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1) 외부적 요인
① 영화에서의 사회적 부문
② 영화에서의 성적 부문
(2) 내부적 요인
① 영화에서의 가족적 부문
② 영화에서의 자아실현 부문
3. 결 론
2. 본 론
(1) 외부적 요인
① 영화에서의 사회적 부문
② 영화에서의 성적 부문
(2) 내부적 요인
① 영화에서의 가족적 부문
② 영화에서의 자아실현 부문
3. 결 론
본문내용
이 스포츠가 우리에게 전달하는 메시지 역할을 느끼게 되었다.
영화의 표면적인 이야기 전개는 전반적으로 현실의 냉정한 현실 속에서 자신이 진정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자아실현의 면을 부각 시킨다. 맨 마지막 빌리의 아버지와 형은 빌리의 공연장에 찾아 성인이 된 빌리의 마지막 장면인 <백조의 호수>의 주인공으로 공중이 떠 있는 한 마리의 백조처럼 날아 포효하는 빌리의 성취감을 표현하고 있다. 이 것은 영화가 단지 표면적인 의미 전달에 불과하고 더 나아가 스포츠에 있어 성역할, 가족의 의미, 사회와의 결합 측면을 고려한다면 내면의 깊은 의미를 알아 낼 수 있다. 성역할 면에서 보아, 이론적인 측면을 먼저 언급하여 살펴보면 사회학습이론의 관점에서 두 가지 기제가 포함되어지는데, 첫째, 아동은 각기의 성에 적합한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부모와 여타의 중요타자로부터 강화를 받으며, 둘째, 이에 대해 부적절한 행동을 할 경우 제재를 받는다. 이는 빌리의 시절이 가족으로부터의 사회화 기능이 만족할 만큼 크게 영향을 끼치지 못한 면이 있다. 즉 아버지와 형은 탄광 파업에만 몰두하여 권투를 배우라며 50펜스만을 쥐어주고 빌리의 비정형화된 행동에 대해 영향을 끼칠 만한 외부적 여력이 부족하였던 것이다. 발레라는 것이 특성상 여성의 성 관련 특징과 다소 부합하는 것이 많지만,(감성 표현적, 아름다움으로서의 신체 등) 이는 스포츠 성역할에 대한 일반적인 관념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주인공인 빌리에게 있어 영화 초반부에 윌킨슨 부인의 다리에 대한 지적과 연관되어 신체적 조건과 결합되는 발레야 말로 성역할 갈등을 말끔히 씻어버리는 의미를 부여하게 된다. 또한 아버지와 형의 빌리에 대한 스포츠 사회화보다 발레 선생님인 윌킨슨 부인의 역할이 더 커 빌리의 천부적인 재능과 결합한 진취적인 사회화로 거듭날 수 있었다. 앞에서 얘기한 성역할과 더불어 가족의 의미를 되새겨 보자면 처음의 빌리에 대한 낮은 관심과 호응도는 빌리의 참모습을 발견하자 발레에 대한 빌리의 모습에 가족이라는 이름 하에 자신의 모든 것을 내어 주더라도 성취하게끔 옆에서 보조를 맞추어 준다. 예물을 팔고 탄광에서 ‘배신자’라는 말을 들으면서까지 아들 ‘빌리’에 대해 희생하는 가족의 참모습을 지켜볼 수가 있게 되고, ‘빌리’의 발레를 통해 아버지와 형의 관계도 얼음장 같던 것이 눈녹듯 금새 사라져 버리는, 결국 가족화목의 계기를 열어주게 된다. 여기서 하나 주목하여야 하는 것은 빌 리가 정작 발레에 빠져 들어야 할 이유는 마음속에 간절히 어머니의 ‘있음’과 만나려 했기 때문이다. 아버지 몰래 발레를 하다 발레화를 침대밑, 어머니의 편지를 숨겨둔 바로 옆자리에다 숨긴 것, 즉 어머니가 빌리에게 남긴 그 편지는 ‘어머니’를 만나고 싶어 할 때마다 펼쳐들던 것이고, 그의 무의식에서 어머니를 만나고 싶어 하는 강렬한 열망이 일종의 접신술처럼 발레에 빠져 들게 했을 것이다. 