은 민요에 가깝다고 볼 수 있으며 완전한 평민문학이라고 하겠다. 내용이 극히 자연스럽고 남녀간의 사랑에 관한 이야기가 많아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男女相悅之詞라 하여 풍속을 문란케 한다는 이유로 문자화되지 못한 작품이 많다. 형식상 청산별곡과 같이 장(또는 연이라고도 함)이 분리되는 분절체가 많으며 3음보의 율격을 지니고 있다.
형식
대부분이 분절식으로 되어 있고, 분절마다 후렴구가 붙는 것이 보통이다.
대체로 전후 양절로 나눠지며, 몇 연이 연속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음수율에서는 3음절과 4음절이 우세하고 음보율에서는 3음보가 많은데, 율조는 매우 유려하다.
청산별곡, 가시리 등을 보면 3음보격에 의한 3.3.2조가 주조를 이룬다.
내용 - 주로 남녀 간의 사랑, 자연에 대한 예찬, 이별의 안타까움 등 평민들의 생활과 감정을 진솔하게 나타낸 노래로, 허식이 없고, 감정과 정서의 표출이 매우 절절하다. 이 중 남녀 간의 애정을 노래한 것에 대해 조선조 학자들이 '남녀 상열지사'는 '사리부재(노래말이 저속한 것은 문헌에 싣지 못한다)'라 하여 문헌에서 삭제하기도 하였다.
이별 - 서경별곡, 가시리
연모, 연군 - 동동
사친 - 사모곡, 상저가
남녀상열 - 쌍화점, 만전춘, 이상곡
지조 - 정석가
주술 - 처용가(고려 시대의 속요)
무상, 현실도피 - 청산별곡
국문학상 의의 - 고려 속요는 적나라한 인간성과 풍부한 정서가 유려한 국어의 구사 속에서 뛰어나게 형상화된 것이어서 국문학의 중요한 유산으로 가치가 크다.
정착 시기 - 고려 속요는 원래 민간에서 유포 전승되는 민요가 궁중의 속악 가사로 수용되고 개편되었다가 한글 창제 이후에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 등에 채록되어 전하고 있다. 그 외 고려 속요가 실린 곳은 악학편고와 소악부가 있다.
노랫말 없이 이름과 배경 설화만 전해지는 노래
거사련 - 남편을 기다리며 읊은 노래
오관산- 효자 문충이 홀어머니에 대한 효성을 노래
사리화 - 관리와 토호가 백성의 재물을 빼앗아 감을 노래
장 암- 장암의 노인이 평장사 두영철의 근신하지 않음을 노래
제위보 - 제위보에서 일하던 여인이 손을 잡혀 원망스럽고 부끄러워 불렀다는 노래.
예성강곡- 당상 하두강에게 내기 바둑에 지고 아내를 빼앗겨 부른 노래
월정화 - 위제만이 진주 기생 월정화에 혹해 아내가 죽자 고을 사람들이 부인을 애도해 부른 노래.
고려 속요와 다른 시가와의 비교
향가와 고려 속요
형식상의 특징으로 보아 고려 속요는 향가와 민요의 영향 속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향찰 문자의 쇠퇴에 따라 '정과정곡'과 같은 과도기적 형태의 시가들이 나타난 이후에 향가 문학은 점차 소멸되어 갔으나 그 잠재적인 영향력은 고려 속요 형성에 일정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또한 고려 속요는 향가와는 달리 문자로 정착되지 못한 채, 민중 속에서 입으로 구전되는 동안 일종의 민요처럼 발전하게 되었다.
경기체가와 고려 속요
3음절을 주조로 하고 구수율 6구를 기준하여 대체로 분장된다는 점은 공통점으로 지적되나, 경기체가가 고려 시대 사대부 문인들에 의해 지어진 귀족 문학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대하여, 고려 속요는 민중 사회에서 널리 불리어진 평민 문학으로서, 평민들의 진솔한 감정이 반영되어 있다는 점이 서로 다르다.
단가와 고려 속요
단가는 고려 속요에 그 연원을 두고 있다고 하겠다. 그 일례로 단가의 분장식 형식은 아무래도 고려 속요의 분장식 특징과 관련된다고 하겠다. 또한 만전춘의 일장은 바로 단가형으로 되어 있다.
고려 속요의 후렴구
고려 속요의 형식상 특징의 하나는 대부분 분연체 3음보로 되어 있고, 각 연마다 후렴구를 동반한다는 것이다. 후렴구는 10구체 향가의 마지막 2구에서(이를 낙구라 한다.)그 전통을 이어, 후대 단가의 종장 첫구의 형식으로 발전했다고 보여진다. 또, 후렴구는 민요가 가지는 특징의 하나로, 속요가 민요적 성격을 띠는 것도 민중 속에서 구전되었다는 점과 후렴구를 동반한다는 데 있다.
정읍사 :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서경별곡 :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가시리 : 위 증즐가 大平盛大
정석가 :
이상곡 : 다롱디우셔 마득사리 마득너즈세 너우지
사모곡 : 위 덩더둥셩
쌍화점 : 더렁둥셩 다리러 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 거디러 다로러
작 품 명
연 대
성 격
형 식
내 용
후 렴 구
비 고
처 용 가
미 상
逐邪(주술적)
非 聯 詩
향가인 처용가를 부연해서 부른 巫歌로 희곡적으로 구성된 노래
청산별곡
미 상
현실도피
8연, 3.3.2조
현실도피적인 생활상과 실연의 애환을 담은 인생무상을 노래(비애,고독,체념,도피 등)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서경별곡
미 상
別離의 情恨
3연, 3.3.2조
대동강에서 임을 송별한 이별의 노래. 강물, 나루터의 공간에서 이루어진 극적 이별
위 두어령셩 두어령셩 다링디리
가 시 리
미 상
4 연
남녀간의 애끓는 이별을 절실하게 읊은 노래. 이별의 한,체념,기다림의 전통적 女心을 노래
위 증즐가 太平聖代
일명 귀호곡
동 동
미 상
頌 禱
13연, 월령체
그 달 그 달의 자연 풍경이나 행사에 따라 남녀간의 사랑을 읊은 최초의 월령체가
아으 동동다리
월령체 노래의 효시
정 석 가
미 상
6 연
임금의 만수무강을 축원하고 연모하는 심정을 나타냄. 불가능한 상황 설정-만수무강 송축
사 모 곡
미 상
孝 心
5구체,비연시
어머니의 지극한 사랑을 읊은 노래. 아버지의 사랑을 호미에, 어머니의 사랑을 낫에 비유
위 덩더둥셩
곡조명;엇노리.
'목주가'와 연관
상 저 가
미 상
4구체,비연시
방아를 찧으면서 부르는 노동요
백결선생의 '대악'의 후신
이 상 곡
미 상
솔직, 담백한 사랑의 표현
비연시
남녀간의 정을 읊은 淫奔女의 노래
만 전 춘
미 상
5 연
남녀간의 사랑을 읊은 노래
형식이 시조와 비슷
쌍 화 점
충렬왕
4 연
남녀간의 적나라한 사랑을 표현한 遊女의 노래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로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유 구 곡
충렬왕
애 조 가
비연시
비둘기를 빌어 연정을 노래. 또는 정치 풍자
예종의 '벌곡조'와 유사
  • 가격1,1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2.23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62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