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만의 인식의 변화보다는, 범지구적인 대처방안과 범지구적인 자연에 대한 인식 변화를 찾아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인간과 자연의 관계와 생태문화론에 대한 나의 생각과 삶의 방법 등을 이야기 하였다. 결국 인간은 자연위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공존하면 살아가야하는 존재 인 것이다. 하지만 이것을 무시하고 지금처럼 자연을 도구적 가치로만 인식하고 자연을 파괴한다면 언제간 자연도 우리 인간이 한 것처럼 똑같이 대응할 것이다. 자연의 힘은 위대한다. 지금껏 인간이 자연을 활용하며, 파괴하였지만, 자연은 자정능력을 통하여 스스로 취유하여 왔다. 하지만 지금 상황을 보면 자연의 자정능력에 한계가 온 것처럼 보인다. 예를 들면 오존층파괴, 지구온난화, 사막화와 사막화로 인한 황사현상 등이 그렇다. 이렇게 자연의 자정능력에 한계가 온 상태에서 인간이 지금처럼 자연을 도구적 가치로서 채취를 계속 한다면, 자연은 스스로의 자정활동을 포기하고, 인간에게 큰 재앙을 내릴지도 모른다. 이제부터라도 이러한 상황이 벌어지지 않도록 자연을 도구적 가치만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우리와 함께 걸어 나아가야하는 동반자로서 인식하고, 서로 공존하며 조화롭고, 평화롭게 살았으면 한다.
지금까지 인간과 자연의 관계와 생태문화론에 대한 나의 생각과 삶의 방법 등을 이야기 하였다. 결국 인간은 자연위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공존하면 살아가야하는 존재 인 것이다. 하지만 이것을 무시하고 지금처럼 자연을 도구적 가치로만 인식하고 자연을 파괴한다면 언제간 자연도 우리 인간이 한 것처럼 똑같이 대응할 것이다. 자연의 힘은 위대한다. 지금껏 인간이 자연을 활용하며, 파괴하였지만, 자연은 자정능력을 통하여 스스로 취유하여 왔다. 하지만 지금 상황을 보면 자연의 자정능력에 한계가 온 것처럼 보인다. 예를 들면 오존층파괴, 지구온난화, 사막화와 사막화로 인한 황사현상 등이 그렇다. 이렇게 자연의 자정능력에 한계가 온 상태에서 인간이 지금처럼 자연을 도구적 가치로서 채취를 계속 한다면, 자연은 스스로의 자정활동을 포기하고, 인간에게 큰 재앙을 내릴지도 모른다. 이제부터라도 이러한 상황이 벌어지지 않도록 자연을 도구적 가치만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우리와 함께 걸어 나아가야하는 동반자로서 인식하고, 서로 공존하며 조화롭고, 평화롭게 살았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