윌킨슨 선생의 열정적인 지도로 빌리의 발레가 어떤 경지에 오르고, 이제 자신도 알 수 없는 영감 속에서 몸을 흔들어 대던 발레에 빠져 들어 있던 어느날, 어머니가 환영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것이 어머니와의 만남을 의도적으로 꾀한 것이 아닐까라는 마음이 든다. 그리고 형과 아버지가 드디어 발레 지원을 하려고 하나 이제 교육의 대상이 되어버린 발레는 더 이상 어머니를 만나기 위한 접신적 제의가 아니었다. 그것은 세상 사람들이 즐기는 예술일 뿐이고, 구경거리로서의 춤에 지나지 않았다. 경쟁하는 사람들과 더불어 명예를 걸고 기량을 다투는 게임과 같은 것이었다. 이는 바뀌어버린 춤의 성격을 빌리는 스스로 감당해 낼 수 있을까 하는 불안감을 안게 된다. 이를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화면이 오디션 대기실에서 옆의 동료를 때린 것에서 볼 수 있다. 이제 비로소 빌리는 권투냐, 춤이냐를 선택했던 공정한 첫 출발점에 다시 서게 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인지 모른다. 여기서 권투가 지니는 의미를 보면 아버지와 형에게 있어 권투가 상징하는 사나이다움은 저항의 동력이자 씩씩한 탄광노동자로 성장하기 위한 인격적 전제인 것이다. 탄광노동자의 아들이 부르조아 냄새가 물씬 풍기는 왕립발레학교의 학생이 되고, 전투적 노동자인 아버지와 형은 그것을 적극적으로 후원하고 파업은 실패로 끝나는 영화의 결말은 그 시대의 노동의 패배를 암시하듯이 보여 진다. 이 영화를 통해 우리에게 전해주는 의미는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 대한 특출난 재능과 그것을 발전시킬 수 있는 노력, 이 두 가지의 조화라 할 수 있겠다.
영화의 표면적인 이야기 전개는 전반적으로 현실의 냉정한 현실 속에서 자신이 진정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자아실현의 면을 부각 시킨다. 맨 마지막 빌리의 아버지와 형은 빌리의 공연장에 찾아 성인이 된 빌리의 마지막 장면인 <백조의 호수>의 주인공으로 공중이 떠 있는 한 마리의 백조처럼 날아 포효하는 빌리의 성취감을 표현하고 있다. 이 것은 영화가 단지 표면적인 의미 전달에 불과하고 더 나아가 스포츠에 있어 성역할, 가족의 의미, 사회와의 결합 측면을 고려한다면 내면의 깊은 의미를 알아 낼 수 있다. 성역할 면에서 보아, 이론적인 측면을 먼저 언급하여 살펴보면 사회학습이론의 관점에서 두 가지 기제가 포함되어지는데, 첫째, 아동은 각기의 성에 적합한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부모와 여타의 중요타자로부터 강화를 받으며, 둘째, 이에 대해 부적절한 행동을 할 경우 제재를 받는다. 이는 빌리의 시절이 가족으로부터의 사회화 기능이 만족할 만큼 크게 영향을 끼치지 못한 면이 있다. 즉 아버지와 형은 탄광 파업에만 몰두하여 권투를 배우라며 50펜스만을 쥐어주고 빌리의 비정형화된 행동에 대해 영향을 끼칠 만한 외부적 여력이 부족하였던 것이다. 