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무
Em chemistry
검사항목
정상치
am11
pm4
의미해석 및 간호 관리
SGOT
0~40 IU/L
148 H
141 H
AST 및 ALT는 간세포 안에 들어있는 효소로서 간세포가 파괴되거나 손상을 받으면 유출되어 혈중 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급성이나 만성간염 시 이들 수치가 올라간다. 따라서 간염의 정도를 대략적으로 알려주는 검사로서 ALT가 AST보다 더 정확히 간질환을 반영한다.
SGPT
0~40 IU/L
91 H
90 H
Creatinine
0.6~1.2mg/dL
1.4 H
1.5 H
혈중 크레아티닌 측정은 신장기능이 정상인지 어떤지를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크레아티닌 농도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신장장애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요소질소는 신장 이외의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으나 크레아티닌은 신장 이외의 영향을 잘 받지 않으므로 더욱 예민하게 장애의 정도를 반영한다.
Glucose
70~110mg/dL
171 H
264 H
글루코스는 간에 저장된 Glycogen이 우리몸의 대사에너지로 사용되어지기 위한 일종의 에너지원이다. 글루코스 수치의 증가는 당뇨병, 갑상선기능항진, 간염등을 의미한다.
BUN
10~26mg/dL
17.4
18.2
요소질소의 측정은 신장기능이 정상인지 어떤지를 알기 위한 중요한 지표가 된다. 요소질소가 감소치를 보이는 경우에는 요붕증, 근 디스트로피 등의 질환이 의심된다.
sodium
135~145mEq/L
130 L
140
나트륨이 결핍되면 탈수증이 되고 반대로 과잉이 되면 혈액량의 증가 또는 부종을 일으킨다.
potassium
3.6~5.5mEq/L
4.4
3.5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는 급성신부전, 애디슨병, 당뇨병성케토산혈증, 칼륨과잉수액 등이, 기준치 이하일 때는 알도스테론증, 세뇨관성산혈증, 이뇨제 장기투여, 주기성 사지마미 등의 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Chloride
96~106mEq/L
92 L
91 L
증가시 호읍성 Alkalosis, 신우염, 빈혈이 의심되고 감소시 구토, 설사, 급성 감염증이 나타난다.
Protein
6.5~8g/dL
6.7
6.5
수치가 정상치보다 높을 경우 탈수증을, 낮을 경우 영양부족, 단백뇨, 만성 간장애, 간염 등을 의심할 수 있다. 한편, 격렬한 운동 후에는 정상치보다 5-10%가량 상승할 수도 있다.
Blood gas analysis
PM 1
PM 3
PM 5
PM 7
PM 9
PM 11
정상치
pH
7.151 L
7.171 L
7.327 L
7.267 L
7.373
7.480 H
7.35~7.45
PCO2
9.3 L
9.8 L
13.3 L
20.2 L
23.2 L
29.6 L
35~45
PO2
163.2 H
182.2 H
206.1 H
86.2
51.4 L
77.0 L
80~100
BE
-25.7
-25.0
-19.2
-17.9
-12.0
-2.0
O2SAT
98.7
98.9
99.4
95.5
86.4
96.3
HCO3
3.2 L
3.5 L
6.8 L
9.0 L
13.2 L
21.5
21~27
약물치료
Legalon 3ⓒ Livital 3ⓣ / # 3po
Ursa 3ⓣ(보 100) Besyne 3ⓣ/ # 3po
Librax 3ⓣ
(보 100) Bee com 2ⓣ /# 2po
Librax 2ⓣ H.S / # 1PO
Lasix 0.5ⓣ Alducton 2ⓣ /# 1po
<간호 진단과 중재>
1
진단
소화 및 흡수불량과 관련된 영양 결핍
관련요인
소화기계 질환, 간장 질환
특성
섭취량 부족, 식욕 부진, 소화불량
주관적 자료: “속이 메스꺼워서 음식을 먹기가 싫어”
“입맛이 없어, 술이 먹고 싶어”
객관적 자료: 식사를 매 끼니마다 남긴다.
입원 시부터 매일 0.5kg정도 몸무게가 준다.
목표
환자의 체중은 정상범위 혹은 목표 체중 범위 내에 있다.
환자는 균형 잡힌 식이를 섭취한다.
환자와 가족은 영양부족의 위험들을 알고 있다.
계획
영양 상태를 사정한다.
영양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영양을 공급한다.
섭취량, 배설량, 총열량을 정확히 관찰한다.
매일 체중을 축정한다.
환자의 식습관을 사정하고 기호식품을 제공한다.
하루 세 번 식사보다 야간 간식을 포함하여 소량씩 자주 먹도록 한다.
영양 요구에 관한 지식을 사정한다.
