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윤리 사상사>
제 6장. 홉스
계약 이론--
자연 상태--
탈출의 방법: 자연법--
제 일의 자연법: 평화를 추구하라--
제 이의 자연법: 자연권을 포기하라--
계약과 규약--
제 삼의 자연법: 규약을 준수하라-
바보의 경우--
말만으로는 부족하다--
다른 자연법들--
국가와 통치자--
통치자의 권력--
통치자의 의무--
심리적 이기주의--
윤리적 이기주의--
자발적 행위--
상대주의인가?--
제 6장, 홉스를 읽고나서.....
제 6장. 홉스
계약 이론--
자연 상태--
탈출의 방법: 자연법--
제 일의 자연법: 평화를 추구하라--
제 이의 자연법: 자연권을 포기하라--
계약과 규약--
제 삼의 자연법: 규약을 준수하라-
바보의 경우--
말만으로는 부족하다--
다른 자연법들--
국가와 통치자--
통치자의 권력--
통치자의 의무--
심리적 이기주의--
윤리적 이기주의--
자발적 행위--
상대주의인가?--
제 6장, 홉스를 읽고나서.....
본문내용
주장한 여러 철학자들과 홉스의 사회 계약설의 차이를 생각해보았다. 루소와 로크 그리고 홉스는 사회 계약설을 주장했는데, 각각 차이를 지닌다.
홉스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고 이기적이라고 주장했다. 자연상태에서 인간은 자신의 생존과 이익을 위해서 서로가 서로를 적이라고 생각하고 싸워서 결국 모두의 생존과 이익이 위협받게 되는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의 상황이 벌어질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이성을 통해서 자연권의 일부를 포기하고 계약을 맺어 한 가지 의지에 복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가는 여기서 생겨나게 되었고, 홉스는 전제 군주제는 이상적으로 생각했다.
반면에 로크는 성선설에 기초하고 있고, 인간이 불완전한 존재이기 때문에 군주에게 천부인권을 일부 양도해서 자유를 확실하게 보장하기 위해 사회계약을 맺었다.
그리고 루소도 성선설에 기초하고 있는데, 인간들이 의지를 가지고 잘못된 것에 대해서 대안을 모색하고 토론하고 법과 정책을 만들어서 법과 정책에 다시 지배를 받는것이 좋다고 생각했다. 직접민주주의를 주장했다.
홉스와 로크 그리고 루소는 각각 사회계약설에 차이가 있지만 국가 권력에 대해서 제한을 가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적 성격을 갖고 있다.
홉스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고 이기적이라고 주장했다. 자연상태에서 인간은 자신의 생존과 이익을 위해서 서로가 서로를 적이라고 생각하고 싸워서 결국 모두의 생존과 이익이 위협받게 되는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의 상황이 벌어질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이성을 통해서 자연권의 일부를 포기하고 계약을 맺어 한 가지 의지에 복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가는 여기서 생겨나게 되었고, 홉스는 전제 군주제는 이상적으로 생각했다.
반면에 로크는 성선설에 기초하고 있고, 인간이 불완전한 존재이기 때문에 군주에게 천부인권을 일부 양도해서 자유를 확실하게 보장하기 위해 사회계약을 맺었다.
그리고 루소도 성선설에 기초하고 있는데, 인간들이 의지를 가지고 잘못된 것에 대해서 대안을 모색하고 토론하고 법과 정책을 만들어서 법과 정책에 다시 지배를 받는것이 좋다고 생각했다. 직접민주주의를 주장했다.
홉스와 로크 그리고 루소는 각각 사회계약설에 차이가 있지만 국가 권력에 대해서 제한을 가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적 성격을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