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불렸던 작품들이 점점 ‘영화적’으로 변모한다고 볼 수 있다. 그 대표성을 띄는 것이 바로 가장 최근의 영화 ‘박수칠 때 떠나라’이다. 이는 전형적인 ‘스릴러물’로서 그동안의 장진식 유머의 사용이 절제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작품 중 가장 리얼한 장면들로 가득 차있었다. 행여 연극의 종류에 포함되는 제의적 성격을 가진 ‘굿’이라는 것이 소재로 활용되긴 했지만 어디까지나 연극적으로(혹은 반영화적)사용된 것이 아닌 영화적 소재로의 차용일 뿐이다. 이는 또한 ‘차승원’이라는 배우를 캐스팅한 점에서 미루어 보아 일명 ‘장진사단’이라고 불리는 인물 이외에 주연을 맡기어 사실성을 증대시켰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다. 이는 장진이 자신의 스타일을 점점 영화적 성향에 편중시키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사실 장진의 원래 개성만으로도 충분한 즐거움을 주었지만 그가 변화를 시도하면서도 좋은 호응이 있는 것 같아 한명의 팬으로서는 좋을 따름이다.
‘장진’은 분명 자신만의 스타일을 가진 감독이다. 그의 연극과 영화는 거의 모든 작품들에서 실망스러운 느낌을 가질 수 없을 정도로 참신하고 변화해 왔다. 이는 그에게 앞으로 거는 기대가 될 것이며 그의 작품을 기다리는 이유가 될 것이다.
‘장진’은 분명 자신만의 스타일을 가진 감독이다. 그의 연극과 영화는 거의 모든 작품들에서 실망스러운 느낌을 가질 수 없을 정도로 참신하고 변화해 왔다. 이는 그에게 앞으로 거는 기대가 될 것이며 그의 작품을 기다리는 이유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