처방에 따라 1일 요구되는 적절한 비타민을 포함하여 고탄수화물, 저단 백식이 제공한다.
소금 대용물이나 대체 조미료를 사용한다.
하루에 소량씩 자주 식사를 제공한다.
오심시 구강간호와 진토제를 투여한다.
임상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진단
소양감과 관련된 잠재성 피부통합성 장애
관련요인
부종, 황달, 소양감
특성
주관적 자료: “몸이 자꾸 가려워요”
몸을 자꾸 긁는다.
객관적 자료: 탄력성이 저하된 피부
하얗게 일어난 피부
목표
환자의 피부가 정상이다.
계획
옷이나 침구를 청결하고 구김이 없게 해준다.
비누사용은 제한한다.
전분목욕이나 미온수 목욕을 시키고 방안온도를 서늘하게 한다.
피부는 로션을 발라 적당히 보습하며 깨끗하게 유지한다.
손톱을 짧게 자르고 부드러운 옷을 제공한다.
항히스타민제를 투여한다.
색, 온기, 부종, 촉감 등을 관할한다.
2
3
진단
알코올 약물 중독과 관련된 잠재성 폭행(자해)의 위험성
관련요인
간기능 저하, 출혈, 낙상. 피부손상
특성
주관적 자료: “답답해, 나가게 해줘”
“뭐 마실 것 없나?”
“왜이래? 나 좀 내버려 둬”(억제대 사용시 큰소리로)
객관적 자료: 억제대 미사용시 자꾸 산소튜브, 혈압커프를 제거한다.
침대에 눕지 않고 침대에서 서 있으려고 한다.
목표
환자는 손상부위가 없다.
환자는 손상의 가능성에 대한 지식이 있다.
계획
폭행행동과 관련된 환자의 지각정도를 사정한다.
자살에 대한 생각을 알아본다.
해가 될 만한 물건을 제거하여 안전한 환경을 조성해준다.
솔직한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적절한 방법으로 분노를 표현하도록 환자를 도우며, 분노의 실제 근원을 확인하고 적응적 대처기술을 습득하도록 돕는다.
지지체계로 활용할 수 있고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지역사회 자원을 확 인한다.
필요시 현실에 대해 알린다.
환자와 함께 시간을 보낸다.
자살에 대한 생각이 나면 치료자를 찾겠다는 약속을 받는다.
Em chemistry
검사항목
정상치
am11
pm4
의미해석 및 간호 관리
SGOT
0~40 IU/L
148 H
141 H
AST 및 ALT는 간세포 안에 들어있는 효소로서 간세포가 파괴되거나 손상을 받으면 유출되어 혈중 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급성이나 만성간염 시 이들 수치가 올라간다. 따라서 간염의 정도를 대략적으로 알려주는 검사로서 ALT가 AST보다 더 정확히 간질환을 반영한다.
SGPT
0~40 IU/L
91 H
90 H
Creatinine
0.6~1.2mg/dL
1.4 H
1.5 H
혈중 크레아티닌 측정은 신장기능이 정상인지 어떤지를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크레아티닌 농도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신장장애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요소질소는 신장 이외의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으나 크레아티닌은 신장 이외의 영향을 잘 받지 않으므로 더욱 예민하게 장애의 정도를 반영한다.
Glucose
70~110mg/dL
171 H
264 H
글루코스는 간에 저장된 Glycogen이 우리몸의 대사에너지로 사용되어지기 위한 일종의 에너지원이다. 글루코스 수치의 증가는 당뇨병, 갑상선기능항진, 간염등을 의미한다.
BUN
10~26mg/dL
17.4
18.2
요소질소의 측정은 신장기능이 정상인지 어떤지를 알기 위한 중요한 지표가 된다. 요소질소가 감소치를 보이는 경우에는 요붕증, 근 디스트로피 등의 질환이 의심된다.
sodium
135~145mEq/L
130 L
140
나트륨이 결핍되면 탈수증이 되고 반대로 과잉이 되면 혈액량의 증가 또는 부종을 일으킨다.
potassium
3.6~5.5mEq/L
4.4
3.5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는 급성신부전, 애디슨병, 당뇨병성케토산혈증, 칼륨과잉수액 등이, 기준치 이하일 때는 알도스테론증, 세뇨관성산혈증, 이뇨제 장기투여, 주기성 사지마미 등의 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Chloride
96~106mEq/L
92 L
91 L
증가시 호읍성 Alkalosis, 신우염, 빈혈이 의심되고 감소시 구토, 설사, 급성 감염증이 나타난다.