발레라는 것이 특성상 여성의 성 관련 특징과 다소 부합하는 것이 많지만,(감성 표현적, 아름다움으로서의 신체 등) 이는 스포츠 성역할에 대한 일반적인 관념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주인공인 빌리에게 있어 영화 초반부에 윌킨슨 부인의 다리에 대한 지적과 연관되어 신체적 조건과 결합되는 발레야 말로 성역할 갈등을 말끔히 씻어버리는 의미를 부여하게 된다. 또한 아버지와 형의 빌리에 대한 스포츠 사회화보다 발레 선생님인 윌킨슨 부인의 역할이 더 커 빌리의 천부적인 재능과 결합한 진취적인 사회화로 거듭날 수 있었다. 앞에서 얘기한 성역할과 더불어 가족의 의미를 되새겨 보자면 처음의 빌리에 대한 낮은 관심과 호응도는 빌리의 참모습을 발견하자 발레에 대한 빌리의 모습에 가족이라는 이름 하에 자신의 모든 것을 내어 주더라도 성취하게끔 옆에서 보조를 맞추어 준다. 예물을 팔고 탄광에서 ‘배신자’라는 말을 들으면서까지 아들 ‘빌리’에 대해 희생하는 가족의 참모습을 지켜볼 수가 있게 되고, ‘빌리’의 발레를 통해 아버지와 형의 관계도 얼음장 같던 것이 눈녹듯 금새 사라져 버리는, 결국 가족화목의 계기를 열어주게 된다. 여기서 하나 주목하여야 하는 것은 빌 리가 정작 발레에 빠져 들어야 할 이유는 마음속에 간절히 어머니의 ‘있음’과 만나려 했기 때문이다. 아버지 몰래 발레를 하다 발레화를 침대밑, 어머니의 편지를 숨겨둔 바로 옆자리에다 숨긴 것, 즉 어머니가 빌리에게 남긴 그 편지는 ‘어머니’를 만나고 싶어 할 때마다 펼쳐들던 것이고, 그의 무의식에서 어머니를 만나고 싶어 하는 강렬한 열망이 일종의 접신술처럼 발레에 빠져 들게 했을 것이다. 윌킨슨 선생의 열정적인 지도로 빌리의 발레가 어떤 경지에 오르고, 이제 자신도 알 수 없는 영감 속에서 몸을 흔들어 대던 발레에 빠져 들어 있던 어느날, 어머니가 환영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것이 어머니와의 만남을 의도적으로 꾀한 것이 아닐까라는 마음이 든다. 그리고 형과 아버지가 드디어 발레 지원을 하려고 하나 이제 교육의 대상이 되어버린 발레는 더 이상 어머니를 만나기 위한 접신적 제의가 아니었다. 그것은 세상 사람들이 즐기는 예술일 뿐이고, 구경거리로서의 춤에 지나지 않았다. 경쟁하는 사람들과 더불어 명예를 걸고 기량을 다투는 게임과 같은 것이었다. 이는 바뀌어버린 춤의 성격을 빌리는 스스로 감당해 낼 수 있을까 하는 불안감을 안게 된다. 이를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화면이 오디션 대기실에서 옆의 동료를 때린 것에서 볼 수 있다. 이제 비로소 빌리는 권투냐, 춤이냐를 선택했던 공정한 첫 출발점에 다시 서게 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인지 모른다. 여기서 권투가 지니는 의미를 보면 아버지와 형에게 있어 권투가 상징하는 사나이다움은 저항의 동력이자 씩씩한 탄광노동자로 성장하기 위한 인격적 전제인 것이다. 탄광노동자의 아들이 부르조아 냄새가 물씬 풍기는 왕립발레학교의 학생이 되고, 전투적 노동자인 아버지와 형은 그것을 적극적으로 후원하고 파업은 실패로 끝나는 영화의 결말은 그 시대의 노동의 패배를 암시하듯이 보여 진다. 이 영화를 통해 우리에게 전해주는 의미는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 대한 특출난 재능과 그것을 발전시킬 수 있는 노력, 이 두 가지의 조화라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