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감각운동과 발달
2. 감각통합의 정의
3. 감각통합의 발달과정
* 감각훈련
1) 촉각
2) 미각과 후각
3) 청각
4) 시각
* 감각통합장애의 평가
1) 감각 생육력(감각력)
2) 임상관찰
Ⅲ. 결어
Ⅱ. 본론
1. 감각운동과 발달
2. 감각통합의 정의
3. 감각통합의 발달과정
* 감각훈련
1) 촉각
2) 미각과 후각
3) 청각
4) 시각
* 감각통합장애의 평가
1) 감각 생육력(감각력)
2) 임상관찰
Ⅲ. 결어
본문내용
임상관찰, 심리검사 등을 사용하여 발달장애아에 대하여 감각통합장애를 평가하게 된다. 자폐아의 감각통합장애의 평가 자료는 다음과 같은 항목이 포함된다.
1) 감각 생육력(감각력)
(1) 촉각자극의 반응
- 손가락 쓰기, 타기, 모래 등이 손에 닫는 것을 싫어함
- 안기는 것, 엎히는 것을 싫어함 등
(2) 전정자극의 반응
- 트램블린, 그네, 회전하는 놀이기구 등을 매우 좋아함
- 안고 흔들거나 돌면 매우 좋아함 등
(3) 고유각후각미각
- 전신을 부드럽게 촉진해도 근육에 힘을 주지 않음
- 사물을 냄새 맡는 버릇이 있음
- 편식을 함 등
(3) 청각자극의 반응
- 자고 있을 때 소리가 나면 울음을 터뜨림
- 작은 소리에도 민감함 등
(4) 시각자극의 반응
- 낯익지 않은 사물을 무서워 함
- 강한 빛을 싫어함 등
평가의 방법은 양육자에게 질문 사항을 묻고 질문내용의 의도가 전달되기 어려울 때에는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대게 3단계 평정을 한다. 질문지의 비고란에는 생후 몇 세경에 항목에 해당하는 사항이 나타났는지 혹은 질문항목의 표현과 조금 다른 상태에서 나타날 경우 등을 기재한다.
2) 임상관찰
자폐아의 전체적 임상상을 파악하기 위해서 임상관찰을 한다. 관찰항목은 원시반사, 근긴장 등 신경학적 미증상(soft neurological sign), 큰운동, 작은 운동, 대인관계, 언어행동의 치우침 등으로 구성된다.
Ⅲ. 결어
감각통합법은 아동의 신경적 증상에 따라 감각입력 조절 및 적응적 반응을 나타내도록 하는 특수한 훈련법으로 주로 신체 전신을 이용하는 목적적 운동을 통하여 전전각, 촉각, 고유수용각의 입력조절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뇌의 구성기능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결국 장애아의 감각통합훈련 프로그램 설정에 중요한 것은 환경에의 적응반응과 감각입력처리와의 관계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는 상태로 도와주는 것이다.
결국 특수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장애아동에게 장애 정도와 발달단계 및 특성에 적합한 교육환경을 제공하여 장애아동이 제대로 성장하여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떳떳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즉, 장애아에게 적합한 교육을 통하여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자립자활하여 살아가는 것이다. 이러한 자립 및 자활을 할 수 있기 위해서는 장애아동의 기초적인 활동이 가능하도록 도와야 한다. 즉, 감각기관의 장애를 극복하여야 하며 그러한 극복을 위한 하나의 교육방법으로서 감각통합훈련을 이용하는 것이다.
1) 감각 생육력(감각력)
(1) 촉각자극의 반응
- 손가락 쓰기, 타기, 모래 등이 손에 닫는 것을 싫어함
- 안기는 것, 엎히는 것을 싫어함 등
(2) 전정자극의 반응
- 트램블린, 그네, 회전하는 놀이기구 등을 매우 좋아함
- 안고 흔들거나 돌면 매우 좋아함 등
(3) 고유각후각미각
- 전신을 부드럽게 촉진해도 근육에 힘을 주지 않음
- 사물을 냄새 맡는 버릇이 있음
- 편식을 함 등
(3) 청각자극의 반응
- 자고 있을 때 소리가 나면 울음을 터뜨림
- 작은 소리에도 민감함 등
(4) 시각자극의 반응
- 낯익지 않은 사물을 무서워 함
- 강한 빛을 싫어함 등
평가의 방법은 양육자에게 질문 사항을 묻고 질문내용의 의도가 전달되기 어려울 때에는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대게 3단계 평정을 한다. 질문지의 비고란에는 생후 몇 세경에 항목에 해당하는 사항이 나타났는지 혹은 질문항목의 표현과 조금 다른 상태에서 나타날 경우 등을 기재한다.
2) 임상관찰
자폐아의 전체적 임상상을 파악하기 위해서 임상관찰을 한다. 관찰항목은 원시반사, 근긴장 등 신경학적 미증상(soft neurological sign), 큰운동, 작은 운동, 대인관계, 언어행동의 치우침 등으로 구성된다.
Ⅲ. 결어
감각통합법은 아동의 신경적 증상에 따라 감각입력 조절 및 적응적 반응을 나타내도록 하는 특수한 훈련법으로 주로 신체 전신을 이용하는 목적적 운동을 통하여 전전각, 촉각, 고유수용각의 입력조절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뇌의 구성기능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결국 장애아의 감각통합훈련 프로그램 설정에 중요한 것은 환경에의 적응반응과 감각입력처리와의 관계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는 상태로 도와주는 것이다.
결국 특수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장애아동에게 장애 정도와 발달단계 및 특성에 적합한 교육환경을 제공하여 장애아동이 제대로 성장하여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떳떳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즉, 장애아에게 적합한 교육을 통하여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자립자활하여 살아가는 것이다. 이러한 자립 및 자활을 할 수 있기 위해서는 장애아동의 기초적인 활동이 가능하도록 도와야 한다. 즉, 감각기관의 장애를 극복하여야 하며 그러한 극복을 위한 하나의 교육방법으로서 감각통합훈련을 이용하는 것이다.
추천자료
통합교육 실시 및 통합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이해와 통합교육과정 개발 방안
[독일통일][통일][통독][동독][서독]구동독의 국유기업 사유화, 구동독의 사유재산권 확립, ...
복식통합교육(복식수업)의 개념과 필요성, 국어과와 영어과 복식통합교육과정(복식수업), 사...
통합적방법론의 등장배경, 개념 및 특징, 이론적 기반, 통합적 방법 모델, 실척적 합의
통합적 방법 모델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장애인생활시설][장애인근로작업시설][통합보육시설][의료재활시설][직업재활시설]장애인생...
언어교육의 통합적 접근 또는 문학중심 언어교육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주제망 계획하기
[자폐아동(전반적 발달장애)]자폐아동(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증)의 특징, 판별, 자폐아동(전...
사회사업실천의 통합적모델과 문제해결중심모델(통합적방법모델, 체계이론, 문제해결모델)
사회복지실천론 - 통합적 접근의 등장배경과 특징, 통합적 접근의 주요관점(일반체계관점, 생...
통합재난관리제도(IEMS)에서 소방행정의 기능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의 등장배경(통합적 접근의 시도 배경과 이유, ...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의 등장배경(통합적 접근의 시도 배경과 이유, ...
[아동수학지도] 영유아를 수학활동 중에서 수학과 언어가 통합된 통합적인 수학활동은 한 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