Protein
6.5~8g/dL
6.7
6.5
수치가 정상치보다 높을 경우 탈수증을, 낮을 경우 영양부족, 단백뇨, 만성 간장애, 간염 등을 의심할 수 있다. 한편, 격렬한 운동 후에는 정상치보다 5-10%가량 상승할 수도 있다.
Blood gas analysis
PM 1
PM 3
PM 5
PM 7
PM 9
PM 11
정상치
pH
7.151 L
7.171 L
7.327 L
7.267 L
7.373
7.480 H
7.35~7.45
PCO2
9.3 L
9.8 L
13.3 L
20.2 L
23.2 L
29.6 L
35~45
PO2
163.2 H
182.2 H
206.1 H
86.2
51.4 L
77.0 L
80~100
BE
-25.7
-25.0
-19.2
-17.9
-12.0
-2.0
O2SAT
98.7
98.9
99.4
95.5
86.4
96.3
HCO3
3.2 L
3.5 L
6.8 L
9.0 L
13.2 L
21.5
21~27
약물치료
Legalon 3ⓒ Livital 3ⓣ / # 3po
Ursa 3ⓣ(보 100) Besyne 3ⓣ/ # 3po
Librax 3ⓣ
(보 100) Bee com 2ⓣ /# 2po
Librax 2ⓣ H.S / # 1PO
Lasix 0.5ⓣ Alducton 2ⓣ /# 1po
<간호 진단과 중재>
1
진단
소화 및 흡수불량과 관련된 영양 결핍
관련요인
소화기계 질환, 간장 질환
특성
섭취량 부족, 식욕 부진, 소화불량
주관적 자료: “속이 메스꺼워서 음식을 먹기가 싫어”
“입맛이 없어, 술이 먹고 싶어”
객관적 자료: 식사를 매 끼니마다 남긴다.
입원 시부터 매일 0.5kg정도 몸무게가 준다.
목표
환자의 체중은 정상범위 혹은 목표 체중 범위 내에 있다.
환자는 균형 잡힌 식이를 섭취한다.
환자와 가족은 영양부족의 위험들을 알고 있다.
계획
영양 상태를 사정한다.
영양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영양을 공급한다.
섭취량, 배설량, 총열량을 정확히 관찰한다.
매일 체중을 축정한다.
환자의 식습관을 사정하고 기호식품을 제공한다.
하루 세 번 식사보다 야간 간식을 포함하여 소량씩 자주 먹도록 한다.
영양 요구에 관한 지식을 사정한다.
처방에 따라 1일 요구되는 적절한 비타민을 포함하여 고탄수화물, 저단 백식이 제공한다.
소금 대용물이나 대체 조미료를 사용한다.
하루에 소량씩 자주 식사를 제공한다.
오심시 구강간호와 진토제를 투여한다.
임상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진단
소양감과 관련된 잠재성 피부통합성 장애
관련요인
부종, 황달, 소양감
특성
주관적 자료: “몸이 자꾸 가려워요”
몸을 자꾸 긁는다.
객관적 자료: 탄력성이 저하된 피부
하얗게 일어난 피부
목표
환자의 피부가 정상이다.
계획
옷이나 침구를 청결하고 구김이 없게 해준다.
비누사용은 제한한다.
전분목욕이나 미온수 목욕을 시키고 방안온도를 서늘하게 한다.
피부는 로션을 발라 적당히 보습하며 깨끗하게 유지한다.
손톱을 짧게 자르고 부드러운 옷을 제공한다.
항히스타민제를 투여한다.
색, 온기, 부종, 촉감 등을 관할한다.
2
3
진단
알코올 약물 중독과 관련된 잠재성 폭행(자해)의 위험성
관련요인
간기능 저하, 출혈, 낙상. 피부손상
특성
주관적 자료: “답답해, 나가게 해줘”
“뭐 마실 것 없나?”
“왜이래? 나 좀 내버려 둬”(억제대 사용시 큰소리로)
객관적 자료: 억제대 미사용시 자꾸 산소튜브, 혈압커프를 제거한다.
침대에 눕지 않고 침대에서 서 있으려고 한다.
목표
환자는 손상부위가 없다.
환자는 손상의 가능성에 대한 지식이 있다.
계획
폭행행동과 관련된 환자의 지각정도를 사정한다.
자살에 대한 생각을 알아본다.
해가 될 만한 물건을 제거하여 안전한 환경을 조성해준다.
솔직한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적절한 방법으로 분노를 표현하도록 환자를 도우며, 분노의 실제 근원을 확인하고 적응적 대처기술을 습득하도록 돕는다.
지지체계로 활용할 수 있고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지역사회 자원을 확 인한다.
필요시 현실에 대해 알린다.
환자와 함께 시간을 보낸다.
자살에 대한 생각이 나면 치료자를 찾겠다는 약속을 받는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