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아데노이드의 비후, 용종, 종양, 이물질 등으로 인한 부분적 기도폐쇄가 원인이 되기도 한다.
폐기종과 같은 폐쇄성 폐질환 시에는 공기흐름이 방해되므로 과소환기가 일어나며, 중추신경계의 기능장애나 신경근육계 또는 골격계의 기능장애, 장기간의 부동이나 체위가 부적절한 경우도 과소환기가 야기된다.
2. 확산장애
폐포와 폐모세혈관 사이의 산소와 탄산가스의 교환은 확산에 의해 일어난다. 폐포막의 비후(간질액 섬유화), 전이된 암종, 폐부종 등이 있을 때 확산은 방해받는다.
3. 환기 및 관류 불균형
산소와 탄산가스의 교환이 효율적으로 되기 위해서는 폐포환기와 관류가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정상인에서도 약간의 불균형은 일어날 수 있으나 환기와 관류의 불균형이 심해지면 저산소증이 발생한다.
1) 정상 환기 및 관류 부족
폐포 내로 공기는 정상적으로 유입되나(정상 환기) 폐모세혈관에 혈류장애(관류장애)가 있는 경우다. 출혈. 탈수와 같은 전체 혈액량의 감소, 폐색전증, 만성 폐쇄성 폐질환 시 환기낭비가 발생하는데 폐의 많은 부분에서 환기낭비가 일어나면 호흡성 산증이 발생한다.
2) 환기 부족 및 정상 관류
폐모세혈관의 혈류는 정상이지만 폐포 내로 공기가 충분히 유입되지 않는 상태이다.
3) 환기 및 관류 모두 부족
폐포 내로 공기가 충분히 유입되지 못하고 폐모세혈관으로 혈액이 충분히 흐르지 못하는 상태다. 폐렴, 폐수종, 무기폐,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같은 경우에 폐포의 환기가 심하게 저하되거나 없어지며, 신생물에 의한 흉곽 내 혈관 압박, 혈전과 색전에 의한 혈관 폐쇄 시의 혈관 허탈에서는 관류가 저하되거나 없어진다.
폐기종과 같은 폐쇄성 폐질환 시에는 공기흐름이 방해되므로 과소환기가 일어나며, 중추신경계의 기능장애나 신경근육계 또는 골격계의 기능장애, 장기간의 부동이나 체위가 부적절한 경우도 과소환기가 야기된다.
2. 확산장애
폐포와 폐모세혈관 사이의 산소와 탄산가스의 교환은 확산에 의해 일어난다. 폐포막의 비후(간질액 섬유화), 전이된 암종, 폐부종 등이 있을 때 확산은 방해받는다.
3. 환기 및 관류 불균형
산소와 탄산가스의 교환이 효율적으로 되기 위해서는 폐포환기와 관류가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정상인에서도 약간의 불균형은 일어날 수 있으나 환기와 관류의 불균형이 심해지면 저산소증이 발생한다.
1) 정상 환기 및 관류 부족
폐포 내로 공기는 정상적으로 유입되나(정상 환기) 폐모세혈관에 혈류장애(관류장애)가 있는 경우다. 출혈. 탈수와 같은 전체 혈액량의 감소, 폐색전증, 만성 폐쇄성 폐질환 시 환기낭비가 발생하는데 폐의 많은 부분에서 환기낭비가 일어나면 호흡성 산증이 발생한다.
2) 환기 부족 및 정상 관류
폐모세혈관의 혈류는 정상이지만 폐포 내로 공기가 충분히 유입되지 않는 상태이다.
3) 환기 및 관류 모두 부족
폐포 내로 공기가 충분히 유입되지 못하고 폐모세혈관으로 혈액이 충분히 흐르지 못하는 상태다. 폐렴, 폐수종, 무기폐,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같은 경우에 폐포의 환기가 심하게 저하되거나 없어지며, 신생물에 의한 흉곽 내 혈관 압박, 혈전과 색전에 의한 혈관 폐쇄 시의 혈관 허탈에서는 관류가 저하되거나 없어진다.
추천자료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정신지체, 발달장애, 호흡기장애, 신...
자동식 산소 소생기(자동식 인공 호흡기)
신경외과 중환자실 뇌종양 case 간호진단, 인공호흡기, 동맥혈 가스분석 자료
[conference] Ventilator(인공호흡기) 구조와 사용법
[질환][질병][피부질환]질환(질병)과 피부질환, 질환(질병)과 정신질환, 질환(질병)과 부인과...
[아동간호학][Cough][기침][호흡기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고위험모아 간호학 3학년 공통] 중환아 간호단위, 중환아실 간호사 역할, 정서충족 간호중재...
[아동건강교육] <영유아 질병> 영유아의 흔한 질병 - 호흡기 질환, 소화기 질환, 구강 질환 ...
[대기환경학]대기오염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 - 호흡기 계통, 인체에 미치는 영향, 대기환경...
만병통치 가정요법 (소화기 질환, 운동기 질환, 순환기 질환, 호흡기 질환, 생식기 질환, 부...
[의학]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사스)
명의(한국인의 만성질환 - 호흡기질환(2012.7.13)
호흡기계 간호(호흡기계,호흡음의청진,산소요법,네불라이저,체위배액,진단검사와간호,간호진...
[동서협진과 CASE] 기관내 삽관 및 인공호흡기 관리를 받는 뇌출혈 남환 1례